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영(伯英)@정백영 - 정백영(鄭伯英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~광종(光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형인 정백웅(鄭伯熊)과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며, 수주 판관(秀州判官)을 지냈으나 그만두고 종신토록 벼슬하지 않음. 저서에 《귀우옹집(歸愚翁集)》이 있음.
1130~119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영(伯英)@장지 - 장지(張芝)
중국 후한(後漢)의 서예가. 장초(章草)에 뛰어나 초성(草聖)이라고 일컬어짐. 연못가에서 글씨를 쓰고서는 물로 씻기를 수없이 되풀이하여 마침내 연못의 물이 먹물로 까맣게 변하였다는 일화가 전함.
?~192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백영(伯英) - 양지손(梁芝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1483년(성종 14) 춘당대시(春塘臺試)에 급제하여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냄. 정수강(丁壽崗)의 《월헌집(月軒集)》에 차운시(次韻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영(百英) - 김백영(金百英)
조선 후기의 유학. 선조(宣祖) 때의 직장(直長) 김태명(金泰溟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김천일(金千鎰)의 의병(義兵)에 형제인 김천영(金千英)과 함께 참가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영(百英)@임백영 - 임백영(任百英)
조선 전기의 유학. 죽천(竹川) 박광전(朴光前)이 그를 위해 쓴 만시(挽詩)가 《죽천집(竹川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오(百五) - 한식(寒食)
우리나라 사대(四大) 명절의 하나. 동지(冬至)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, 중국 춘추시대(春秋時代)의 개자추(介子推)를 애도하기 위해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유래하였다고 함.
사건>풍속
-
백옥(伯玉)@강관(姜琯) - 강관(姜琯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부사(府使)를 지낸 강응태(姜應台)의 아버지로, 1510년(중종 5) 식년시(式年試) 병과(丙科)에 급제하여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 - 김이음(金爾音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함창(咸昌). 권근(權近)의 《입학도설(入學圖說)》을 진양(晉陽)에서 처음 간행하고, 효행이 뛰어나 정문(旌門)을 하사받음.
?~140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문관 - 문관(文瓘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감천(甘泉). 양양 부사(襄陽府使)를 지낸 문걸(文傑)의 아들로, 장악원 첨정(掌樂院僉正)을 지냈음.
1475~151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용궁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성석용 - 성석용(成石瑢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성여완(成汝完)의 아들이자 성석린(成石璘)의 아우로, 고려 때 밀직제학(密直提學) 등을 지냈으며, 조선 개국에 공이 있어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됨.
?~140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위관 - 위관(衛瓘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무신ㆍ서예가. 여류 서예가 위삭(衛鑠)의 아버지로, 태보(太保) 등을 지내고, 장지(張芝)의 서체를 이어 받음. 혜제(惠帝) 때 혜가황후(惠賈皇后)에게 주살됨.
220~291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무신
-
백옥(伯玉)@김원 - 김원(金瑗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김허의(金許義)의 아들이고, 김세헌(金世憲)의 아버지. 1483년(성종 14)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예조 정랑(禮曹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이순인 - 이순인(李純仁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중호(李仲虎)ㆍ이황(李滉)ㆍ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이이(李珥) 등과 교유하였으며, 특히 문장에 뛰어나 당시 이산해(李山海) 등과 함께 ‘팔문장(‘八文章)’으로 불림. 광해군(光海君) 때 위성공신(衛聖功臣)에 책록됨.
1533~15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거백옥 - 거원(蘧瑗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대부(大夫). 50세가 되도록 항상 과거의 잘못을 반성하면서 언행을 고쳐 나갔다는 고사가 전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백옥(伯玉)@왕도곤 - 왕도곤(汪道昆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의오 현령(義烏縣令) 때 척계광(戚繼光)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(倭寇)를 격파하고, 병부시랑(兵部侍郞) 등을 지냄.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(李攀龍)ㆍ왕세정(王世貞)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.
1525~159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윤순 - 윤순(尹珣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계겸(尹繼謙)의 아들로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이석형 - 이석형(李石亨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회림(李懷林)의 아들이며, 김반(金泮)의 문인. 성종 때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지냈으며, 《역대병요(歷代兵要)》ㆍ《치평요람(治平要覽)》등을 편찬함.
1415~147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조원 - 조원(趙瑗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임천(林川). 조응공(趙應恭)의 아들로, 조응관(趙應寬)에게 출계함.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삼척 부사(三陟府使)ㆍ동부승지(同副承旨)를 지냄.
1544~159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조세침 - 조세침(趙世琛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순창(淳昌). 전력부위(展力副尉) 조지원(趙之瑗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옥(白玉) - 이개(李塏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으로, 이계주(李季疇)의 아들.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 등에 공헌하였으나, 단종(端宗)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됨으로써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이 됨.
1417~145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