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옥(伯玉)@이순인 - 이순인(李純仁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중호(李仲虎)ㆍ이황(李滉)ㆍ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이이(李珥) 등과 교유하였으며, 특히 문장에 뛰어나 당시 이산해(李山海) 등과 함께 ‘팔문장(‘八文章)’으로 불림. 광해군(光海君) 때 위성공신(衛聖功臣)에 책록됨.
1533~15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거백옥 - 거원(蘧瑗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대부(大夫). 50세가 되도록 항상 과거의 잘못을 반성하면서 언행을 고쳐 나갔다는 고사가 전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백옥(伯玉)@왕도곤 - 왕도곤(汪道昆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의오 현령(義烏縣令) 때 척계광(戚繼光)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(倭寇)를 격파하고, 병부시랑(兵部侍郞) 등을 지냄.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(李攀龍)ㆍ왕세정(王世貞)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.
1525~159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윤순 - 윤순(尹珣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계겸(尹繼謙)의 아들로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이석형 - 이석형(李石亨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회림(李懷林)의 아들이며, 김반(金泮)의 문인. 성종 때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지냈으며, 《역대병요(歷代兵要)》ㆍ《치평요람(治平要覽)》등을 편찬함.
1415~147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조원 - 조원(趙瑗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임천(林川). 조응공(趙應恭)의 아들로, 조응관(趙應寬)에게 출계함.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삼척 부사(三陟府使)ㆍ동부승지(同副承旨)를 지냄.
1544~159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조세침 - 조세침(趙世琛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순창(淳昌). 전력부위(展力副尉) 조지원(趙之瑗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옥(白玉) - 이개(李塏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으로, 이계주(李季疇)의 아들.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 등에 공헌하였으나, 단종(端宗)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됨으로써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이 됨.
1417~145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옥동서원(白玉洞書院) - 옥동서원(玉洞書院)@상주
조선 중종(中宗) 때 경상도 상주(尙州)에 건립한 서원. 처음 이름은 백화서원(白華書院)이었으나, 1789년(정조 13)에 옥동서원(玉洞書院)으로 사액되었고, 황효헌(黃孝獻)ㆍ황희(黃喜) 등을 배향함.
151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백옥삼(白玉三) - 배현경(裵玄慶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무신ㆍ공신. 경주배씨(慶州裵氏)의 시조. 홍유(洪儒)ㆍ신숭겸(申崇謙)ㆍ복지겸(卜智謙)ㆍ유금필(庾黔弼) 등과 함께 궁예(弓裔)를 몰아내고 왕건(王建)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웠으며,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움.
?~936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백옥삼(白玉衫) - 배현경(裵玄慶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무신ㆍ공신. 경주배씨(慶州裵氏)의 시조. 홍유(洪儒)ㆍ신숭겸(申崇謙)ㆍ복지겸(卜智謙)ㆍ유금필(庾黔弼) 등과 함께 궁예(弓裔)를 몰아내고 왕건(王建)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웠으며,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움.
?~936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백옥헌(白玉軒) - 이개(李塏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으로, 이계주(李季疇)의 아들.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 등에 공헌하였으나, 단종(端宗)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됨으로써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이 됨.
1417~145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온(伯溫)@신후 - 신후(申煦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효자. 본관은 평산(平山). 예로써 행동하고,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상을 당해서는 정성을 다함. 《율곡전서(栗谷全書)》에 묘지명(墓誌銘)이 실려 있음.
1528~156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백온(伯溫) - 유기(劉基)
중국 원(元)~명(明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주원장(朱元璋)의 모사(謀士)가 되어 중국을 통일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, 명 건국 후에는 역법(曆法) 제정과 군정체제 건립에 공헌함. 원 나라 말기의 사회 모순을 풍자하는 글을 많이 남김.
1311~1375 중국>명ㅣ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온(伯溫)@정향 - 정향(程珦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형제의 아버지로 태중대부(太中大夫)를 지냄.
1006~109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온(伯溫)@김진옥 - 김진옥(金鎭玉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승지(承旨)를 지낸 김만균(金萬均)의 아들이며,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. 음보(蔭補)로 기용된 뒤 강원 감사(江原監司) 등을 지냄. 대보단(大報壇)을 건의(建議)하여 설치됨.
1659~173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온(伯溫)@소백온 - 소백온(邵伯溫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소옹(邵雍)의 아들로, 정이(程頤)에게 수학하고 《역변혹(易辨惑)》ㆍ《견문록(見聞錄)》 등을 저술함. 태평관 제거(太平觀提舉) 등을 지냄.
1057~113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온(伯溫)@황린 - 황린(黃璘)@황순경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원(昌原). 자산 군수(慈山郡守)를 지낸 황순경(黃舜卿)의 아들로, 1543년(중종 3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옹(栢翁) - 구봉령(具鳳齡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에 뛰어나고, 《혼천의기(渾天儀記)》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.
1526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완(伯完) - 이맹전(李孟全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거제도(巨濟島)로 귀양 온 이행(李荇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제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