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옥동서원(白玉洞書院) - 옥동서원(玉洞書院)@상주
조선 중종(中宗) 때 경상도 상주(尙州)에 건립한 서원. 처음 이름은 백화서원(白華書院)이었으나, 1789년(정조 13)에 옥동서원(玉洞書院)으로 사액되었고, 황효헌(黃孝獻)ㆍ황희(黃喜) 등을 배향함.
151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백옥삼(白玉三) - 배현경(裵玄慶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무신ㆍ공신. 경주배씨(慶州裵氏)의 시조. 홍유(洪儒)ㆍ신숭겸(申崇謙)ㆍ복지겸(卜智謙)ㆍ유금필(庾黔弼) 등과 함께 궁예(弓裔)를 몰아내고 왕건(王建)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웠으며,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움.
?~936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백옥삼(白玉衫) - 배현경(裵玄慶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무신ㆍ공신. 경주배씨(慶州裵氏)의 시조. 홍유(洪儒)ㆍ신숭겸(申崇謙)ㆍ복지겸(卜智謙)ㆍ유금필(庾黔弼) 등과 함께 궁예(弓裔)를 몰아내고 왕건(王建)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웠으며,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움.
?~936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백옥헌(白玉軒) - 이개(李塏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으로, 이계주(李季疇)의 아들.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 등에 공헌하였으나, 단종(端宗)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됨으로써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이 됨.
1417~145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온(伯溫)@신후 - 신후(申煦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효자. 본관은 평산(平山). 예로써 행동하고,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상을 당해서는 정성을 다함. 《율곡전서(栗谷全書)》에 묘지명(墓誌銘)이 실려 있음.
1528~156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백온(伯溫) - 유기(劉基)
중국 원(元)~명(明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주원장(朱元璋)의 모사(謀士)가 되어 중국을 통일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, 명 건국 후에는 역법(曆法) 제정과 군정체제 건립에 공헌함. 원 나라 말기의 사회 모순을 풍자하는 글을 많이 남김.
1311~1375 중국>명ㅣ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온(伯溫)@정향 - 정향(程珦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형제의 아버지로 태중대부(太中大夫)를 지냄.
1006~109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온(伯溫)@김진옥 - 김진옥(金鎭玉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승지(承旨)를 지낸 김만균(金萬均)의 아들이며,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. 음보(蔭補)로 기용된 뒤 강원 감사(江原監司) 등을 지냄. 대보단(大報壇)을 건의(建議)하여 설치됨.
1659~173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온(伯溫)@소백온 - 소백온(邵伯溫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소옹(邵雍)의 아들로, 정이(程頤)에게 수학하고 《역변혹(易辨惑)》ㆍ《견문록(見聞錄)》 등을 저술함. 태평관 제거(太平觀提舉) 등을 지냄.
1057~113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온(伯溫)@황린 - 황린(黃璘)@황순경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원(昌原). 자산 군수(慈山郡守)를 지낸 황순경(黃舜卿)의 아들로, 1543년(중종 3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옹(栢翁) - 구봉령(具鳳齡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에 뛰어나고, 《혼천의기(渾天儀記)》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.
1526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완(伯完) - 이맹전(李孟全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거제도(巨濟島)로 귀양 온 이행(李荇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제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요손(伯遼孫) - 설손(偰孫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ㆍ시인ㆍ귀화인. 원래 회골(回鶻)사람으로 원(元)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고려에 귀화하여 경주설씨(慶州偰氏)의 시조가 됨. 고려 대표시인의 한 사람.
?~1360 한국>고려후기 , 중국ㅣ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용(伯庸) - 마조상(馬祖常)
중국 원(元) 나라의 문신ㆍ문인. 권신 철목질아(鐵木迭兒)를 규탄한 연고로 좌천되어 불우하였으나, 철목질아의 사후에는 예부 상서(禮部商書)와 섬서 행대중승(陝西行臺中丞)을 역임함. 시문에도 능함.
1278~1338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우(伯愚) - 김상묵(金尙默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현감(縣監) 김성채(金聖采)의 아들로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냄. 김종수(金鍾秀)와 교유함.
1726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우(伯牛)@염경 - 염경(冉耕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덕행(德行)에 뛰어났으며, 그가 불치병에 걸리자 공자가 와서 위문하고 탄식함.
B.C.554~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우(伯牛) - 박경(朴耕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서예가. 정붕(鄭鵬)ㆍ박영(朴英)의 문인으로 교수청(校讐廳)의 사자생(寫字生)으로 있었는데, 유자광(柳子光)ㆍ박원종(朴元宗) 등 왕의 측근을 제거하려 한다는 밀고로 인해 참형(斬刑)에 처해짐.
?~150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백우(伯禹) - 우(禹)
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(夏) 나라의 왕. 순(舜)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, 수토(水土)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.
중국>하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백우(伯羽) - 동백우(童伯羽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스승과 주고받은 문답이 전함. 《효경연의(孝經衍義)》ㆍ《오경훈해(五經訓解)》 등을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우(伯雨) - 김춘택(金春澤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종조부 김만중(金萬重)에게 수학하고, 노론(老論) 집안의 자손으로 상대 당파의 공격을 자주 받음. 시문(詩文)과 글씨에 뛰어났으며, 《구운몽(九雲夢)》 등을 한문으로 번역함.
1670~171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