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보흠(甫欽) - 이보흠(李甫欽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현보(李玄寶)의 아들로, 지대구군사(知大丘郡事)를 지낼 때 성공적으로 사창법(社倉法)을 실시함. 세조 때 단종복위(端宗復位)를 모의하였다는 혐의를 받고 유배된 뒤 교살(絞殺)됨.
?~145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복(復)@김복 - 김복(金復)
조선 전기의 유학. 양사언(楊士彥)의 《봉래시집(蓬萊詩集)》에 차운한 시가 남아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복(復)@임복 - 임복(林復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1546년(명종 1) 증광 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 정자(承文院正字)에 등용되었으나,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으로 삭주(朔州)에 유배되었다가 고향에 은거함.
1521~157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복(復)@윤복 - 윤복(尹復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남(海南). 명종(明宗) 때 낙안 군수(樂安郡守)가 되어 왜구의 침략에 대비하고, 안동 대도호부사(安東大都護府使)로 시절 이황(李滉)과 교유함.
1512~157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관인>문신
-
복(復) - 곽복(郭復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비서승(秘書丞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복(福)@민복 - 민복(閔福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여평부원군(驪平府院君) 민효증(閔孝曾)의 손자로, 1568년(선조 1) 증광시(增廣試)에 급제한 뒤 풍저창 수(豊儲倉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복(福) - 권복(權福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료(權憭)의 아들로, 수원 부사(水原府使)를 지냈으며, 김안국(金安國)ㆍ김정국(金正國)ㆍ김안로(金安老) 등과 교유함.
1478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복^상(濮^桑) - 상^복(桑^濮)
망국의 음조가 나온 상간(桑間)과 복수(濮水)를 함께 부르는 말. 상간은 복수 근처에 있는 지명이며, 후에 망국(亡國)의 음악이 나온 곳으로 일컬어짐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복가(鵩賈) - 가의(賈誼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ㆍ학자. 문제(文帝)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(長沙王)의 태부(太傅)로 좌천됨.
B.C.200~B.C.168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복건(福建) - 복건성(福建省)
중국 남동부 해안을 따라 위치한 성(省) 이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복건자(福建子) - 여혜경(呂惠卿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. 왕안석(王安石)과 더불어 신법(新法)을 추진했으나 왕안석이 실각하자 그를 방해하다가 외방(外方)으로 쫓겨나고, 휘종 때 다시 폄척(貶斥)을 받고 죽음. 태자 중윤(太子中允) 등을 지냄.
1032~111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복견(福堅) - 송복견(宋福堅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무신. 본관은 진천(鎭川). 문과에 급제한 후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ㆍ만포 첨사(滿浦僉使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복겸(福謙) - 정복겸(鄭福謙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영의정(領議政) 정광필(鄭光弼)의 아들로, 강화 부사(江華府使)를 지냄.
1501~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복경(復卿) - 박복경(朴復卿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울산 군수(蔚山郡守)를 지낼 때 선정을 베풀고 태화루(太和樓)를 중수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울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복경(復慶) - 김복경(金復慶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서산 군수(瑞山郡守)를 지낸 김변(金汴)의 아들. 1573년(선조 6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(楊州牧使) 등을 지냈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왜군과 싸우다 전사함.
1544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복경(福慶) - 서복경(徐福慶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서거정(徐居正)의 서자(庶子)로 이현보(李賢輔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문사>유학
-
복고(復古)@금복고 - 금복고(琴復古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봉화(奉化). 금인(琴軔)의 아들이며, 소고(嘯皐) 박승임(朴承任)의 문인. 유림의 추천으로 강릉 참봉(康陵參奉)에 제수되었고, 임진왜란 때 원종훈(原從勳)으로 호군(護軍)에 오름.
1549~163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복고(復古)@대복고 - 대복고(戴復古)
중국 송(宋) 효종(孝宗)~이종(理宗) 때의 시인. 강호파(江湖派)의 대표적 시인으로서 유명하며, 한때 대시인(大詩人) 육유(陸游)에게서 시를 배움.
1167~?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복고(復古) - 이언적(李彦迪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주(驪州). 중종 때 김안로(金安老)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,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.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(李滉)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.
1491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복고(腹藁) - 이인로(李仁老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경원(慶源). 강좌칠현(江左七賢)의 한 사람으로, 오세재(吳世才)ㆍ임춘(林椿) 등과 교유하고, 우간의대부(右諫議大夫)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뿐만 아니라 초서(草書)ㆍ예서(隸書)에도 능함.
1152~1220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인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