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복겸(福謙) - 정복겸(鄭福謙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영의정(領議政) 정광필(鄭光弼)의 아들로, 강화 부사(江華府使)를 지냄.
1501~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복경(復卿) - 박복경(朴復卿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울산 군수(蔚山郡守)를 지낼 때 선정을 베풀고 태화루(太和樓)를 중수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울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복경(復慶) - 김복경(金復慶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서산 군수(瑞山郡守)를 지낸 김변(金汴)의 아들. 1573년(선조 6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(楊州牧使) 등을 지냈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왜군과 싸우다 전사함.
1544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복경(福慶) - 서복경(徐福慶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서거정(徐居正)의 서자(庶子)로 이현보(李賢輔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문사>유학
-
복고(復古)@금복고 - 금복고(琴復古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봉화(奉化). 금인(琴軔)의 아들이며, 소고(嘯皐) 박승임(朴承任)의 문인. 유림의 추천으로 강릉 참봉(康陵參奉)에 제수되었고, 임진왜란 때 원종훈(原從勳)으로 호군(護軍)에 오름.
1549~163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복고(復古)@대복고 - 대복고(戴復古)
중국 송(宋) 효종(孝宗)~이종(理宗) 때의 시인. 강호파(江湖派)의 대표적 시인으로서 유명하며, 한때 대시인(大詩人) 육유(陸游)에게서 시를 배움.
1167~?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복고(復古) - 이언적(李彦迪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주(驪州). 중종 때 김안로(金安老)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,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.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(李滉)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.
1491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복고(腹藁) - 이인로(李仁老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경원(慶源). 강좌칠현(江左七賢)의 한 사람으로, 오세재(吳世才)ㆍ임춘(林椿) 등과 교유하고, 우간의대부(右諫議大夫)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뿐만 아니라 초서(草書)ㆍ예서(隸書)에도 능함.
1152~1220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인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복공(福公) - 진준경(陳俊卿)
중국 송(宋) 고종(高宗)~효종(孝宗) 때의 재상. 진복(陳宓)의 아버지. 상서 우복야(尙書右僕射) 등을 거쳐 소사(少師)ㆍ위국공(魏國公)으로 치사함. 치란(治亂)과 안위(安危)에 관해 직언을 잘함.
1113~118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복구(復丘) - 복구(復邱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승려. 수선사(修禪社)의 제13세 국사(國師)로, 도영(道英)에게 공부하고 백암사ㆍ월남사ㆍ송광사 등에서 수행함. 1352년(공민왕 1)에 왕사(王師)가 됨.
1270~1355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영광ㅣ전라도>광산ㅣ경상도>하동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복국공(濮國公) - 조종의(趙宗懿)
중국 송(宋) 영종(英宗)의 아들. 복국공(濮國公)으로 봉하여 영종의 생부인 복왕(濮王)의 제사를 받들게 하였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복국대왕(濮國大王) - 조윤양(趙允讓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英宗)의 생부(生父). 영종이 즉위하여 복안의왕(濮安懿王)으로 추숭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복국왕(濮國王) - 조윤양(趙允讓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英宗)의 생부(生父). 영종이 즉위하여 복안의왕(濮安懿王)으로 추숭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복규(復圭) - 윤복규(尹復圭)
고려 후기의 문신. 학정(學正)을 지냈으며,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에 그에게 화답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복규고제(復圭高弟) - 남궁괄(南宮括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조카사위. 덕을 숭상하고 매사를 조심스럽게 처리하여 공자가 그를 허여(許與)하고 자신의 조카딸을 그에게 시집보냄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근(福根) - 이복근(李福根)
조선 전기의 종실. 태조(太祖)의 첫째 아들인 진안대군(鎭安大君) 이방우(李芳雨)의 첫째 아들로, 정사공신(定社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복기(復基) - 유복기(兪復基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기계(杞溪).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역임한 유언술(兪彦述)의 아버지로, 1696년(숙종 22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662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복기(福基) - 송복기(宋福基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야성(冶城). 충순위(忠順衛) 송의(宋儀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. 추천으로 소촌도 찰방(召村道察訪)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 평생 명사(名士)들과 시주(詩酒)로 교유하며 일생을 마침.
1541~1605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양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복남(福男)@최복남 - 최복남(崔福男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성균진사(成均進士)를 지낸 최언린(崔彥潾)의 아들로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냄.
1545~160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복남(福男) - 윤현(尹鉉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승홍(尹承弘)의 아들로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 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역임함. 행정수완이 탁월하고 시문(詩文)에 뛰어났으며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514~15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