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복남(福男)@이복남 - 이복남(李福男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우계(羽溪). 병마절도사(兵馬節度使)를 지냈으나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남원성(南原城) 전투에서 명장(明將) 이여송(李如松)ㆍ양원(楊元) 등과 함께 싸우다가 전사함.
?~1597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무신
-
복담(福聃) - 신복담(辛福聃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영산(靈山). 첨정(僉正)을 지낸 신희정(辛熙貞)의 아버지로, 연기 현감(燕岐縣監)을 지냄.
?~145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복렵시랑(伏獵侍郞) - 소경(蕭炅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이임보(李林甫)의 천거로 호부 시랑(戶部侍郞)이 됨. 무식하여 ‘증상복랍(蒸嘗伏臘)’을 ‘증상복렵(蒸嘗伏獵)’으로 잘못 읽은 일로 인하여 엄정지(嚴挺之)로부터 ‘복렵시랑(伏獵侍郞)’이라는 조롱을 당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복로(服老) - 기준(奇遵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, 기묘명현(己卯名賢)의 한 사람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유배되고 신사무옥(辛巳誣獄) 때 교살됨.
1492~152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복로(福老) - 이복로(李福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합천(陜川). 이택(李澤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봉상시 판관(奉常寺判官) 등을 지냄.
1469~153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복룡(伏龍)@우복룡 - 우복룡(禹伏龍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민순(閔純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 때 용궁 현감(龍宮縣監)으로서 고을을 사수한 뒤 안동 부사(安東府使)로 승진하였으며, 홍주 목사(洪州牧使) 시절에 선정을 베풀어 선조의 신임을 얻음.
1547~1613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복룡(伏龍)@유복룡 - 유복룡(柳伏龍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를 역임한 유희림(柳希霖)의 아버지로, 1504년(연산군 1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장수 현감(長水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복룡(伏龍) - 제갈량(諸葛亮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 나라의 문신. 뛰어난 전략가(戰略家)로 유비(劉備)의 삼고초려(三顧草廬)의 예(禮)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(吳)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(曹操)의 위(魏)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.
221~264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복리군(福利君)@징공 - 징공(澄公)
고려 후기의 승려. 백암사(白巖寺) 쌍계루(雙溪樓)를 중수(重修)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복리군(福利君) - 나잔자(懶殘子)
고려 후기의 승려. 《목은시고(牧隱詩稿)》에 복리군(福利君)에 봉해진 나잔자(懶殘子)를 축하하는 내용의 시(詩)가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복린(福麟) - 정복린(鄭福麟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유학 정창(鄭敞)의 아버지로, 충좌위 부사맹(忠佐衛副司猛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무신
-
복명(復命) - 조복명(趙復命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제(金堤). 교동(喬桐)ㆍ부안(扶安)ㆍ사천(泗川) 등의 현감(縣監)을 지냈으며, 1488년(성종 19) 진주(晉州) 촉석루(矗石樓)에서 조위(曺偉)ㆍ김일손(金馹孫) 등과 금란계(金蘭契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관인>문신
-
복부(福夫) - 홍경창(洪慶昌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계강(洪係江)의 아들로, 안동 부사(安東府使)ㆍ봉상시 부정(奉常寺副正) 등을 지냄.
?~152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복부(鵩賦) - 복조부(鵩鳥賦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인(文人)인 가의(賈誼)가 지은 부(賦) 이름. 가의가 장사왕(長沙王)의 태부(太傅)로 좌천되었을 때, 복조(鵩鳥)가 날아들자 불길하게 여겨 스스로 애도한 내용임.
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복비(虙妃) - 복비(宓妃)
고대 전설상의 낙수(洛水)의 여신(女神) 이름. 황하(黃河)의 수신(水神)인 하백(河伯)의 아내라고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복비(鶝鴀) - 포곡(布穀)
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. 뻐꾸기가 ‘포곡포곡’하며 울고, ‘포곡(布穀)’이 ‘씨를 뿌려라’라는 의미이므로,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.
사상>술어>관용어ㅣ자연물>동물
-
복사괴(卜砂瑰) - 복지겸(卜智謙)
고려의 개국공신(開國功臣). 태봉(泰封)의 마군장군(馬軍將軍)으로 있다가 궁예(弓裔)가 민심을 잃자, 918년에 배현경(裵玄慶)ㆍ신숭겸(申崇謙) 등과 함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(王建)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움. 면천복씨(沔川卜氏)의 시조.
한국>고려전기ㅣ한국>통일신라 , 충청도>면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복사귀(卜沙貴) - 복지겸(卜智謙)
고려의 개국공신(開國功臣). 태봉(泰封)의 마군장군(馬軍將軍)으로 있다가 궁예(弓裔)가 민심을 잃자, 918년에 배현경(裵玄慶)ㆍ신숭겸(申崇謙) 등과 함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(王建)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움. 면천복씨(沔川卜氏)의 시조.
한국>고려전기ㅣ한국>통일신라 , 충청도>면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복생(伏生) - 복승(伏勝)
중국 한(漢) 나라 때의 경학자(經學者). 제남(濟南) 사람으로, 문제(文帝)가 경전을 복원할 때 《상서(尙書)》를 구술(口述)하여 세상에 전함.
중국>전한ㅣ중국>진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생(福生) - 이복생(李福生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증손이며 곡성군(鵠城君) 이금손(李金孫)의 아버지로, 석보정(石保正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