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복수(福壽) - 설복수(偰福壽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 귀화한 경주설씨(慶州偰氏)의 시조인 설손(偰孫)의 둘째 아들로, 벼슬이 추재(樞宰)에 이름.
한국>고려후기 , 중국ㅣ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복순(復淳) - 신복순(申復淳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영의정(領議政) 신숙주(申叔舟)의 손자이며, 고양부원군(高陽府院君) 신준(申浚)의 아들. 중종반정(中宗反正) 이후 원종일등공신(原從一等功臣)에 책봉되어 2품직에 오름.
1464~154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복순현(福順縣) - 동복(同福)
전라도 화순(和順) 지역에 있는 옛 고을 이름.
전라도>화순 , 지명>행정지명
-
복심(復心) - 정복심(程復心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《사서집주(四書集註)》에 황씨(黃氏)ㆍ보씨(輔氏)의 설(說)을 절충(折衷)하고 장(章)을 나누어 도해(圖解)한 《사서장도(四書章圖)》을 저술함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안군(福安君) - 권겸(權謙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영가부원군(永嘉府院君) 권보(權溥)의 아들. 공민왕의 배원정책(排元政策)에 의하여 1356년(공민왕 5년) 기철(奇轍)ㆍ노책(盧頙) 등과 함께 죽음을 당함.
?~135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안부원군(福安府院君) - 권겸(權謙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영가부원군(永嘉府院君) 권보(權溥)의 아들. 공민왕의 배원정책(排元政策)에 의하여 1356년(공민왕 5년) 기철(奇轍)ㆍ노책(盧頙) 등과 함께 죽음을 당함.
?~135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안의왕(濮安懿王) - 조윤양(趙允讓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英宗)의 생부(生父). 영종이 즉위하여 복안의왕(濮安懿王)으로 추숭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복안의황(濮安懿皇) - 조윤양(趙允讓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英宗)의 생부(生父). 영종이 즉위하여 복안의왕(濮安懿王)으로 추숭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복암(宓庵) - 충지(冲止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승려. 수선사(修禪社)의 제6세 사주(社主). 위호소(魏號紹)의 아들로, 원오국사(圓悟國師) 문하에서 선교일치(禪敎一致)의 종풍(宗風)을 계승하였으며, 유선일치(儒禪一致)의 사상조류를 수용함.
1226~1292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복암(宓菴) - 충지(冲止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승려. 수선사(修禪社)의 제6세 사주(社主). 위호소(魏號紹)의 아들로, 원오국사(圓悟國師) 문하에서 선교일치(禪敎一致)의 종풍(宗風)을 계승하였으며, 유선일치(儒禪一致)의 사상조류를 수용함.
1226~1292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복암(復庵) - 박점(朴漸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박세정(朴世貞)의 아들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역임하였으나 당쟁(黨爭)에 휘말려 삭탈관직 된 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.
1532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암(復菴) - 박점(朴漸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박세정(朴世貞)의 아들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역임하였으나 당쟁(黨爭)에 휘말려 삭탈관직 된 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.
1532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암(復菴) - 정혜(淨慧)
고려 후기의 승려. 송광사(松廣寺)의 제14세 조사(祖師)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복암강(覆巖江) - 복암강(伏巖江)
전라도 나주(羅州)에 있는 강. 건재(健齋) 김천일(金千鎰)이 이곳에 복암강사(伏巖江舍)를 짓고 극념당(克念堂)이라 편액하여 학문을 강론함.
전라도>나주 , 지명>자연지명
-
복암강사(覆巖江舍) - 복암강사(伏巖江舍)
전라도 나주(羅州) 복암강(覆巖江)에 있는 사제. 건재(健齋) 김천일(金千鎰)이 1563년(명종 18)에 지은 것으로 극념당(克念堂)이라 편액함.
156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유적>건물>사제
-
복암강서(伏巖江墅) - 복암강사(伏巖江舍)
전라도 나주(羅州) 복암강(覆巖江)에 있는 사제. 건재(健齋) 김천일(金千鎰)이 1563년(명종 18)에 지은 것으로 극념당(克念堂)이라 편액함.
156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유적>건물>사제
-
복애(伏厓) - 범세동(范世東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금성(錦城)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으로, 간의대부(諫議大夫) 등을 지내고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,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(杜門洞)에 은거하다가 낙향하여 끝까지 절의(節義)를 지킴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ㅣ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복야(宓也) - 복부제(宓不齊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선보(單父)의 읍재(邑宰)를 지냈으며, 공자로부터 군자(君子)라는 칭찬을 받음.
B.C.521~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양(濮陽) - 오세재(吳世才)
고려 명종(明宗) 때의 문인ㆍ학자. 본관은 고창(高敞). 해좌칠현(海左七賢)의 한 사람으로 시와 서예에 능함. 명종 때 과거에 급제했으나 관로에는 오르지 못함.
1133~?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복양공자(濮陽公子) - 오자영(吳自瑩)@조선전기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구성 부사(龜城府使) 등을 지냄. 조위(曺偉)가 중국으로 사신 갈 때 의주(義州)에서 시문(詩文)을 주고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