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복여(福汝) - 송이창(宋爾昌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은진(恩津). 은율 군수(殷栗郡守) 송응서(宋應瑞)의 아들로, 이이(李珥)ㆍ송익필(宋翼弼)의 문인. 광해군 때 신녕 현감(新寧縣監)으로 재임 중에 칠서지옥(七庶之獄)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시주(詩酒)로 여생을 보냄.
1561~1627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회덕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옹(復翁) - 한종유(韓宗愈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밀직부사(密直副使) 한영(韓英)의 아들. 이조년(李兆年)과 더불어 충숙왕(忠肅王)ㆍ충혜왕(忠惠王) 등에게 충절을 다하고, 조적(曺頔)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됨.
1287~1354 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옹(福翁) - 윤곤(尹坤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제2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 때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고, 우참찬(右參贊) 등을 지냄. 아우 윤향(尹向)과 함께 문학으로 이름을 떨침.
?~142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복왕(濮王) - 조윤양(趙允讓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英宗)의 생부(生父). 영종이 즉위하여 복안의왕(濮安懿王)으로 추숭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복원(復元)@차천로 - 차천로(車天輅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연안(延安). 평해 군수(平海郡守)를 지낸 차식(車軾)의 아들이며,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. 한시(漢詩)에 뛰어나 한호(韓濩)의 글씨, 최립(崔岦)의 문장과 함께 송도삼절(松都三絶)이라 불림.
1556~161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복원(復元)@송복원 - 송복원(宋復元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판돈녕부사(判敦寧府事) 송현수(宋玹壽)의 아버지로, 지중추원사(知中樞院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원(復元)@이복원 - 이복원(李復元)
조선 전기의 유학. 제봉(霽峯) 고경명(高敬命)과 교유하였으며, 《제봉집(霽峯集)》에 고경명이 그를 위해 지은 만사(挽詞)가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복원(復元) - 유정(柳貞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파직되고, 이홍윤(李洪胤)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살(杖殺)되었음.
1491~154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윤(福胤) - 이복윤(李福胤)
조선 전기의 종친. 광천군(廣川君) 이수기(李壽祺)의 손자이자 이엄(李儼)의 아들로, 완산부령(完山副令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복의(服義) - 신복의(辛服義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산(靈山). 수원 부사(水原府使)를 지낸 신상은(辛尙殷)의 아들. 1508년(중종 3)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됨.
?~150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이(復而) - 강석기(姜碩期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금천(衿川)으로, 소현세자빈(昭顯世子嬪)인 강빈(姜嬪)의 아버지. 강빈 사건으로 관작을 추탈당했다가 숙종(肅宗) 때 복관(復官)됨. 김장생(金長生)의 문인.
1580~164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금천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일(復一) - 김복일(金復一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이황(李滉)의 문인이며, 학봉(鶴峯) 김성일(金誠一)의 동생. 경주 교수(慶州敎授)ㆍ울산 군수(蔚山郡守)ㆍ창원 부사(昌原府使) 등을 지냈으며, 경주 교수로 있을 때 학생들을 경학으로써 인도하여 도의를 크게 일으킴.
1541~15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경상도>예천ㅣ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자(卜子) - 복상(卜商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위(魏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. 문학(文學)에 뛰어났으며, 공자(孔子)의 《춘추(春秋)》를 전하여 《공양전(公羊傳)》과 《곡량전(穀梁傳)》의 원류(源流)를 이루었고, 예(禮)의 객관적인 형식을 존중함.
B.C.507?~B.C.420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자(宓子) - 복부제(宓不齊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선보(單父)의 읍재(邑宰)를 지냈으며, 공자로부터 군자(君子)라는 칭찬을 받음.
B.C.521~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자천(宓子賤) - 복부제(宓不齊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선보(單父)의 읍재(邑宰)를 지냈으며, 공자로부터 군자(君子)라는 칭찬을 받음.
B.C.521~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자하(卜子夏) - 복상(卜商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위(魏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. 문학(文學)에 뛰어났으며, 공자(孔子)의 《춘추(春秋)》를 전하여 《공양전(公羊傳)》과 《곡량전(穀梁傳)》의 원류(源流)를 이루었고, 예(禮)의 객관적인 형식을 존중함.
B.C.507?~B.C.420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재(復齋)@서경덕 - 서경덕(徐敬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당성(唐城). 독자적인 기철학(氣哲學)의 체계를 완성하여, 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.
1489~154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재(復齋)@한종유 - 한종유(韓宗愈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밀직부사(密直副使) 한영(韓英)의 아들. 이조년(李兆年)과 더불어 충숙왕(忠肅王)ㆍ충혜왕(忠惠王) 등에게 충절을 다하고, 조적(曺頔)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됨.
1287~1354 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재(復齋)@박양좌 - 박양좌(朴良佐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박이장(朴而章)의 아버지로, 사마시(司馬試)에 합격하였으나 과거를 폐하였으며 훗날 경기전 참봉(慶基展參奉)ㆍ승선(承宣) 등을 지냄.
1521~159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재(復齋) - 정대인(鄭大人)
중국 명(明) 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안찰제조 학교부사(按察提調學校副使)를 지냄. 《표해록(漂海錄)》의 저자 최보(崔溥)가 항주(杭州)에서 만난 인물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