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복자(卜子) - 복상(卜商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위(魏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. 문학(文學)에 뛰어났으며, 공자(孔子)의 《춘추(春秋)》를 전하여 《공양전(公羊傳)》과 《곡량전(穀梁傳)》의 원류(源流)를 이루었고, 예(禮)의 객관적인 형식을 존중함.
B.C.507?~B.C.420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자(宓子) - 복부제(宓不齊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선보(單父)의 읍재(邑宰)를 지냈으며, 공자로부터 군자(君子)라는 칭찬을 받음.
B.C.521~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자천(宓子賤) - 복부제(宓不齊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선보(單父)의 읍재(邑宰)를 지냈으며, 공자로부터 군자(君子)라는 칭찬을 받음.
B.C.521~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자하(卜子夏) - 복상(卜商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위(魏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. 문학(文學)에 뛰어났으며, 공자(孔子)의 《춘추(春秋)》를 전하여 《공양전(公羊傳)》과 《곡량전(穀梁傳)》의 원류(源流)를 이루었고, 예(禮)의 객관적인 형식을 존중함.
B.C.507?~B.C.420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재(復齋)@서경덕 - 서경덕(徐敬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당성(唐城). 독자적인 기철학(氣哲學)의 체계를 완성하여, 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.
1489~154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재(復齋)@한종유 - 한종유(韓宗愈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밀직부사(密直副使) 한영(韓英)의 아들. 이조년(李兆年)과 더불어 충숙왕(忠肅王)ㆍ충혜왕(忠惠王) 등에게 충절을 다하고, 조적(曺頔)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됨.
1287~1354 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재(復齋)@박양좌 - 박양좌(朴良佐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박이장(朴而章)의 아버지로, 사마시(司馬試)에 합격하였으나 과거를 폐하였으며 훗날 경기전 참봉(慶基展參奉)ㆍ승선(承宣) 등을 지냄.
1521~159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재(復齋) - 정대인(鄭大人)
중국 명(明) 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안찰제조 학교부사(按察提調學校副使)를 지냄. 《표해록(漂海錄)》의 저자 최보(崔溥)가 항주(杭州)에서 만난 인물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재(復齋)@진복 - 진복(陳宓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승상(丞相) 진준경(陳俊卿)의 아들로, 어려서는 주희(朱熹)에게 배웠고, 커서는 황간(黃幹)에게 배움. 직비각(直秘閣)의 벼슬을 지냄. 저술에 《논어주의(論語註義)》가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재(復齋)@이휘준 - 이휘준(李彙濬)
조선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성(眞城). 이만도(李晩燾)의 아버지로, 대사성(大司成) 등을 지냄.
1806~186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보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재(服齋) - 기준(奇遵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, 기묘명현(己卯名賢)의 한 사람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유배되고 신사무옥(辛巳誣獄) 때 교살됨.
1492~152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재(復齋)@황순 - 황순(黃㽦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주자(朱子)의 문인(門人)이며 황정견(黃庭堅)의 질손(姪孫)으로, 군기감 승(軍器監丞)ㆍ지원주(知袁州) 등을 지냄.
1150~121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복재(復齋) - 육구령(陸九齡)
중국 송(宋) 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아우 육구연(陸九淵)과 더불어 서로 사우(師友)가 되어 아호(鵝湖)에서 강학하면서 ‘이륙(二陸)’으로 일컬어졌으며, 전주 교수(全州敎授) 등을 역임함.
1132~11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복재(復齋)@정총 - 정총(鄭摠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낸 정추(鄭樞)의 아들.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능하여 《고려사(高麗史)》 편찬에 참여했고, 중국으로 보내는 표전문(表箋文) 등을 많이 지음.
1358~1397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재고(復齋稿) - 화담집(花潭集)
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서경덕(徐敬德)의 시문집(詩文集). 초간본은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연간에 박민헌(朴民獻)ㆍ허엽(許曄) 등이 간행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복재고(復齋藁) - 화담집(花潭集)
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서경덕(徐敬德)의 시문집(詩文集). 초간본은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연간에 박민헌(朴民獻)ㆍ허엽(許曄) 등이 간행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복재선생(復齋先生) - 육구령(陸九齡)
중국 송(宋) 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아우 육구연(陸九淵)과 더불어 서로 사우(師友)가 되어 아호(鵝湖)에서 강학하면서 ‘이륙(二陸)’으로 일컬어졌으며, 전주 교수(全州敎授) 등을 역임함.
1132~11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복재선생집(復齋先生集) - 복재집(復齋集)@정총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총(鄭摠)의 시문집. 2권 2책. 1446년(세종 28)에 아들 정효충(鄭孝忠)이 편집하고, 이선제(李先齊)ㆍ정호연(鄭浩然) 등이 간행함.
1446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복정(覆鼎) - 삼각산(三角山)
서울 북부와 경기도 고양에 걸쳐 있는 북한산(北漢山)의 고려ㆍ조선시대의 이름. 최고봉 백운대(白雲臺)와 그 동쪽의 인수봉(仁壽峰), 남쪽 만경대(萬景臺)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명명됨.
경기도>고양ㅣ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복정산(覆鼎山) - 삼각산(三角山)
서울 북부와 경기도 고양에 걸쳐 있는 북한산(北漢山)의 고려ㆍ조선시대의 이름. 최고봉 백운대(白雲臺)와 그 동쪽의 인수봉(仁壽峰), 남쪽 만경대(萬景臺)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명명됨.
경기도>고양ㅣ서울 , 지명>자연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