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복창(復昌) - 진복창(陳復昌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이자 간신. 본관은 여양(驪陽)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윤원형(尹元衡)의 심복으로서 사람들을 죽여 사관(史官)으로부터 독사(毒蛇)라는 별명을 얻었고, 1550년(명종 5)에는 스승인 구수담(具壽聃)까지 역적으로 죽게 하여 극적(極賊)이라는 혹평을 얻음.
?~156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창(福昌) - 김수령(金壽寧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《국조보감(國朝寶鑑)》ㆍ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ㆍ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ㆍ《예종실록(睿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 경사(經史)에 밝고 문장이 뛰어났음.
1436~14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복창군(福昌君) - 김수령(金壽寧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《국조보감(國朝寶鑑)》ㆍ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ㆍ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ㆍ《예종실록(睿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 경사(經史)에 밝고 문장이 뛰어났음.
1436~14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복천(宓賤) - 복부제(宓不齊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선보(單父)의 읍재(邑宰)를 지냈으며, 공자로부터 군자(君子)라는 칭찬을 받음.
B.C.521~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천(復泉) - 강학년(姜鶴年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학행(學行)으로 천거되었으나 장령(掌令)으로서 공신들의 폐단을 상소하다가 파직됨. 효종(孝宗) 때 홍명하(洪命夏)의 상소로 신원되어 대사헌에 추증되고, 회덕의 용호사(龍湖祠)에 제향됨.
1585~164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천(福川)@송복천 - 송복천(宋福川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신평(新平). 효력부위(效力副尉) 송수지(宋壽之)의 아들이며 송태(宋泰)의 아버지로, 분순부위(奮順副尉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복천(福川) - 동복(同福)
전라도 화순(和順) 지역에 있는 옛 고을 이름.
전라도>화순 , 지명>행정지명
-
복천군(福川君) - 권개(權愷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안동 판관(安東判官)을 지낸 안팽로(安彭老)의 장인.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되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
?~146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천군(福川君)@오백령 - 오백령(吳百齡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복(同福). 사옹원 직장(司饔院直長)을 지낸 오세현(吳世賢)의 아들로, 광해군(光海君) 때 폐모론을 반대하여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(仁祖反正) 후에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냄.
1560~163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동복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천부원군(福川府院君) - 손홍량(孫洪亮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일직(一直)으로, 격재(格齋) 손조서(孫肇瑞)의 고조(高祖). 충정왕(忠定王) 때 공신에 책록되고 판삼사사(判三司事)를 지냈으며, 공민왕(恭愍王) 때 궤장(几杖)과 자신의 초상화를 하사받음.
1287~1379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복초(復初) - 원명선(元明善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조맹부(趙孟頫) 등과 함께 연경(燕京)의 만권당(萬卷堂)에 초빙되어 이제현(李齊賢) 등과 교류하였음.
1269~1322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초(復初) - 최흥원(崔興源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삭녕(朔寧)으로, 최수진(崔秀珍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도순찰사(都巡察使)로 군정 책임을 맡았고, 영의정 등을 지냄. 사후에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되고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529~160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복파(伏波) - 마원(馬援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장군. 광무제(光武帝)의 신하가 되어 교지(交趾)와 흉노(匈奴) 등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움.
B.C.14~A.D.49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복하(卜夏) - 복상(卜商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위(魏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. 문학(文學)에 뛰어났으며, 공자(孔子)의 《춘추(春秋)》를 전하여 《공양전(公羊傳)》과 《곡량전(穀梁傳)》의 원류(源流)를 이루었고, 예(禮)의 객관적인 형식을 존중함.
B.C.507?~B.C.420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복해(福海) - 탁복해(卓福海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부 상서(吏部尙書)를 지낸 탁정위(卓廷位)의 둘째 아들로, 도호부사(都護府使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복현(復顯) - 정복현(鄭復顯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으로, 우후(虞侯) 정신(鄭愼)의 아들. 정희보(鄭希輔)ㆍ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 노진(盧禛)ㆍ양희(梁喜) 등과 교유함.
1521~159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복홀(伏忽) - 보성(寶城)
전라도 남부에 있는 군(郡). 서쪽으로 장흥(長興), 동쪽으로 순천(順天)과 접함.
전라도>보성 , 지명>행정지명
-
복홍(福弘) - 이복홍(李福弘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충량(李忠樑)의 아들이며, 간재(艮齋) 이덕홍(李德弘)의 형으로, 부장(部將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무신
-
복후(伏后) - 헌제복황후(獻帝伏皇后)
중국 후한(後漢) 최후의 황제인 헌제(獻帝)의 비. 조조(曹操)의 세력이 커져 황제를 업신여기자 아버지 복완(伏完)과 모의하여 조조를 죽이려다 일이 탄로나 두 아들과 함께 몰살당함.
?~214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복흥(復興)@남복흥 - 남복흥(南復興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수의부위(修義副尉) 남맹하(南孟夏)의 아들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무공(武功)을 세우고, 명(明) 나라 장수 진린(陳璘)의 접반사(接伴使)를 지냄.
1553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