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본적(本寂) - 달공(達空)
고려 말의 선승(禪僧). 이색(李穡)이 발문(跋文)을, 권근(權近)이 서(序)를 쓴 선문답(禪問答)에 관한 《법어집(法語集)》을 남겼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본중(本中) - 여본중(呂本中)
중국 송(宋) 나라의 시인. 황정견(黃庭堅)과 진사도(陳師道)의 시풍을 계승했으며, 그가 작성한 〈강서시사종파도(江西詩社宗派圖)〉는 강서파(江西派)에 영향을 미쳐 송 나라 시의 새 기원을 열었음.
1084~114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본초(本初) - 원소(袁紹)
중국 후한(後漢) 영제(靈帝)~헌제(獻帝) 때의 무신. 영제가 죽자 환관들을 일소하려다가 실패한 뒤 동탁(董卓)을 낙양(洛陽)에서 몰아내고 강력한 세력을 구축하였으나, 조조(曹操)와 결전을 벌였다가 대패하고 병사함.
?~202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본초(本草) - 본초강목(本草綱目)
중국 명(明)나라의 학자인 이시진(李時珍)이 지은 약학서(藥學書). 52권. 전편을 부(部)ㆍ강(綱)ㆍ목(目)의 체제로 나누어 총 1,892종의 약재를 망라해 놓음.
1596 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본향산(本香山) - 광성산(廣城山)
평안도 영원(寧遠)에 있는 산. 묘향산(妙香山)의 조종산(祖宗山)으로, 석룡굴(石龍窟)이 유명함.
평안도>영원 , 지명>자연지명
-
봉(封) - 이봉(李封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계전(李季甸)의 아들이자, 이파(李坡)의 아우로, 진위 겸 진향사(陳慰兼進香使)가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으며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역임함.
1441~149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봉(崶) - 김봉(金崶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이조 정랑(吏曹正郞) 김륜(金崙)의 동생.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하고, 갑자사화(甲子士禍)로 파직되었다가 중종 때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?~1512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봉(熢) - 봉안군(鳳安君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여섯번째 아들. 어머니는 귀인정씨(貴人鄭氏). 1504년(연산군 10)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이천(伊川)으로 귀양갔다가 다음해 사사(賜死)됨.
?~150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봉(篈) - 허봉(許篈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양천(陽川). 유희춘(柳希春)의 문인으로, 동인(東人)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(沈義謙) 등 서인(西人)들과 대립하고, 이이(李珥)의 과실을 탄핵하였다가 갑산(甲山)에 유배됨. 후에 금강산에서 병사(病死)함.
1551~158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봉(逢)@이봉 - 이봉(李逢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의병장ㆍ문신. 본관은 한양(漢陽).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조헌(趙憲)ㆍ정경세(鄭經世) 등과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공적을 세움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냈으나 난이 진압된 뒤에는 귀향하여 여생을 보냄.
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봉(逢)@윤봉 - 윤봉(尹逢)
고려 전기의 문신. 태조(太祖) 왕건(王建)을 도운 공으로 삼한공신(三韓功臣)에 책록되고, 내사령(內史令)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김포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봉(逢) - 소봉(蘇逢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소세량(蘇世良)의 아들로, 1525년(중종 20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고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역임함.
1509~156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익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봉(鋒) - 이봉(李鋒)
조선 전기의 종친. 내섬시 정(內贍寺正)을 지낸 신거이(愼居易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봉(鳳) - 왕봉(王鳳)
중국 전한(前漢)의 외척. 원제(元帝)의 비인 왕황후(王皇后)의 동생이며, 성제(成帝)의 외삼촌으로, 성제 즉위 후 정권을 장악하고 전횡함.
?~B.C.22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인척
-
봉각(鳳閣) - 상서성(尙書省)
고려시대 삼성(三省)의 하나로, 행정의 실무를 담당한 집행기구. 2품 이상으로 구성된 상서도성(尙書都省)과 3품 이하로 조직된 상서육부(尙書六部)로 구성됨.
995~1275, 1356~1362 한국>고려시대 , 경기도>개성 , 법제>관청
-
봉계처사(鳳溪處士) - 길재(吉再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ㆍ권근(權近) 등에게 수학하였고,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(三隱)으로 일컬어짐.
1353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봉구(鳳九) - 윤봉구(尹鳳九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권상하(權尙夏)의 문인(門人). ‘강문팔학사(江門八學士)’의 한 사람으로, 호락논쟁(湖洛論爭)에서 호론(湖論)을 주장한 중심인물이며, 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.
1681~1767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봉국군(奉國軍) - 광주(廣州)
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. 삼국시대(三國時代)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.
경기도>광주 , 지명>행정지명
-
봉녕군(奉寧君) - 이복근(李福根)
조선 전기의 종실. 태조(太祖)의 첫째 아들인 진안대군(鎭安大君) 이방우(李芳雨)의 첫째 아들로, 정사공신(定社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봉녕부원군(奉寧府院君) - 이복근(李福根)
조선 전기의 종실. 태조(太祖)의 첫째 아들인 진안대군(鎭安大君) 이방우(李芳雨)의 첫째 아들로, 정사공신(定社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