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복흥(復興) - 경복흥(慶復興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기철(奇轍)을 숙청하여 1등 공신에 책록되고,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진충동덕협보공신(盡忠同德協輔功臣)의 호를 받음. 신돈(辛旽)을 제거하려다 유배되었으나, 신돈이 주살된 후 다시 좌시중(左侍中)이 됨.
?~1380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복흥(復興)@송복흥 - 송복흥(宋復興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송전(宋琠)의 아들이고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순절한 동래 부사(東萊府使) 송상현(宋象賢)의 아버지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ㆍ송화 현감(松禾縣監)을 지냄.
1527~1594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복흥(復興)@이복흥 - 이복흥(李復興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응경(李應慶)의 아버지로, 충좌위 사과(忠佐衛司果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무신
-
복흥군(復興君) - 민종유(閔宗儒)
고려 원종(元宗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충렬왕(忠烈王) 때 삼사우윤(三司右尹)ㆍ전법판서(典法判書)ㆍ감찰대부(監察大夫)를 거쳐 찬성사(贊成事)가 되었으며, 충숙왕 때 복흥군(福興君)에 봉해짐.
1245~1324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복흥군(復興君)@조반 - 조반(趙胖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호군(護軍) 조세경(趙世卿)의 아들. 조선 태조(太祖)를 추대하여 개국공신(開國功臣)이 되고 복흥군(復興君)에 봉해졌으며, 참찬문하부사(參贊門下府事)를 지냄.
1341~140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복흥수(復興守) - 이몽은(李夢殷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증손인 의천군(義泉君) 이인(李仁)의 둘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복희(伏犧) - 복희(伏羲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. 삼황오제(三皇五帝) 중 첫머리에 꼽히며, 팔괘(八卦)를 처음 만들고 어획(漁獲)과 수렵(狩獵)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복희(宓羲) - 복희(伏羲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. 삼황오제(三皇五帝) 중 첫머리에 꼽히며, 팔괘(八卦)를 처음 만들고 어획(漁獲)과 수렵(狩獵)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본(本) - 탁본(卓本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내시윤(內侍尹)을 지낸 탁산립(卓山立)의 아들로, 직장(直長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본말장(本末章) - 대학(大學)
유교 경전인 사서(四書)의 하나. 《예기(禮記)》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(宋) 나라의 사마광(司馬光)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《대학광의(大學廣義)》를 만들었고, 송 나라의 주희(朱熹)가 《대학장구(大學章句)》를 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본암(本庵) - 김종후(金鍾厚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김치만(金致萬)의 아들이며, 민우수(閔遇洙)의 문인(門人). 어려서부터 사부(詞賦)에 능하여 문명이 있었으나, 정치적 전변을 거듭하여 비난받음.
1721~178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본연(本然) - 김방경(金方慶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효인(金孝印)의 아들로, 삼별초(三別抄)의 난을 평정하고 원(元) 나라가 일본을 정벌할 때 참여함.
1212~1300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본적(本寂) - 달공(達空)
고려 말의 선승(禪僧). 이색(李穡)이 발문(跋文)을, 권근(權近)이 서(序)를 쓴 선문답(禪問答)에 관한 《법어집(法語集)》을 남겼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본중(本中) - 여본중(呂本中)
중국 송(宋) 나라의 시인. 황정견(黃庭堅)과 진사도(陳師道)의 시풍을 계승했으며, 그가 작성한 〈강서시사종파도(江西詩社宗派圖)〉는 강서파(江西派)에 영향을 미쳐 송 나라 시의 새 기원을 열었음.
1084~114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본초(本初) - 원소(袁紹)
중국 후한(後漢) 영제(靈帝)~헌제(獻帝) 때의 무신. 영제가 죽자 환관들을 일소하려다가 실패한 뒤 동탁(董卓)을 낙양(洛陽)에서 몰아내고 강력한 세력을 구축하였으나, 조조(曹操)와 결전을 벌였다가 대패하고 병사함.
?~202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본초(本草) - 본초강목(本草綱目)
중국 명(明)나라의 학자인 이시진(李時珍)이 지은 약학서(藥學書). 52권. 전편을 부(部)ㆍ강(綱)ㆍ목(目)의 체제로 나누어 총 1,892종의 약재를 망라해 놓음.
1596 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본향산(本香山) - 광성산(廣城山)
평안도 영원(寧遠)에 있는 산. 묘향산(妙香山)의 조종산(祖宗山)으로, 석룡굴(石龍窟)이 유명함.
평안도>영원 , 지명>자연지명
-
봉(封) - 이봉(李封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계전(李季甸)의 아들이자, 이파(李坡)의 아우로, 진위 겸 진향사(陳慰兼進香使)가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으며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역임함.
1441~149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봉(崶) - 김봉(金崶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이조 정랑(吏曹正郞) 김륜(金崙)의 동생.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하고, 갑자사화(甲子士禍)로 파직되었다가 중종 때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?~1512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봉(熢) - 봉안군(鳳安君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여섯번째 아들. 어머니는 귀인정씨(貴人鄭氏). 1504년(연산군 10)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이천(伊川)으로 귀양갔다가 다음해 사사(賜死)됨.
?~150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