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봉(篈) - 허봉(許篈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양천(陽川). 유희춘(柳希春)의 문인으로, 동인(東人)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(沈義謙) 등 서인(西人)들과 대립하고, 이이(李珥)의 과실을 탄핵하였다가 갑산(甲山)에 유배됨. 후에 금강산에서 병사(病死)함.
1551~158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봉(逢)@이봉 - 이봉(李逢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의병장ㆍ문신. 본관은 한양(漢陽).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조헌(趙憲)ㆍ정경세(鄭經世) 등과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공적을 세움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냈으나 난이 진압된 뒤에는 귀향하여 여생을 보냄.
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봉(逢)@윤봉 - 윤봉(尹逢)
고려 전기의 문신. 태조(太祖) 왕건(王建)을 도운 공으로 삼한공신(三韓功臣)에 책록되고, 내사령(內史令)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김포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봉(逢) - 소봉(蘇逢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소세량(蘇世良)의 아들로, 1525년(중종 20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고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역임함.
1509~156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익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봉(鋒) - 이봉(李鋒)
조선 전기의 종친. 내섬시 정(內贍寺正)을 지낸 신거이(愼居易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봉(鳳) - 왕봉(王鳳)
중국 전한(前漢)의 외척. 원제(元帝)의 비인 왕황후(王皇后)의 동생이며, 성제(成帝)의 외삼촌으로, 성제 즉위 후 정권을 장악하고 전횡함.
?~B.C.22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인척
-
봉각(鳳閣) - 상서성(尙書省)
고려시대 삼성(三省)의 하나로, 행정의 실무를 담당한 집행기구. 2품 이상으로 구성된 상서도성(尙書都省)과 3품 이하로 조직된 상서육부(尙書六部)로 구성됨.
995~1275, 1356~1362 한국>고려시대 , 경기도>개성 , 법제>관청
-
봉계처사(鳳溪處士) - 길재(吉再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ㆍ권근(權近) 등에게 수학하였고,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(三隱)으로 일컬어짐.
1353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봉구(鳳九) - 윤봉구(尹鳳九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권상하(權尙夏)의 문인(門人). ‘강문팔학사(江門八學士)’의 한 사람으로, 호락논쟁(湖洛論爭)에서 호론(湖論)을 주장한 중심인물이며, 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.
1681~1767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봉국군(奉國軍) - 광주(廣州)
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. 삼국시대(三國時代)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.
경기도>광주 , 지명>행정지명
-
봉녕군(奉寧君) - 이복근(李福根)
조선 전기의 종실. 태조(太祖)의 첫째 아들인 진안대군(鎭安大君) 이방우(李芳雨)의 첫째 아들로, 정사공신(定社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봉녕부원군(奉寧府院君) - 이복근(李福根)
조선 전기의 종실. 태조(太祖)의 첫째 아들인 진안대군(鎭安大君) 이방우(李芳雨)의 첫째 아들로, 정사공신(定社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봉덕이(封德彛) - 봉륜(封倫)
중국 당(唐) 나라의 재상. 원래 수(隋) 나라에서 벼슬하였으나 당에 귀화함. 태종(太宗)이 치세(治世)의 방법을 묻자 시무(時務)에 입각한 형법설(刑法說)을 주장함.
568~627 중국>당ㅣ중국>수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봉도(蓬島) - 봉래산(蓬萊山)
중국 전설에 나오는 산 이름. 선인(仙人)이 산다는 삼신산(三神山)의 하나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봉도정씨(蓬島鄭氏) - 동래정씨(東萊鄭氏)
신라 말 안일 호장(安逸戶長)을 지낸 정회문(鄭繪文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동래 , 인명>집단>성씨
-
봉두(蓬頭) - 왕휘지(王徽之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진(晉) 나라의 서예가. 왕희지(王羲之)의 아들로, 자유분방한 성격을 지녔고 대나무 그림에 능했음.
?~38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봉람(鳳覽) - 옥동(玉洞)
경상도 진성현(眞城縣)의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. 이황(李滉)을 배향한 옥동서원(玉洞書院)이 있음.
경상도>진보 , 지명>행정지명
-
봉람서원(鳳覽書院) - 옥동서원(玉洞書院)@진보
조선 선조(宣祖) 때 이황(李滉)의 문인인 이정회(李庭檜)가 경상도 진보(眞寶)에 세운 서원. 이황(李滉)을 배향함. 현재 경상북도 영양(英陽)에 그 터가 있음.
16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보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봉래(蓬萊)@봉래산 - 봉래산(蓬萊山)
중국 전설에 나오는 산 이름. 선인(仙人)이 산다는 삼신산(三神山)의 하나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봉래(蓬萊)@금강산 - 금강산(金剛山)
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. 예로부터 삼신산(三神山)의 하나로 꼽히고, 계절에 따라 봉래산(蓬萊山)ㆍ풍악산(楓嶽山)ㆍ개골산(皆骨山)으로 불림.
강원도>통천ㅣ강원도>고성 , 지명>자연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