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봉래(蓬萊)@동래 - 동래(東萊)
경상남도 남동부 일대에 있는 옛 고을 이름. 조선시대 대일 외교를 총관하던 중요한 관문이었고,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.
경상도>동래 , 지명>행정지명
-
봉래(蓬萊) - 정창연(鄭昌衍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정유길(鄭惟吉)의 아들로, 좌의정(左議政) 등을 지냄. 1614년(광해군 6)에 영창대군(永昌大君)에 대한 상소로 위험에 처한 정온(鄭蘊)을 변호하고, 폐모(廢母) 논의가 일자 두문불출하다가 인조반정 이후 복직함.
1552~163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봉래(蓬萊)@지리산 - 지리산(智異山)
전라도 남원(南原)ㆍ구례(求禮), 경상도 산청(山淸)ㆍ함양(咸陽)ㆍ하동(河東)에 걸쳐 있는 산.
전라도>남원ㅣ전라도>구례ㅣ경상도>함양ㅣ경상도>하동 , 지명>자연지명
-
봉래(蓬萊)@양사언 - 양사언(楊士彦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본관은 청주(淸州). 회양(淮陽)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, 시(詩)ㆍ서(書)에 능하여, 안평대군(安平大君)ㆍ김구(金絿)ㆍ한호(韓濩)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(四大) 서예가로 불림.
1517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봉래객(蓬萊客) - 양사언(楊士彦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본관은 청주(淸州). 회양(淮陽)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, 시(詩)ㆍ서(書)에 능하여, 안평대군(安平大君)ㆍ김구(金絿)ㆍ한호(韓濩)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(四大) 서예가로 불림.
1517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봉래군(逢萊君) - 이형윤(李炯胤)
조선 후기의 무신ㆍ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사간원 사간(司諫院司諫) 이후(李垕)의 아버지로, 봉래군(逢萊君)에 봉해지고, 오위도총부 부총관(五衛都摠府副摠管) 등을 지냄.
1593~164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종친
-
봉래산(蓬萊山)@변산 - 변산(邊山)
전라북도 부안(扶安)에 있는 산 이름.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어 일찍이 한국 팔경(八景)의 하나로 꼽혀왔으며, 산이면서 바다와 직접 닿아 있는 것이 특징임.
전라도>부안 , 지명>자연지명
-
봉래산(蓬萊山)@금강산 - 금강산(金剛山)
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. 예로부터 삼신산(三神山)의 하나로 꼽히고, 계절에 따라 봉래산(蓬萊山)ㆍ풍악산(楓嶽山)ㆍ개골산(皆骨山)으로 불림.
강원도>통천ㅣ강원도>고성 , 지명>자연지명
-
봉래산수인(蓬萊山水人) - 양사언(楊士彦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본관은 청주(淸州). 회양(淮陽)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, 시(詩)ㆍ서(書)에 능하여, 안평대군(安平大君)ㆍ김구(金絿)ㆍ한호(韓濩)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(四大) 서예가로 불림.
1517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봉래선사(蓬萊仙史) - 양사언(楊士彦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본관은 청주(淸州). 회양(淮陽)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, 시(詩)ㆍ서(書)에 능하여, 안평대군(安平大君)ㆍ김구(金絿)ㆍ한호(韓濩)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(四大) 서예가로 불림.
1517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봉래천일옹(蓬萊天逸翁) - 양사언(楊士彦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본관은 청주(淸州). 회양(淮陽)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, 시(詩)ㆍ서(書)에 능하여, 안평대군(安平大君)ㆍ김구(金絿)ㆍ한호(韓濩)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(四大) 서예가로 불림.
1517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봉령(鳳齡) - 구봉령(具鳳齡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에 뛰어나고, 《혼천의기(渾天儀記)》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.
1526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봉례(奉禮) - 윤통(尹統)
조선 전기의 문신. 유방선(柳方善)의 《태재집(泰齋集)》에 부모를 모시기 위해 벼슬을 버리고 돌아가는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봉릉부수(鳳陵副守) - 이만년(李萬年)
조선 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증손인 연산수(連山守) 이사창(李嗣昌)의 넷째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파산(坡山)에서 죽음.
?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봉림대군(鳳林大君) - 효종(孝宗)@조선
조선 제17대 왕. 재위 1649~1659. 병자호란(丙子胡亂) 직후 소현세자(昭顯世子)와 함께 청(淸) 나라의 볼모로 8년간 머묾. 즉위 후 송시열(宋時烈)을 중용하여 북벌계획을 수립하고, 대동법(大同法) 시행과 상평통보(常平通寶)를 주조하는 등 경제시책에 업적을 남김.
1619~165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봉림수(鳳林守) - 이수인(李守仁)@이옥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손자이며, 옥천군(玉泉君) 이옥(李沃)의 아들로, 봉림수(鳳林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봉림수(鳳林守)@이상윤 - 이상윤(李祥胤)
조선 후기의 종친.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증손이며, 용천군(龍川君) 이수한(李壽鷴)의 손자이자, 원성군(原城君) 이탁(李倬)의 첫째 아들. 봉림수(鳳林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봉복군(奉福君) - 신조(神照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천태종(天台宗) 승려. 공민왕의 총애를 받았고, 요동정벌 때 이성계(李成桂)를 따라 종군하여 회군(回軍)에 기여한 공으로 회군공신(回軍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수원ㅣ강원도>원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종교인>승려
-
봉사(鳳寺) - 봉정사(鳳停寺)
통일신라시대에 경상도 안동(安東)에 창건한 사찰. 672년(문무왕 12) 의상(義湘) 대사가 창건하여 지금에 이르렀으며, 극락전(極樂殿) 등의 국보와 보물이 전함.
672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안동 , 유적>건물>사찰
-
봉산(蓬山)@봉래산 - 봉래산(蓬萊山)
중국 전설에 나오는 산 이름. 선인(仙人)이 산다는 삼신산(三神山)의 하나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