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갑자사화(甲子士禍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10년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(尹氏)의 복위(復位) 문제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. 수많은 명신 거유(名臣巨儒)들이 화를 당하였음.
1504 한국>조선전기 , 사건>사화
-
강^관(絳^灌)
중국 전한(前漢) 고조(高祖)~문제(文帝) 때의 문신ㆍ공신인 강후(絳侯) 주발(周勃)과 무신인 영음후(潁陰侯) 관영(灌嬰)을 함께 부르는 말. 외척을 몰아내고 왕실의 기반을 다진 충신을 가리킴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강^양(鋼^樑)
조선 명종(明宗)의 장인인 청릉부원군(靑陵府院君) 심강(沈鋼)과 그의 처남인 이량(李樑)을 함께 부르는 말. 이량은 윤원형(尹元衡)을 견제하기 위해 등용되었으나 전횡을 일삼자 심강의 견제를 받아 유배지에서 죽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강^위(江^渭)
중국 양자강(揚子江)의 남쪽에 있는 강동(江東)과, 산서성(山西省) 서안(西安) 위수(渭水)의 북쪽에 있는 위북(渭北)을 함께 부르는 말. 붕우간에 오랫동안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서로 그리워하는 정을 가리킴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강^하(江^河)
중국에서 가장 긴 강인 양자강(揚子江)과 두 번째로 긴 황하(黃河)를 함께 부르는 말.
지명>기타지명
-
강^회(江^淮)
중국 안휘성(安徽省)에 있는 양자강(揚子江)과 회수(淮水) 지역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강감찬(姜邯贊)
고려 성종(成宗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거란의 소배압(蕭排押)이 이끄는 10만 대군을 흥화진(興化鎭)ㆍ귀주(龜州)에서 크게 격파함. 이부 상서(吏部尙書)ㆍ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냄.
948~1031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금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강거문답(江居問答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계(兪棨)가 지은 글. 율곡(栗谷)의 〈동호문답(東湖問答)〉을 모방하여 지은 것으로, 주객(主客)을 나누어 문답식으로 정치의 요체를 논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작품명
-
강거충(姜居忠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晋州). 강세창(姜世昌)의 아버지로 충익부 도사(忠翊府都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견(姜涀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항(姜沆)의 형이고 이이(李珥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 사건 때 최영경(崔永慶)을 유령의 인물인 길삼봉(吉三峯)으로 무고하여 옥사(獄死)하게 함.
1554~158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문사>유학
-
강결(姜結)
조선 전기의 문신. 참판(參判)을 지낸 강사상(姜士尙)의 아들로,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했지만 급제하지 못하고 음보(蔭補)로 찰방(察訪)이 됨. 권벽(權擘)과 교유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강겸(姜謙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강자평(姜子平)의 아들로, 무오사화(戊午士禍)로 유배된 후 능지처참됨.
?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경서(姜景敍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냄. 남효온(南孝溫)ㆍ권경유(權景裕) 등과 더불어 사장(詞章)ㆍ정사(政事)ㆍ절의(節義)ㆍ효행(孝行) 등으로 명성이 높음.
1443~151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경선(康景善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신천(信川). 창원도호부사(昌原都護府使) 강의(康顗)의 아들이고 강유선(康惟善)의 형. 이홍남(李洪男)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평민(平民)으로 강등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문사>유학
-
강계(江界)
평안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. 고구려ㆍ발해의 땅이었다가 발해 멸망 후 거란ㆍ여진이 분산 거주한 것을, 1361년(공민왕 10)에 고려의 땅으로 수복함. 방어의 요충지.
평안도>강계 , 지명>행정지명
-
강계강(姜季江)
중국 후한(後漢)의 은자(隱者). 강굉(姜肱)ㆍ강중해(姜仲海)와 형제간의 우애로 이름이 높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강곤(康袞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가담하고, 남이(南怡)의 옥사(獄事)에 공을 세워 익대공신(翊戴功臣) 등에 책록됨.
1411~1484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강공망(姜公望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晋州).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를 지낸 강욱(姜昱)과 호조 판서(戶曹判書)를 지낸 강섬(姜暹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강관(姜琯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부사(府使)를 지낸 강응태(姜應台)의 아버지로, 1510년(중종 5) 식년시(式年試) 병과(丙科)에 급제하여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굉(姜肱)
중국 후한(後漢) 영제(靈帝) 때의 은사(隱士). 동생 강중해(姜仲海)ㆍ강계강(姜季江)과 함께 효행(孝行)과 우애(友愛)로 이름이 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기타인명>은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