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봉성군(蓬城君) - 이항(李恒)@이채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손자이며 의성군(誼城君) 이채(李寀)의 아들로, 봉성군(蓬城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봉성군(鳳城君)@이이 - 이이(李𢓡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정종(定宗)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(鎭南君) 이종생(李終生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봉성금씨(鳳城琴氏) - 봉화금씨(奉化琴氏)
고려 초의 삼한공신(三韓功臣)인 태사(太師) 금용식(琴容式)을 시조로 하는 성씨. 기자(箕子)와 함께 우리나라에 온 금응(琴應)을 원조(遠祖)로 함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집단>성씨
-
봉성부수(蓬城副守) - 이항(李恒)@이채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손자이며 의성군(誼城君) 이채(李寀)의 아들로, 봉성군(蓬城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봉성위(奉城尉) - 정원준(鄭元俊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부마. 본관은 봉화(奉化). 성종의 여섯 번째 딸인 정순옹주(靜順翁主)와 혼인함.
?~150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왕실>인척
-
봉성정(蓬城正) - 이항(李恒)@이채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손자이며 의성군(誼城君) 이채(李寀)의 아들로, 봉성군(蓬城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봉세(奉世) - 홍봉세(洪奉世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경림(洪景霖)의 아들이며,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으로, 성수침(成守琛) 등과 친교하였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벼슬을 단념하였다가, 선조 때 장례원 판결사(掌隸院判決事) 등을 역임함.
1498~157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봉소(鳳韶) - 소소(簫韶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순(舜) 임금이 지었다는 음악 이름. 아홉 곡조를 연주하자 봉황새가 날아와 춤을 추었다 함.
고대 , 중국 , 기타>가무
-
봉손(奉孫) - 이봉손(李奉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용인(龍仁). 이조 정랑(吏曹正郞) 이효언(李孝彦)의 아버지로, 임피 현령(臨陂縣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용인 , 인명>관인>문신
-
봉수(峯叟) - 이민각(李民覺)@조선후기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약빙(李若氷)의 손자로, 임진왜란 때, 전라도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에 공을 세웠으며, 호조 참의(戶曹參議) 등을 지냄.
1535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봉시(鳳時) - 정봉시(鄭鳳時)
조선 고종(高宗)~근대(近代)의 문신. 본관은 초계(草溪). 경학원 대제학(經學院大提學) 등을 지냈고, 문장을 잘 하여 《간재집(艮齋集)》ㆍ《동원집(東園集)》 등의 서문을 지음.
1855~? 한국>근대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봉신(逢辰) - 방봉신(方逢辰)
중국 송(宋) 이종(理宗)~도종(度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방봉진(方逢振)의 형으로, 《교봉선생문집(蛟峰先生文集)》을 저술함.
1221~129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봉암(蓬庵) - 황보기(皇甫琦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고종 때 대장군으로 몽고에 사신으로 다녀왔고, 원종(元宗)이 원 나라에서 환국할 때 어가(御駕)를 제때 봉영(奉迎)하지 않았다가 힐책을 당함. 문하시랑 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로 치사(致仕)함.
?~1285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봉암(鳳巖) - 홍상민(洪相民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계(缶溪). 홍여하(洪汝河)의 아들로, 세자익위사 익위(世子翊衛司翊衛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흥 , 인명>관인>문신
-
봉암(鳳巖)@이경여 - 이경여(李敬輿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괄(李适)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(仁祖)를 호종하고, 1642년(인조 20) 배청친명파(背淸親明派)로 청 나라 연호를 쓰지 않았다는 밀고를 받고 심양(瀋陽)에 끌려가 억류되었다가 풀려났으며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585~165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봉암사우(鳳巖祠宇) - 봉암사(鳳巖祠)
조선 숙종(肅宗) 때 전라도 진도(珍島)에 건립한 사당. 노수신(盧守愼)ㆍ이경여(李敬輿)ㆍ정홍익(鄭弘翼)ㆍ남이성(南二星)ㆍ김수항(金壽恒) 등을 배향함.
168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진도 , 유적>건물>사당
-
봉암처사(鳳巖處士) - 길재(吉再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ㆍ권근(權近) 등에게 수학하였고,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(三隱)으로 일컬어짐.
1353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봉양(鳳陽) - 봉산(鳳山)
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원래 고구려의 휴암군(携巖郡)인데, 고려 때에는 방어사(防禦使)를 두었다가 조선 태종(太宗) 때 봉산군(鳳山郡)이 됨.
황해도>봉산 , 지명>행정지명
-
봉오(鳳五) - 윤봉오(尹鳳五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윤명운(尹明運)의 아들이며, 윤봉구(尹鳳九)의 아우로, 연잉군(延礽君) 시절의 영조를 측근에서 보필하였고, 판돈녕부사(判敦寧府事) 등을 역임함.
1688~1769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봉옹(峯翁) - 이민각(李民覺)@조선후기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약빙(李若氷)의 손자로, 임진왜란 때, 전라도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에 공을 세웠으며, 호조 참의(戶曹參議) 등을 지냄.
1535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