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봉황대(鳳凰臺)@명암 - 명암(鳴巖)
전라도 남원부(南原府) 대곡리(大谷里)에 있는 바위 이름. 바위가 울면 마을에 경사가 난다고 믿었으며, 김인후(金麟厚)의 《하서집(河西集)》에 이 명암(鳴巖)을 차운한 시가 있음.
전라도>남원 , 지명>자연지명
-
봉흔(奉昕) - 봉흔(奉訢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평안도 병마우후(平安道兵馬虞候)ㆍ충청 수사(忠淸水使)ㆍ전라 수사(全羅水使)ㆍ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부(俯) - 공부(孔俯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소격전 제조(昭格殿提調)로서 중국에 가서 도교 의식을 배워오고, 검교 한성부 윤(檢校漢城府尹) 등을 지냈으나, 천추사(千秋使)로 중국에 갔다가 돌아오지 못하고 죽음.
?~141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부(傅)@원부 - 원부(元傅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로, 원충(元忠)의 할아버지. 충렬왕 때 유경(柳璥)ㆍ김구(金坵) 등과 함께 《고종실록(高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함. 《고금록(古今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첨의중찬(僉議中贊)에 오름.
1219~1287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부(傅) - 경순왕(敬順王)
신라 제56대 왕. 재위 927~935. 927년 후백제 견훤(甄萱)에 의해 옹립되었으며, 935년 고려 태조(太祖)에게 항복함. 낙랑공주(樂浪公主)를 아내로 맞고 정승공(政承公)에 봉해졌으며, 경주(慶州)의 사심관(事審官)에 임명됨으로써 고려시대 사심관제도의 시초가 됨.
?~979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부(富) - 김부(金富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김취려(金就礪)의 아버지. 1186년(명종 16) 예부 시랑(禮部侍郞)을 겸함으로써 무신으로서 문한(文翰)을 관장하는 유관직(儒官職)까지 겸한 최초의 인물이 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부(富)@나부 - 나부(羅富)
고려 전기의 무신. 중국에서 귀화하여 나주나씨(羅州羅氏)의 시조가 됨. 감문위 상장군(監門衛上將軍)을 역임함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관인>무신
-
부(暊) - 순회세자(順懷世子)
조선 제13대 명종(明宗)의 외아들. 인순왕후(仁順王后)의 소생으로, 7살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3살의 나이로 요절함.
1551~156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부(溥)@최부 - 최부(崔溥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탐진(耽津). 진사(進士) 최택(崔澤)의 아들이며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홍문관 교리(弘文館校理)를 지냈으나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죽임을 당함. 저서에 《금남표해록(錦南漂海錄)》이 있음.
1454~150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부(溥)@홍부 - 홍부(洪溥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홍신(洪愼)의 아들로, 사재감 정(司宰監正)ㆍ광주 목사(光州牧使) 등을 지냄.
152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부(溥)@손부 - 손부(孫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해(平海). 의정부 우찬성(議政府右贊成) 손순효(孫舜孝)의 아들이며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손주(孫澍)의 아우로, 1522년(중종 17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군수(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평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부(溥)@노부 - 노부(盧溥)
조선 현종(顯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풍천(豊川). 선교랑(宣敎郞) 노형필(盧亨弼)의 아들로, 1660년(현종 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으며, 이문헌(李文獻)의 딸과 혼인함.
1631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부(溥) - 이부(李溥)
조선 세조(世祖)~예종(睿宗) 때의 종친ㆍ문신. 세종(世宗)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(廣平大君) 이여(李璵)의 아들로, 이시애(李施愛)의 난 때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고, 남이(南怡)의 옥사 때 익대공신(翊戴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젊은 나이에 요절함.
1444~147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
-
부(溥)@신부 - 신부(申溥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문충공(文忠公) 신숙주(申叔舟)의 아들. 영산(靈山)과 고령(高靈)의 현감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부(溥)@한부 - 한부(韓溥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서청군(西淸君) 한삼덕(韓參德)의 아들로, 찰방(察訪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부(符) - 정부(鄭符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고려 말에 교주도 안렴사(交州道按廉使)를 지내고, 1408년(태종 8) 고부청시사(告訃請諡使)의 부사(副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옴. 한성부 윤(漢城府尹) 등을 지냄.
?~141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부(郛) - 곽부(郭郛)
고려 후기의 문신. 곽원진(郭元振)의 손자. 본관은 현풍(玄風). 추충익대공신(推忠翊戴功臣)으로, 벼슬이 삼중대광(三重大匡)에 이르렀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현풍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부(釜) - 윤부(尹釜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승홍(尹承弘)의 아들로, 호조 참판(戶曹參判) 등을 역임함.
1510~155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부(阜) - 이부(李阜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금(李嶔)의 아들로, 교리(校理) 등을 지냄. 사림파(士林派)로서 조광조(趙光祖)와 교유하였으나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벼슬을 떠나 있어 화를 면함.
1482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진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부^동(釜^東) - 부^래(釜^萊)
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부산(釜山)과 동래(東萊)를 함께 부르는 말.
경상도>동래 , 지명>기타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