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부궁(夫躬) - 식부궁(息夫躬)
중국 전한(前漢) 애제(哀帝) 때의 문신. 제후 유운(劉雲)을 무고(誣告)하여 자살하게 만들고, 애제에게 거짓 진언을 하다가 왕가(王嘉)에 의해 저지 당함. 광록대부(光祿大夫)를 지냄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부귀화(富貴花) - 모란(牡丹)
작약과(芍藥科)에 속하는 낙엽관목(落葉灌木).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, 부귀(富貴)를 상징함. 설총(薛聰)의 〈화왕계(花王戒)〉로 유명함.
자연물>식물
-
부기(涪記) - 부계기문(涪溪記聞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인 김시양(金時讓)의 수필록. 1권 1책. 부계(涪溪)는 종성(鍾城)의 다른 명칭으로, 저자가 함경도 종성에 귀양갔을 때 견문을 기록함.
한국>조선후기 , 함경도>종성 , 문헌>서명
-
부도징(浮圖澄) - 불도징(佛圖澄)
중국 남북조시대 후조(後趙)의 고조(高祖) 때 활동한 서역(西域)의 승려. 한인(漢人)의 출가를 허락하도록 하였고, 북방 민족을 불교문화로 교화하는 등 중국 초기 불교 발전에 공헌함.
232~34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부득(夫得) - 노힐부득(弩肹夫得)
통일신라 성덕왕(聖德王) 때의 승려. 월장(月藏)의 아들. 달달박박(怛怛朴朴)과 함께 백월산(白月山)에서 수도하다 미륵불(彌勒佛)이 되었다는 기록이 《삼국유사(三國遺事)》에 있음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창원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부량(傅良) - 진부량(陳傅良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백웅(鄭伯熊)의 문인으로, 중서사인(中書舍人) 등을 지냄. 설계선(薛季宣)ㆍ섭적(葉適) 등과 함께 영가학파(永嘉學派)의 대표적 인물로 실용과 경제를 주장함.
1137~120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부려(浮盧) - 이장곤(李長坤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벽진(碧珍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, 중종 때 창성(昌城)에 침입한 야인(野人)을 격파하고 우찬성(右贊成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.
1474~151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ㅣ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부령(扶寧) - 부안(扶安)
전라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1416년(태종 16)에 부령(扶寧)과 보안(保安)이 합해짐.
전라도>부안 , 지명>행정지명
-
부령공(富寧公) - 우예손(禹禮孫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부령 부사(富寧府使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외손인 이제신(李濟臣)이 지은 지문(誌文)이 《청강집(淸江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부령군(扶寧君) - 김작신(金作新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부령(扶寧). 고종(高宗)ㆍ원종(元宗) 때의 문장가인 지포(止浦) 김구(金坵)의 조부로, 우복야(右僕射)ㆍ이부 상서(吏部尙書)를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부령김씨(扶寧金氏) - 부안김씨(扶安金氏)
전라도 부안(扶安)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. 통일신라의 마지막 임금 경순왕(敬順王)의 첫째 아들인 마의태자(麻衣太子) 김일(金鎰)을 시조로 하고, 김일의 5세손인 김경수(金景修)를 일세조로 함.
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부안 , 인명>집단>성씨
-
부령부원군(扶寧府院君) - 김춘(金春)@고려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부안(扶安). 부령부원군(扶寧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부로(富老) - 부필(富弼)
중국 송(宋) 나라의 정치가. 범중엄(范仲淹)의 추천으로 벼슬길에 올랐으며, 요(遼) 나라와의 국경 문제를 원만히 해결한 후 재상이 되었으나, 왕안석(王安石)의 신법(新法) 실행에 반대하다가 축출됨.
1004~108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부륜(富倫) - 김부륜(金富倫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김성일(金誠一)ㆍ이발(李潑)과 도의를 강마하였으며, 만년에 설월당(雪月堂)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.
1531~15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부릉(涪陵) - 부주(涪州)
중국 사천성(四川省)에 있는 지명. 송(宋) 나라 때 정이(程頤)와 황정견(黃庭堅)이 이곳에 유배됨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부릉거사(涪陵居士) - 초정(譙定)
중국 송(宋) 나라 흠종(欽宗)~고종(高宗) 때의 학자. 정이(程頤)에게 《역(易)》을 배워 호헌(胡憲)ㆍ유면지(劉勉之) 등을 가르치고, 《초자역전(譙子易傳)》을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부릉선생(涪陵先生) - 초정(譙定)
중국 송(宋) 나라 흠종(欽宗)~고종(高宗) 때의 학자. 정이(程頤)에게 《역(易)》을 배워 호헌(胡憲)ㆍ유면지(劉勉之) 등을 가르치고, 《초자역전(譙子易傳)》을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부릉처사(涪陵處士) - 초정(譙定)
중국 송(宋) 나라 흠종(欽宗)~고종(高宗) 때의 학자. 정이(程頤)에게 《역(易)》을 배워 호헌(胡憲)ㆍ유면지(劉勉之) 등을 가르치고, 《초자역전(譙子易傳)》을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부리촌(富利村) - 불이촌(不二村)
전라도 금산(錦山)에 있던 마을 이름. 길재(吉再)의 영정과 위패를 봉안한 청풍사(淸風祠)가 있음. 지금은 충청남도 금산군(錦山郡)에 속함.
전라도>금산 , 지명>자연지명
-
부림(傅霖) - 함부림(咸傅霖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으로, 검교 중추원학사(檢校中樞院學士) 함승경(咸承慶)의 아들. 이성계(李成桂)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고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지냄.
1360~141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