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부림(富林) - 과천(果川)
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
경기도>과천 , 지명>행정지명
-
부림(缶林) - 이건(李建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증손이며, 봉림수(鳳林守) 이수인(李守仁)의 넷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부림군(富林君) - 이식(李湜)
조선 전기의 종친ㆍ시인. 세종(世宗)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(桂陽君) 이증(李璔)의 셋째 아들로, 시(詩)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김.
1458~148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왕실>종친
-
부림도정(富林都正) - 이식(李湜)
조선 전기의 종친ㆍ시인. 세종(世宗)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(桂陽君) 이증(李璔)의 셋째 아들로, 시(詩)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김.
1458~148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왕실>종친
-
부림부수(缶林副守) - 이건(李建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증손이며, 봉림수(鳳林守) 이수인(李守仁)의 넷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부림부정(富林副正) - 이옥곤(李玉崑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세종(世宗)의 고손(高孫)으로, 덕림군(德林君) 이자(李孜)의 아들이며 진천군(晉川君) 이옥정(李玉貞)의 동생. 1550년(명종 5)에 역모를 꾀한다는 고변으로 형과 함께 국문을 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부림수(缶林守) - 이표(李豹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아들 익녕군(益寧君) 이치(李袳)의 손자이며, 수천군(秀泉君) 이정은(李貞恩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부림홍씨(缶林洪氏) - 부계홍씨(缶溪洪氏)
고려시대 직장동정(直長同正)을 지낸 홍좌(洪佐)를 시조로 하는 성씨. 시중(侍中)을 지낸 홍난(洪鸞)의 후손이라 함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의흥 , 인명>집단>성씨
-
부무(副武) - 탁순창(卓順昌)
조선 선조(宣祖)~숙종(肅宗) 때의 무신. 성균관 진사(成均館進士) 탁문상(卓文尙)의 맏아들.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, 수직(壽職)으로 훈련대장(訓鍊大將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부민후(富民侯) - 공방(孔方)
고려 후기의 문인인 임춘(林椿)이 지은 가전체(假傳體) 소설 《공방전(孔方傳)》의 주인공. 엽전을 의인화한 인물로, 중국 한(漢) 나라 때 천(泉)의 아들로 태어나 홍려경(鴻臚卿) 등을 지냈으나, 재물만 중하게 여기다가 탄핵을 받아 쫓겨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부백성(傅伯成) - 부백성(傅伯誠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부백수(傅伯壽)의 아우로, 어릴 때부터 주자(朱子)에게서 배움. 이종(理宗)이 즉위했을 때 현모각 학사(顯謨閣學士)로 삼으려 했으나 나아가지 않음.
1143~122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부복인(賦鵩人) - 가의(賈誼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ㆍ학자. 문제(文帝)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(長沙王)의 태부(太傅)로 좌천됨.
B.C.200~B.C.168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부부고(覆瓿稿) - 성소부부고(惺所覆瓿藁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인 허균(許筠)의 시문집. 필사본. 8권 1책. 저자가 가장 불우했던 시기에 쓴 시와 산문들을 모아 엮은 것으로, 시부(詩部)ㆍ부부(賦部)ㆍ문부(文部)ㆍ설부(說部) 등 4부로 구성됨.
161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함열 , 문헌>서명
-
부사(桴槎) - 성여신(成汝信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조식(曺植)의 문인(門人)으로, 일찍부터 문명(文名)을 떨쳤으며, 저서에 《부사집(浮査集)》이 있음.
1546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학자
-
부사(浮査) - 성여신(成汝信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조식(曺植)의 문인(門人)으로, 일찍부터 문명(文名)을 떨쳤으며, 저서에 《부사집(浮査集)》이 있음.
1546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학자
-
부사(浮槎) - 낙안(樂安)
전라도 순천(順天)에 속하였던 옛 고을 이름.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(順天市) 낙안면(樂安面)ㆍ외서면(外西面)과 보성군(寶城郡) 벌교읍(筏橋邑) 일대에 해당함.
전라도>낙안 , 지명>행정지명
-
부사(父師) - 기자(箕子)
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(箕子朝鮮)의 시조. 은(殷) 나라의 현인(賢人)으로, 주(周)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부사선생문집(浮査先生文集) - 부사집(浮査集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학자인 성여신(成汝信)의 문집. 목판본. 현손(玄孫)인 성처회(成處會)가 유문(遺文)을 수습하였고, 1785년(정조 9)에 성동익(成東益)과 성사렴(成師濂)이 간행함.
178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문헌>서명
-
부사야로(浮査野老) - 성여신(成汝信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조식(曺植)의 문인(門人)으로, 일찍부터 문명(文名)을 떨쳤으며, 저서에 《부사집(浮査集)》이 있음.
1546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학자
-
부산(富山) - 부산(釜山)
경상남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가마솥 모양의 산인 부산(釜山)에서 지명이 유래됨. 지금은 부산광역시에 속하며, 우리나라 최대의 무역항.
경상도>동래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