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부자묘(夫子廟) - 공자묘(孔子廟)
공자(孔子)와 그의 제자(弟子) 및 여러 성현(聖賢)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. 원래는 중국 산동성(山東省) 곡부(曲阜)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,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이후로 각 주현(州縣)에 설치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유적>건물>사당
-
부자묘(夫子廟)@문묘 - 문묘(文廟)
공자(孔子)를 비롯하여 사성(四聖)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(大儒)와,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. 통일신라 714년(성덕왕 13)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(畵像)을 국학(國學)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,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.
714 한국>통일신라 , 유적>건물>사당
-
부장적(腐腸賊) - 주(酒)
술.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(總稱). 전설상에 두강(杜康)과 의적(儀狄)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.
물품>식약품>음료
-
부정(富丁) - 이부정(李富丁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신종군(新宗君) 이효백(李孝伯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부정공(富鄭公) - 부필(富弼)
중국 송(宋) 나라의 정치가. 범중엄(范仲淹)의 추천으로 벼슬길에 올랐으며, 요(遼) 나라와의 국경 문제를 원만히 해결한 후 재상이 되었으나, 왕안석(王安石)의 신법(新法) 실행에 반대하다가 축출됨.
1004~108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부제(不齊) - 복부제(宓不齊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선보(單父)의 읍재(邑宰)를 지냈으며, 공자로부터 군자(君子)라는 칭찬을 받음.
B.C.521~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부조수(復槽水) - 황하(黃河)
중국 청해성(青海省) 파안(巴顏) 객라산(喀喇山)에서 발원하여 감숙성(甘肅省)ㆍ섬서성(陝西省)ㆍ하남성(河南省)ㆍ산동성(山東省) 등을 거쳐 발해만(渤海灣)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.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,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부중(膚仲) - 진공석(陳孔碩)
중국 송(宋) 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관직으로 비각 수찬(秘閣修撰)을 지냄. 주희(朱熹)와 함께 경학(經學)을 강마(講磨)했으며 《용학강록(庸學講錄)》 등의 저술을 남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부지군(夫只郡) - 당진(唐津)
충청남도 서북부에 있는 군(郡) 이름. 백제의 벌수지현(伐首只縣)으로, 신라 때 당진현으로 고쳐 해성군(槥城郡)의 속현으로 삼았으며 조선 태종(太宗) 때부터 현감을 둠.
한국>신라 , 충청도>당진 , 지명>행정지명
-
부춘(富春) - 엄광(嚴光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 때의 은자.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(諫議大夫)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(富春山)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부춘수(富春叟) - 엄광(嚴光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 때의 은자.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(諫議大夫)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(富春山)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부춘후(富春侯) - 손준(孫峻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의 무신ㆍ종친. 손공(孫恭)의 아들로, 태상경(太常卿) 등윤(滕胤)과 함께 오왕(吳王) 손량(孫亮)을 꾀어 대장군(大將軍) 제갈각(諸葛恪)을 제거한 후 권력을 장악함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종친
-
부타(部陀) - 수성(水星)
초저녁의 서쪽 하늘 혹은 새벽의 동쪽 하늘에서 잠깐 동안만 보이는 별 이름. 오성(五星) 가운데 북방(西方)을 상징하며, 겨울ㆍ흑색(黑色) 등에 해당함.
자연물>천체
-
부파(涪皤) - 황정견(黃庭堅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. 소식(蘇軾)의 문인으로 강서파(江西派)의 시조. 시ㆍ문장(文章)ㆍ행초(行草) 등이 모두 당대를 풍미할 만큼 절묘하고, 진관(秦觀)ㆍ장뢰(張耒)ㆍ조보지(晁補之)와 함께 소문사학사(蘇門四學士)로 일컬어짐.
1045~110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부평(富平)@금화 - 금화(金化)
강원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영동(嶺東)과 영북(嶺北)으로 가는 경유지 역할을 함.
강원도>금화 , 지명>행정지명
-
부평후(富平侯) - 장안세(張安世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~선제(宣帝) 때의 문신. 상서령(尙書令)ㆍ우장군(右將軍) 등을 지내고, 곽광(霍光)과 함께 선제를 옹립한 공로로 대사마(大司馬)가 됨. 선제가 기린각(麒麟閣)에 공신의 초상을 그릴 때 곽광ㆍ한증(韓增)과 함께 그려짐.
?~B.C.62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부풍(扶風) - 부안(扶安)
전라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1416년(태종 16)에 부령(扶寧)과 보안(保安)이 합해짐.
전라도>부안 , 지명>행정지명
-
부필(富弼)@송부필 - 송부필(宋富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여산(礪山). 신사무옥(辛巳誣獄)을 일으킨 판관(判官) 송사련(宋祀連)의 아들. 동생 송익필(宋翼弼)ㆍ송한필(宋翰弼)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언론에 능했으며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 등과 친교(親交)함.
?~159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부필(富弼)@조선 - 김부필(金富弼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
1516~157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부필(富弼)@고려 - 김부필(金富弼)@고려
고려 선종(宣宗)~예종(睿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국자좨주 좌간의대부(國子祭酒左諫議大夫)를 지낸 김근(金覲)의 아들. 1107년(예종 2)에 윤관(尹瓘)이 여진(女眞)을 정벌할 때 출정하여 공을 세움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