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강구만(姜九萬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946년(광종 15)에 문과에 급제한 후 서경 유수(西京留守) 등을 지냈으며, 양천부원군(陽川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구요(康衢謠)
중국 고대(古代) 요(堯) 임금 때의 가요(歌謠) 이름. 요 임금의 은덕(恩德)으로 천하가 절로 다스려지자 백성들이 이를 칭송하며 거리에서 부르던 노래.
고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강군보(姜君寶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계림 판관(鷄林判官)을 지낸 강창귀(姜昌貴)의 아들.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 등을 역임함.
?~1380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궁진(姜弓珍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무신ㆍ공신. 본관은 금천(衿川). 강감찬(姜邯贊)의 아버지. 왕건(王建)을 도운 공으로 삼한벽상공신(三韓壁上功臣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금천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기타인명>공신
-
강권(康錈)
조선 후기의 유학(幼學). 본관은 신천(信川). 참의(參議)를 지낸 강수학(康邃學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문사>유학
-
강귀손(姜龜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좌찬성(左贊成)을 지낸 강희맹(姜希孟)의 아들.
1450~150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귀형(康貴亨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절충장군(折衝將軍)을 지낸 강희철(康希哲)의 아버지로, 충순위 전력부위(忠順衛展力副尉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강극성(姜克誠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좌찬성 강희맹(姜希孟)의 현손(玄孫). 군자감 정(軍資監正)ㆍ제용감 정(濟用監正) 등을 지냄.
1526~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기(姜夔)
중국 송(宋) 나라 시인ㆍ음악가. 북송의 유영(柳永)ㆍ주방언(周邦彦), 남송의 신기질(辛棄疾) 등과 함께 사대사인(四大詞人)이라 일컬어짐.
1155~122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음악인ㅣ인명>문사>문인
-
강남기행시고(江南紀行詩稿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 문신 정공권(鄭公權)이 중국 강남(江南) 일대를 여행하면서 기행문 형식으로 쓴 시집(詩集). 목은(牧隱) 이색(李穡)이 발문을 씀.
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강남소집(江南小集)
중국 송(宋) 나라 문신이었던 충방(种放)의 문집. 2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강노(姜老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담(姜談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정황(丁熿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강대수(姜大遂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. 1612년(광해군 4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우승지(右承旨)ㆍ병조 참의(兵曹參議) 등을 지냄. 1646년(인조 24)에 영국공신(寧國功臣)에 녹훈되고, 합천(陜川)의 도연서원(道淵書院)에 배향됨.
1591~165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강덕룡(姜德龍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강심(姜深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김성일(金誠一)과 정기룡(鄭起龍)을 도와 공을 세워 함창 현령(咸昌縣令) 등을 지내고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됨.
1560~162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강덕서(姜德瑞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한산 군수(韓山郡守)로 있을 때 이몽학(李夢鶴)의 난을 토벌함. 덕원 부사(德源府使)ㆍ제용감 정(濟用監正)을 지냄.
1540~161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강덕윤(姜德胤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이이(李珥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형 강종윤(姜宗胤)과 함께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녹훈(錄勳)됨.
1545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강동(江東)
평안도 중남부의 대동강(大同江)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. 고려 태조(太祖)의 북진정책의 거점이었으며, 조선시대 조공의 영송(迎送) 및 교역을 담당함.
평안도>강동 , 지명>행정지명
-
강동(江東)@중국
중국 양자강(揚子江)의 남쪽 지역을 일컫는 지명. 두보(杜甫)의 〈춘일억이백(春日憶李白)〉이란 시로 인해 위북(渭北)과 강동(江東)이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한 시어로 많이 사용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강동육주(江東六州)
고려 성종(成宗) 때 서북면에 설치한 행정구역. 거란의 1차 침입 후 고려가 압록강변에 설치한 흥화(興化)ㆍ용주(龍州)ㆍ통주(通州)ㆍ철주(鐵州)ㆍ귀주(龜州)ㆍ곽주(郭州)를 가리킴.
994 한국>고려전기 , 평안도>철산ㅣ평안도>의주ㅣ평안도>용천ㅣ평안도>선천ㅣ평안도>곽산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