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부훤(負喧) - 오상(吳祥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로, 예조 좌랑을 지낸 오예손(吳禮孫)의 아들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이조ㆍ예조ㆍ형조의 판서(判書)를 지내고, 문장에 뛰어나 8문장(八文章)의 한 사람으로 불림.
1512~157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부훤(負暄)@이기준 - 이기준(李耆俊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로, 청강(淸江) 이제신(李齊臣)의 첫째 아들. 1580년(선조 13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승문원 부정자(承文院副正字) 등을 지냄.
1555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부훤(負暄) - 오상(吳祥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로, 예조 좌랑을 지낸 오예손(吳禮孫)의 아들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이조ㆍ예조ㆍ형조의 판서(判書)를 지내고, 문장에 뛰어나 8문장(八文章)의 한 사람으로 불림.
1512~157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부훤공(負暄公) - 오상(吳祥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로, 예조 좌랑을 지낸 오예손(吳禮孫)의 아들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이조ㆍ예조ㆍ형조의 판서(判書)를 지내고, 문장에 뛰어나 8문장(八文章)의 한 사람으로 불림.
1512~157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부훤당(負暄堂)@이기준 - 이기준(李耆俊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로, 청강(淸江) 이제신(李齊臣)의 첫째 아들. 1580년(선조 13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승문원 부정자(承文院副正字) 등을 지냄.
1555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부훤당(負暄堂) - 오상(吳祥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로, 예조 좌랑을 지낸 오예손(吳禮孫)의 아들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이조ㆍ예조ㆍ형조의 판서(判書)를 지내고, 문장에 뛰어나 8문장(八文章)의 한 사람으로 불림.
1512~157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부휴거사(浮休居士) - 이종준(李宗準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ㆍ학자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 시서화(詩書畵)에 능하고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냈으나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무고를 받아 국문을 받던 중에 죽음.
?~149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부휴자(浮休子) - 성현(成俔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ㆍ학자.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(副棺斬屍)를 당하였으나 뒤에 신원(伸寃)되고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 시문(詩文)에 능하고 음률(音律)에 정통하여 많은 저술과 작품을 남김.
1439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부휴자(浮休子)@이종준 - 이종준(李宗準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ㆍ학자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 시서화(詩書畵)에 능하고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냈으나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무고를 받아 국문을 받던 중에 죽음.
?~149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부휴자(浮休子)@이륙 - 이륙(李陸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지(李墀)의 아들로,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
1438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부휴자(浮休子)@장작 - 장작(張鷟)
중국 당(唐) 나라 고종(高宗)~현종(玄宗) 때의 문신ㆍ문인. 글이 청동전(靑銅錢)과 같다고 하여 청전학사(靑錢學士)라고 칭하였으며, 고공원외랑(考功員外郞) 등을 지냈음. 문장에 이름이 있어 신라ㆍ일본의 사신(使臣)들이 그의 문장을 구입해 갔다고 함.
660?~740?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부휴주인(浮休主人) - 유기(柳裿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원주 목사(原州牧使) 유운룡(柳雲龍)의 둘째 아들로, 권호문(權好文)에게 《논어(論語)》를 배웠으며, 낭천 현감(狼川縣監)을 역임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부흥(復興) - 배천(白川)
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고려 태조(太祖) 때 백주(白州)라 부르고 의종(毅宗) 때 개흥부(開興府)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백주로 환원되었으며, 조선 태종(太宗)때 배천군(白川郡)이 되었음.
황해도>배천 , 지명>행정지명
-
북경관성(北境關城) - 천리장성(千里長城)
고구려 말기와 고려 덕종(德宗) 때 서북 국경에 건립된 장성. 고구려 말에 당(唐) 나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요동(遼東) 지방에 쌓은 토축성이 있고, 고려 덕종 때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압록강(鴨綠江) 어귀로부터 함경도 동해안에 이르는 1000여 리에 쌓은 석축성이 있음.
한국>고려시대ㅣ한국>고구려 , 중국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북계(北溪)@이세백 - 이세백(李世白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용인(龍仁).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 송시열(宋時烈)의 유배에 반대하다가 파직당하였으나 갑술환국(甲戌換局) 때 복직됨. 노론(老論)의 중심 인물로서 좌의정(左議政) 등을 지냄.
1635~170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용인 , 인명>관인>문신
-
북계(北溪) - 진순(陳淳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부(主簿)를 지냄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주로 철학 이론 면에서 스승의 학설을 계승하고 선양하려 힘씀.
1159~122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북계자의(北溪字義) - 자의상강(字義詳講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순(陳淳)의 저서. 성리학의 개념과 범주를 해설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북계진씨(北溪陳氏) - 진순(陳淳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부(主簿)를 지냄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주로 철학 이론 면에서 스승의 학설을 계승하고 선양하려 힘씀.
1159~122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북곡(北谷) - 이진유(李眞儒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소론(小論)의 영수 윤증(尹拯)을 비난한 권상하(權尙夏)ㆍ정호(鄭澔)의 처벌을 주장하다가 삭출(削黜)되었으며, 김일경(金一鏡) 등과 함께 신임사화(辛壬士禍)를 일으킴. 추자도(楸子島)에 유배되어 〈속사미인곡(續思美人曲)〉을 지음.
1669~173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북궁문자(北宮文子) - 북궁타(北宮佗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대부. 위 양공(襄公)에게 위의(威儀)를 강조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