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북궐(北闕) - 경복궁(景福宮)
조선 태조(太祖) 때 북악산(北岳山) 아래에 세운 궁궐 이름. 조선시대 5대 궁궐 중 정궁(正宮)에 해당하며, 현재 서울 종로구(鍾路區) 세종로(世宗路)에 속함.
139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건물>궁궐
-
북극(北極) - 북극성(北極星)
천구상의 북극 가까이에서 빛나는, 작은곰자리의 가장 밝은 별.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아 방위나 위도의 지침이 됨. 예로부터 사계(四季)를 바로잡고 기후변화를 주관하는 신으로 섬겨졌으며, 때로는 천자(天子)를 가리키기도 함.
자연물>천체
-
북대문(北大門) - 숙정문(肅靖門)
조선 태조(太祖) 때 건립한 서울 성곽의 사대문(四大門) 가운데 북쪽 성문. 경복궁(景福宮)의 주산(主山)인 백악산(白岳山) 동쪽 고개에 위치하며, 풍수설에 의해 항상 닫혀 있어서 이를 대신하여 창의문(彰義門)을 흔히 북문(北門)으로 부름.
139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북두촌(北斗村) - 시목촌(柿木村)
경상도 함양(咸陽)에 있는 고을 이름.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표연말(表沿沫)의 묘소가 있음.
경상도>함양 , 지명>행정지명
-
북두칠성(北斗七星) - 두성(斗星)
이십팔수(二十八宿)의 여덟째 별자리. 두수(斗宿)라고도 하며, 북두칠성(北斗七星)을 달리 부르는 말.
자연물>천체
-
북망(北邙) - 북망산(北邙山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낙양(洛陽) 북쪽에 있는 산. 이 지역은 대대로 여러 나라의 도읍이었으므로 역대 제왕과 명인들의 무덤이 많아, 전하여 사람의 죽음을 뜻하는 말로 쓰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북문(北門) - 신무문(神武門)
서울 북악산(北岳山) 남쪽에 있는, 경복궁(景福宮)의 북쪽 궐문 이름. 조선 세종(世宗) 때 건립되었으며, 경복궁 후원(後苑)으로 통하였음.
143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건물>궁궐
-
북문(北門)@창의문 - 창의문(彰義門)
조선 태조(太祖) 때 건립한 사소문(四小門)의 하나. 돈의문(敦義門)과 숙정문(肅靖門) 사이에 있던 서북간문(西北間門). 북한(北漢)ㆍ양주(楊州) 방면으로 통하는 교통로였으며, 인조반정(仁祖反正) 때 능양군(陵陽君)을 비롯한 의군(義軍)들이 이 문을 부수고 궁 안에 들어가 반정에 성공함.
139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북빈경(北濱京) - 강릉(江陵)
강원도의 태백산맥(太白山脈)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.
강원도>강릉 , 지명>행정지명
-
북빈성(北濱城) - 강릉(江陵)
강원도의 태백산맥(太白山脈)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.
강원도>강릉 , 지명>행정지명
-
북산(北山)@진호 - 진호(陳澔)
중국 원(元) 나라 때의 학자. 남강군(南康郡) 도창(都昌) 사람으로, 진대유(陳大猷)의 아들. 송(宋) 나라가 망한 뒤 은거하여 벼슬을 하지 않고 고향에서 유생을 가르침.
1261~1341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북산(北山)@하기 - 하기(何基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황간(黃榦)의 문인(門人)으로, 주희(朱熹)의 학문을 전수받았으며, 왕백(王柏)ㆍ김이상(金履祥)ㆍ허겸(許謙) 등과 함께 ‘금화사선생(金華四先生)’으로 일컬어짐.
1188~126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북산(北山) - 종산(鍾山)
중국 강소성(江蘇省) 강녕현(江寧縣) 동북쪽에 있는 산 이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북산(北山)@진문울 - 진문울(陳文蔚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. 고풍스럽고 우아한 절조로 나라와 향리에서 모두 우러러보았다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북산(北山)@진공석 - 진공석(陳孔碩)
중국 송(宋) 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관직으로 비각 수찬(秘閣修撰)을 지냄. 주희(朱熹)와 함께 경학(經學)을 강마(講磨)했으며 《용학강록(庸學講錄)》 등의 저술을 남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북산(北山) - 이발(李潑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이중호(李仲虎)의 아들. 동인(東人)의 거두로서 정철(鄭澈)의 처벌문제에 강경파를 이끌어 북인(北人)의 수령이 되었으며,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장살(杖殺)당함.
1544~158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북산공(北山公) - 우공(愚公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인물. 나이 90에 자기가 살던 북산(北山)을 가로막고 있는 태항산(太行山)과 왕옥산(王屋山)을 옮기기로 맹세하고 흙을 퍼 나르자 천제(天帝)가 감동하여 두 산을 옮겨 주었다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북산문(北山文) - 북산이문(北山移文)
중국 남제(南齊)의 문인 공치규(孔稚珪)가 약속을 저버리고 벼슬길에 나선 벗 주옹(周顒)의 변절(變節)을 기롱하여 지은 글. 변려문(騈儷文)의 대표적 작품 중 하나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북산우공(北山愚公) - 우공(愚公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인물. 나이 90에 자기가 살던 북산(北山)을 가로막고 있는 태항산(太行山)과 왕옥산(王屋山)을 옮기기로 맹세하고 흙을 퍼 나르자 천제(天帝)가 감동하여 두 산을 옮겨 주었다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북성(北省) - 상서성(尙書省)
고려시대 삼성(三省)의 하나로, 행정의 실무를 담당한 집행기구. 2품 이상으로 구성된 상서도성(尙書都省)과 3품 이하로 조직된 상서육부(尙書六部)로 구성됨.
995~1275, 1356~1362 한국>고려시대 , 경기도>개성 , 법제>관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