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무원제(武元帝) - 양충(楊忠)
중국 남북조시대 서위(西魏)와 북주(北周)의 장군. 12대장군(十二大將軍)의 한 사람이며, 수(隋) 나라 문제(文帝)의 아버지로, 무원황제(武元皇帝)로 추존됨.
507~56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무원황제(武元皇帝) - 양충(楊忠)
중국 남북조시대 서위(西魏)와 북주(北周)의 장군. 12대장군(十二大將軍)의 한 사람이며, 수(隋) 나라 문제(文帝)의 아버지로, 무원황제(武元皇帝)로 추존됨.
507~56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무위당(無違堂) - 박대립(朴大立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으로, 돈녕부 정(敦寧府正) 박세영(朴世榮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이며, 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냄. 수십 년 묵은 송사(訟事)를 판서(判書)에게 항변하여 종결지어 명성을 얻음.
1512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위자(無爲子)@강희맹 - 강희맹(姜希孟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지돈녕부사 강석덕(姜碩德)의 아들. 뛰어난 문장가로, 경사(經史)와 전고(典故)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. 저서에 《금양잡록(衿陽雜錄)》ㆍ《사숙재집(私淑齋集)》 등이 있음.
1424~148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무위자(無爲子) - 양걸(楊傑)
중국 송(宋) 인종(仁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고려 의천(義天)이 송 나라에 갔을 때 주객원외랑(主客員外郞)의 신분으로 의천 일행을 관반(館伴)하여 강남 일원까지 수종(隨從)하였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무의(武毅)@유극량 - 유극량(劉克良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연안 유씨(延安劉氏)의 시조. 노비 신분이었으나 홍섬(洪暹)의 배려로 면천(免賤)하고 무과(武科)에 급제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방어사(防禦使) 신할(申硈)의 부장(副將)이 되어 임진강(臨津江)을 방어하다가 전사함.
?~159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무신
-
무의(武毅) - 문지원(文智遠)
고려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양간공(讓簡公) 문인걸(文仁傑)의 아들로, 서북면 대장군(西北面大將軍行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무신
-
무의(武毅)@박의장 - 박의장(朴毅長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무안(務安). 박세렴(朴世廉)의 아들이며, 김언기(金彦璣)의 문인으로 경사(經史)에 밝음. 임진왜란 때 많은 공적을 세웠으며 경상수사(慶尙水使)에 이름. 정충사(貞忠祠)ㆍ구봉정사(九峯精舍)에 제향됨.
1555~161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무안 , 인명>관인>무신
-
무의(茂漪) - 위삭(衛鑠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여류 서예가. 여음 태수(汝陰太守) 이구(李矩)의 아내로, 종요(鐘繇)에게 사사하고 예서(隸書)와 정서(正書)에 뛰어났으며, 왕희지(王羲之)에게 서법을 가르침.
272~34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무의자(無依子)@계전 - 계전(戒全)
조선 전기의 승려. 송인(宋寅)의 《이암유고(頤庵遺稿)》에 〈제무의자계전권(題無依子戒全卷)〉이라는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무의자(無依子) - 혜심(惠諶)
고려 희종(熙宗)~고종(高宗) 때의 고승(高僧). 지눌(知訥)의 제자로, 대선사(大禪師)에 올라 수선사(修禪寺)ㆍ단속사(斷俗寺) 주지를 겸임하였으며, 고려 선종(禪宗)의 위치를 확고히 굳힘.
1178~1234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무이(武夷) - 주희(朱熹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송대(宋代)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(空前)의 사변철학(思辨哲學)과 실천윤리(實踐倫理)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(性理學)을 집대성함. 《사서집주(四書集注)》등 많은 저서가 있음.
1130~12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무이가(武夷歌) - 무이도가(武夷櫂歌)
중국 송(宋) 나라의 대유(大儒) 주희(朱熹)가 복건성(福建省)의 명산인 무이산(武夷山) 아홉 골짜기의 아름다움을 읊은 시(詩). 10수(首).
1184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무이구곡가(武夷九曲歌) - 무이도가(武夷櫂歌)
중국 송(宋) 나라의 대유(大儒) 주희(朱熹)가 복건성(福建省)의 명산인 무이산(武夷山) 아홉 골짜기의 아름다움을 읊은 시(詩). 10수(首).
1184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무이구곡시(武夷九曲詩) - 무이도가(武夷櫂歌)
중국 송(宋) 나라의 대유(大儒) 주희(朱熹)가 복건성(福建省)의 명산인 무이산(武夷山) 아홉 골짜기의 아름다움을 읊은 시(詩). 10수(首).
1184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무이산주(武夷山主) - 주희(朱熹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송대(宋代)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(空前)의 사변철학(思辨哲學)과 실천윤리(實踐倫理)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(性理學)을 집대성함. 《사서집주(四書集注)》등 많은 저서가 있음.
1130~12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무이선생(武夷先生) - 호안국(胡安國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이(程頤)를 사숙하고 정문(程門)의 학문을 규명하여 무이학파(武夷學派)를 창시하였으며, 《춘추(春秋)》를 20년 동안 연구하여 《춘추호씨전(春秋胡氏傳)》을 저술함.
1074~113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무이채씨(武夷蔡氏) - 채침(蔡沈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~이종(理宗) 때의 학자. 채원정(蔡元定)의 아들이며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구봉(九峯)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마하였으며, 아버지와 스승의 뜻을 받들어 《서경집전(書經集傳)》을 완성함.
1167~123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무이호씨(武夷胡氏) - 호안국(胡安國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이(程頤)를 사숙하고 정문(程門)의 학문을 규명하여 무이학파(武夷學派)를 창시하였으며, 《춘추(春秋)》를 20년 동안 연구하여 《춘추호씨전(春秋胡氏傳)》을 저술함.
1074~113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무인정변(武人政變) - 무신정변(武臣政變)
고려 의종(毅宗) 24년 천대를 받던 무신들이 일으킨 정치적 변란. 정중부(鄭仲夫)ㆍ이의방(李義方)이 중심이 되어 정변을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함. 고려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분기점이 됨.
1170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장단ㅣ경기도>개성 , 사건>역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