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무오옥사(戊午獄事) - 무오사화(戊午史禍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4년에 사초(史草)에 실린 김종직(金宗直)의 〈조의제문(弔義帝文)〉이 발단이 되어 신진사류(新進士類)가 훈구파(勳舊派)에게 화를 당한 사건.
1498 한국>조선전기 , 사건>사화
-
무오지변(戊午之變) - 무오사화(戊午史禍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4년에 사초(史草)에 실린 김종직(金宗直)의 〈조의제문(弔義帝文)〉이 발단이 되어 신진사류(新進士類)가 훈구파(勳舊派)에게 화를 당한 사건.
1498 한국>조선전기 , 사건>사화
-
무오지옥(戊午之獄) - 무오사화(戊午史禍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4년에 사초(史草)에 실린 김종직(金宗直)의 〈조의제문(弔義帝文)〉이 발단이 되어 신진사류(新進士類)가 훈구파(勳舊派)에게 화를 당한 사건.
1498 한국>조선전기 , 사건>사화
-
무오지화(戊午之禍) - 무오사화(戊午史禍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4년에 사초(史草)에 실린 김종직(金宗直)의 〈조의제문(弔義帝文)〉이 발단이 되어 신진사류(新進士類)가 훈구파(勳舊派)에게 화를 당한 사건.
1498 한국>조선전기 , 사건>사화
-
무오화(戊午禍) - 무오사화(戊午史禍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4년에 사초(史草)에 실린 김종직(金宗直)의 〈조의제문(弔義帝文)〉이 발단이 되어 신진사류(新進士類)가 훈구파(勳舊派)에게 화를 당한 사건.
1498 한국>조선전기 , 사건>사화
-
무옥(茂沃) - 김개(金漑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광(靈光). 김이상(金履祥)의 아들로, 1501년(연산군 7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지평(持平)을 지냄. 김정(金淨)의 《충암집(冲庵集)》에 화답시가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왕(武王)@측천무후 - 측천무후(則天武后)
중국 당(唐) 나라 고종(高宗)의 황후ㆍ황제. 재위 684~705.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, 고종 사후에 국호를 ‘주(周)’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,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.
625~70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ㅣ인명>왕실>국왕
-
무왕(武王) - 문무왕(文武王)
신라 제30대 왕. 재위 661~681. 태종 무열왕(太宗武烈王)과 문명왕후(文明王后)의 맏아들. 나당(羅唐) 연합군을 결성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통일의 대업을 완수함.
?~681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무외국사(無畏國師) - 무외(無畏)
고려 후기 천태종(天台宗)의 승려. 1302년(충렬왕 28) 묘련사(妙蓮社)의 제3세 법주(法主)가 되고, 1313년(충선왕 5) 국통(國統)으로 책봉됨. 원혜 경의(圓慧景宜)ㆍ순암 의선(順菴義璇)과 함께 묘련사파 승려로 불림. 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무외국통(無畏國統) - 무외(無畏)
고려 후기 천태종(天台宗)의 승려. 1302년(충렬왕 28) 묘련사(妙蓮社)의 제3세 법주(法主)가 되고, 1313년(충선왕 5) 국통(國統)으로 책봉됨. 원혜 경의(圓慧景宜)ㆍ순암 의선(順菴義璇)과 함께 묘련사파 승려로 불림. 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무우선생(無憂先生) - 홍귀달(洪貴達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계(缶溪).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,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(尹妃)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,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(慶源)으로 유배 도중 교살(絞殺)됨.
1438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흥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원(婺源)@송무원 - 송무원(宋婺源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송시열(宋時烈)의 증손이며, 통덕랑(通德郞) 송회석(宋晦錫)의 아들. 숙종이 황단(皇壇)에 친사(親祀)할 때 최석정(崔錫鼎)의 수상(首相) 임명을 반대하여 유배됨. 왕명으로 《송자대전(宋子大全)》의 간행을 주관함.
1677~1736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원제(武元帝) - 양충(楊忠)
중국 남북조시대 서위(西魏)와 북주(北周)의 장군. 12대장군(十二大將軍)의 한 사람이며, 수(隋) 나라 문제(文帝)의 아버지로, 무원황제(武元皇帝)로 추존됨.
507~56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무원황제(武元皇帝) - 양충(楊忠)
중국 남북조시대 서위(西魏)와 북주(北周)의 장군. 12대장군(十二大將軍)의 한 사람이며, 수(隋) 나라 문제(文帝)의 아버지로, 무원황제(武元皇帝)로 추존됨.
507~56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무위당(無違堂) - 박대립(朴大立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으로, 돈녕부 정(敦寧府正) 박세영(朴世榮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이며, 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냄. 수십 년 묵은 송사(訟事)를 판서(判書)에게 항변하여 종결지어 명성을 얻음.
1512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위자(無爲子)@강희맹 - 강희맹(姜希孟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지돈녕부사 강석덕(姜碩德)의 아들. 뛰어난 문장가로, 경사(經史)와 전고(典故)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. 저서에 《금양잡록(衿陽雜錄)》ㆍ《사숙재집(私淑齋集)》 등이 있음.
1424~148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무위자(無爲子) - 양걸(楊傑)
중국 송(宋) 인종(仁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고려 의천(義天)이 송 나라에 갔을 때 주객원외랑(主客員外郞)의 신분으로 의천 일행을 관반(館伴)하여 강남 일원까지 수종(隨從)하였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무의(武毅)@유극량 - 유극량(劉克良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연안 유씨(延安劉氏)의 시조. 노비 신분이었으나 홍섬(洪暹)의 배려로 면천(免賤)하고 무과(武科)에 급제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방어사(防禦使) 신할(申硈)의 부장(副將)이 되어 임진강(臨津江)을 방어하다가 전사함.
?~159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무신
-
무의(武毅) - 문지원(文智遠)
고려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양간공(讓簡公) 문인걸(文仁傑)의 아들로, 서북면 대장군(西北面大將軍行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무신
-
무의(武毅)@박의장 - 박의장(朴毅長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무안(務安). 박세렴(朴世廉)의 아들이며, 김언기(金彦璣)의 문인으로 경사(經史)에 밝음. 임진왜란 때 많은 공적을 세웠으며 경상수사(慶尙水使)에 이름. 정충사(貞忠祠)ㆍ구봉정사(九峯精舍)에 제향됨.
1555~161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무안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