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무의(茂漪) - 위삭(衛鑠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여류 서예가. 여음 태수(汝陰太守) 이구(李矩)의 아내로, 종요(鐘繇)에게 사사하고 예서(隸書)와 정서(正書)에 뛰어났으며, 왕희지(王羲之)에게 서법을 가르침.
272~34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무의자(無依子)@계전 - 계전(戒全)
조선 전기의 승려. 송인(宋寅)의 《이암유고(頤庵遺稿)》에 〈제무의자계전권(題無依子戒全卷)〉이라는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무의자(無依子) - 혜심(惠諶)
고려 희종(熙宗)~고종(高宗) 때의 고승(高僧). 지눌(知訥)의 제자로, 대선사(大禪師)에 올라 수선사(修禪寺)ㆍ단속사(斷俗寺) 주지를 겸임하였으며, 고려 선종(禪宗)의 위치를 확고히 굳힘.
1178~1234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무이(武夷) - 주희(朱熹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송대(宋代)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(空前)의 사변철학(思辨哲學)과 실천윤리(實踐倫理)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(性理學)을 집대성함. 《사서집주(四書集注)》등 많은 저서가 있음.
1130~12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무이가(武夷歌) - 무이도가(武夷櫂歌)
중국 송(宋) 나라의 대유(大儒) 주희(朱熹)가 복건성(福建省)의 명산인 무이산(武夷山) 아홉 골짜기의 아름다움을 읊은 시(詩). 10수(首).
1184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무이구곡가(武夷九曲歌) - 무이도가(武夷櫂歌)
중국 송(宋) 나라의 대유(大儒) 주희(朱熹)가 복건성(福建省)의 명산인 무이산(武夷山) 아홉 골짜기의 아름다움을 읊은 시(詩). 10수(首).
1184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무이구곡시(武夷九曲詩) - 무이도가(武夷櫂歌)
중국 송(宋) 나라의 대유(大儒) 주희(朱熹)가 복건성(福建省)의 명산인 무이산(武夷山) 아홉 골짜기의 아름다움을 읊은 시(詩). 10수(首).
1184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무이산주(武夷山主) - 주희(朱熹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송대(宋代)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(空前)의 사변철학(思辨哲學)과 실천윤리(實踐倫理)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(性理學)을 집대성함. 《사서집주(四書集注)》등 많은 저서가 있음.
1130~12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무이선생(武夷先生) - 호안국(胡安國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이(程頤)를 사숙하고 정문(程門)의 학문을 규명하여 무이학파(武夷學派)를 창시하였으며, 《춘추(春秋)》를 20년 동안 연구하여 《춘추호씨전(春秋胡氏傳)》을 저술함.
1074~113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무이채씨(武夷蔡氏) - 채침(蔡沈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~이종(理宗) 때의 학자. 채원정(蔡元定)의 아들이며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구봉(九峯)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마하였으며, 아버지와 스승의 뜻을 받들어 《서경집전(書經集傳)》을 완성함.
1167~123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무이호씨(武夷胡氏) - 호안국(胡安國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이(程頤)를 사숙하고 정문(程門)의 학문을 규명하여 무이학파(武夷學派)를 창시하였으며, 《춘추(春秋)》를 20년 동안 연구하여 《춘추호씨전(春秋胡氏傳)》을 저술함.
1074~113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무인정변(武人政變) - 무신정변(武臣政變)
고려 의종(毅宗) 24년 천대를 받던 무신들이 일으킨 정치적 변란. 정중부(鄭仲夫)ㆍ이의방(李義方)이 중심이 되어 정변을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함. 고려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분기점이 됨.
1170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장단ㅣ경기도>개성 , 사건>역모
-
무일(無逸)@채무일 - 채무일(蔡無逸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화가. 본관은 인천(仁川). 전생서 참봉(典牲署參奉) 채윤권(蔡胤權)의 아들. 한성부 서윤(漢城府庶尹)을 지내고, 그림뿐만 아니라 경사(經史)ㆍ주역(周易)ㆍ음률(音律)ㆍ의학(醫學)ㆍ복서(卜筮)에도 정통함.
1496~155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무일(無逸) - 사일(謝逸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 때의 문인. 사매(謝邁)의 종형(從兄)으로, 강서시파(江西詩派)의 한 사람. 여희철(呂希哲)에게 수학하였고, 박학(博學)하고 시문(詩文)에 뛰어나 황정견(黃庭堅)으로부터 칭탄을 받았으며, 많은 저술을 남김.
?~111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무자(武子)@왕제 - 왕제(王濟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무제(武帝)의 부마(駙馬). 왕혼(王渾)의 아들로,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고 용력(勇力)이 뛰어났으며, 상산공주(尙山公主)와 혼인하여 극도의 호사를 누림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인척
-
무자(武子) - 영유(甯兪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위(衛) 나라 성공(成公) 때의 대부. 나라에 도(道)가 있을 때는 지혜롭게 행동하고, 나라가 무도할 때는 어리석게 행동하여 공자(孔子)의 칭송을 받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무자(武子)@차윤 - 차윤(車胤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효무제(孝武帝) 때의 문신. 이부 상서(吏部尙書)를 지냄. 반딧불을 잡아 사낭(紗囊)에 담고 그 빛으로 독서했다는 '낭형(囊螢)'의 고사(故事)가 전해짐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작(無作) - 혼수(混脩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승려. 대선사인 계송(繼松)에게 가서 출가하고, 선교(禪敎) 경전을 두루 연구하였으며, 문장과 글씨에도 능함. 경관(慶觀)ㆍ담원(湛圓)ㆍ소안(紹安)ㆍ만우(萬雨) 등의 제자를 배출함.
1320~139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용천ㅣ충청도>충주ㅣ전라도>순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무잠(茂潛) - 유원강(留元剛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국사원 편수관(國史院編修官)ㆍ실록원 검토관(實錄院檢討官) 등을 지냈으며, 저서로 《운록집(雲麓集)》 등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장(武壯) - 신호(申浩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임진왜란 때 이순신(李舜臣)을 도와 견내량(見乃梁)ㆍ안골포(安骨浦) 등의 해전에서 공을 세워 통정대부가 되었고, 남원성(南原城) 전투에서 전사함.
1539~159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고부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