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무쟁거사(無諍居士) - 육수성(陸樹聲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예부 상서(禮部尙書) 등을 지내고, 저서에 《장수일초(長水日鈔)》ㆍ《육문정공집(陸文定公集)》ㆍ《다요기(茶寮記)》등이 있음.
1509~1605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적(無敵) - 채무적(蔡無敵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인천(仁川). 전생서 참봉(典牲署參奉) 채윤권(蔡胤權)의 아들로, 무주 현감(茂朱縣監)을 지냄.
1500~15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절(武節) - 신유정(辛有定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영산(靈山). 1386년(우왕 12) 남해에서 왜구를 격퇴시키고, 이성계(李成桂)의 휘하에서 무공을 세움. 조선 건국 후 원종공신(原從功臣)이 되었으며, 평안도 도안무사(平安道都安撫使) 등을 지냄.
1347~142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무정(武丁) - 고종(高宗)@은
중국 은(殷) 나라의 제23대 왕. 부열(傅說)과 감반(甘盤)을 등용하여 선정(善政)을 베풀었으며, 은 나라 최대 번영기를 누림.
B.C.1254~? 중국>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무제(武帝)@효무제 - 효무제(孝武帝)@남북조(晉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제9대 황제. 재위 372~396. 간문제(簡文帝)의 셋째 아들로 안제(安帝)와 공제(恭帝)의 아버지. 재임 중에 수세(收稅)를 개혁하고 왕권의 강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으나, 탐주(貪酒)로 인한 실언으로 후궁에게 살해당함.
361~39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무제(武帝) - 도무제(道武帝)
중국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의 초대 황제. 재위 386~409. 중국적 국가 체제를 채용하고 한인(漢人) 명사를 임용하는 등 북위(北魏)의 기초를 확립하였으나, 아들 탁발소(拓跋紹)에게 살해됨.
371~40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무제(武帝)@무종 - 무종(武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제15대 황제. 재위 840~846. 목종(穆宗)의 다섯째 아들이며 문종(文宗)의 동생. 도교(道敎)를 신봉해 불교ㆍ경교(景敎)ㆍ마니교(摩尼敎) 등을 탄압함.
814~84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무조(武朝) - 측천무후(則天武后)
중국 당(唐) 나라 고종(高宗)의 황후ㆍ황제. 재위 684~705.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, 고종 사후에 국호를 ‘주(周)’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,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.
625~70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ㅣ인명>왕실>국왕
-
무조(武瞾) - 측천무후(則天武后)
중국 당(唐) 나라 고종(高宗)의 황후ㆍ황제. 재위 684~705.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, 고종 사후에 국호를 ‘주(周)’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,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.
625~70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ㅣ인명>왕실>국왕
-
무조무후(武瞾武后) - 측천무후(則天武后)
중국 당(唐) 나라 고종(高宗)의 황후ㆍ황제. 재위 684~705.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, 고종 사후에 국호를 ‘주(周)’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,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.
625~70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ㅣ인명>왕실>국왕
-
무주(武州) - 광주(光州)
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.
전라도>광산 , 지명>행정지명
-
무주(無住) - 홍호(洪鎬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계(缶溪)로, 홍덕록(洪德祿)의 아들. 정경세(鄭經世)의 문인으로, 공조 참의(工曹參議)ㆍ대사간(大司諫)을 지냄. 문신이면서도 용병에 관한 지식이 많아 국책에 반영시키려고 노력함.
1586~164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주(無住)@무염 - 무염(無染)
통일신라 헌덕왕(憲德王)~진성여왕(眞聖女王) 때의 승려. 중국에 유학하여 마곡 보철(麻谷寶徹)에게 남종선(南宗禪)을 인가받고, 847년(문성왕 7) 귀국하여 공주(公州) 성주사(聖住寺)에 머물며 성주산문(聖住山門)을 열고 교화함.
801~888 한국>통일신라 , 충청도>공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무주처사(婺州處士) - 하기(何基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황간(黃榦)의 문인(門人)으로, 주희(朱熹)의 학문을 전수받았으며, 왕백(王柏)ㆍ김이상(金履祥)ㆍ허겸(許謙) 등과 함께 ‘금화사선생(金華四先生)’으로 일컬어짐.
1188~126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무준(無準) - 기화(己和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승려. 최치원(崔致遠)이 주장했던 불교(佛敎)ㆍ유교(儒敎)ㆍ도교(道敎)의 삼교일치설(三敎一致說)을 전개함.
1376~143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무중(武仲)@허유 - 허유(許由)
중국 하(夏) 나라의 은자. 청렴하고 덕이 높아 요(堯) 임금이 천하를 양보하려 하자 거절하고 기산(箕山)에 숨었으며, 또 그를 불러 구주(九州)의 장(長)으로 삼으려 하자 영수(潁水) 물가에 가서 귀를 씻었다고 함.
중국>하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무중(武仲)@이환 - 이환(李桓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낸 이성신(李省身)의 아들로, 이치신(李致身)에게 출계(出系)함.
1629~1672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
-
무중(武仲) - 유계(兪棨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기계(杞溪). 김장생(金長生)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여 예학과 사학에 정통하였으며, 송시열(宋時烈)ㆍ송준길(宋浚吉) 등과 더불어 충청도 유림의 오현(五賢)으로 일컬어짐.
1607~166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무중(茂仲) - 이수함(李秀咸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평(新平)으로, 이달(李達)의 아버지. 1521년(중종 16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교서관 교리(校書館校理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진(武珍) - 광주(光州)
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.
전라도>광산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