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무주(無住)@무염 - 무염(無染)
통일신라 헌덕왕(憲德王)~진성여왕(眞聖女王) 때의 승려. 중국에 유학하여 마곡 보철(麻谷寶徹)에게 남종선(南宗禪)을 인가받고, 847년(문성왕 7) 귀국하여 공주(公州) 성주사(聖住寺)에 머물며 성주산문(聖住山門)을 열고 교화함.
801~888 한국>통일신라 , 충청도>공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무주처사(婺州處士) - 하기(何基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황간(黃榦)의 문인(門人)으로, 주희(朱熹)의 학문을 전수받았으며, 왕백(王柏)ㆍ김이상(金履祥)ㆍ허겸(許謙) 등과 함께 ‘금화사선생(金華四先生)’으로 일컬어짐.
1188~126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무준(無準) - 기화(己和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승려. 최치원(崔致遠)이 주장했던 불교(佛敎)ㆍ유교(儒敎)ㆍ도교(道敎)의 삼교일치설(三敎一致說)을 전개함.
1376~143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무중(武仲)@허유 - 허유(許由)
중국 하(夏) 나라의 은자. 청렴하고 덕이 높아 요(堯) 임금이 천하를 양보하려 하자 거절하고 기산(箕山)에 숨었으며, 또 그를 불러 구주(九州)의 장(長)으로 삼으려 하자 영수(潁水) 물가에 가서 귀를 씻었다고 함.
중국>하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무중(武仲)@이환 - 이환(李桓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낸 이성신(李省身)의 아들로, 이치신(李致身)에게 출계(出系)함.
1629~1672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
-
무중(武仲) - 유계(兪棨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기계(杞溪). 김장생(金長生)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여 예학과 사학에 정통하였으며, 송시열(宋時烈)ㆍ송준길(宋浚吉) 등과 더불어 충청도 유림의 오현(五賢)으로 일컬어짐.
1607~166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무중(茂仲) - 이수함(李秀咸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평(新平)으로, 이달(李達)의 아버지. 1521년(중종 16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교서관 교리(校書館校理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진(武珍) - 광주(光州)
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.
전라도>광산 , 지명>행정지명
-
무진(無盡) - 권반(權攀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찬성(贊成) 권제(權踶)의 아들. 1453년(단종 1) 형 권람(權攬)과 함께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가담하여 좌익공신(左翼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형조 참판(刑曹參判)ㆍ개성 부윤(開城府尹) 등을 지냄.
1419~147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무진(茂珍) - 광주(光州)
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.
전라도>광산 , 지명>행정지명
-
무진(茂秦) - 사진(謝榛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인. 시가(詩歌)에 능했으며 전칠자(前七子)의 복고설(復古說)을 계승하여 왕세정(王世貞)ㆍ이반룡(李攀龍)ㆍ서중행(徐中行) 등과 시사(詩社)를 결성하고 고문사설(古文辭說)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.
1495~1575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무진김씨(武珍金氏) - 광산김씨(光山金氏)
신라 신무왕(神武王)의 셋째 아들 김흥광(金興光)을 시조로 하는 성씨. 고려 때 8명의 평장사(平章事), 조선 때 7명의 대제학(大提學)을 배출하는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함.
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광산 , 인명>집단>성씨
-
무진백(武珍伯) - 탁영(卓英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보문각 대제학(寶文閣大提學)을 지낸 탁종성(卓宗成)의 아들로, 고종 때 사마시(司馬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평장사(平章事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진악(武珍岳) - 무등산(無等山)
전라남도 담양(潭陽)ㆍ화순(和順)과 광주(光州) 사이에 있는 산 이름. 백제 때는 무진악(武珍岳), 신라 때는 무악(武岳), 고려 때는 서석산(瑞石山)으로 불림.
전라도>화순ㅣ전라도>담양ㅣ전라도>광산 , 지명>자연지명
-
무진주(武珍州) - 광주(光州)
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.
전라도>광산 , 지명>행정지명
-
무진주(茂珍州) - 광주(光州)
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.
전라도>광산 , 지명>행정지명
-
무질(無疾) - 민무질(閔無疾)
조선 태조(太祖)~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공신(功臣)에 봉해졌으나, 형 민무구(閔無咎)와 연루된 옥사로 공신녹권(功臣錄券)이 환수되고 유배감.
?~141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착(無着) - 원오(圜悟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고종(高宗) 때의 임제종(臨濟宗)의 승려. 종고(宗杲)에게 법을 전수함. 저서에 《벽암록(碧巖錄)》이 있음.
1063~113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무첨(無忝) - 손효조(孫孝祖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으로,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, 김용석(金用石) 등과 함께 주희(朱熹)의 고사에 의거하여 향약(鄕約)을 만들고 《소학(小學)》을 강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무춘(茂春) - 나무춘(羅茂春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인목대비(仁穆大妃)의 폐출소(廢黜疏)를 올린 이위경(李偉卿)을 탄핵하다 관직을 삭탈당함.
1580~161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