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무택(無擇) - 채무택(蔡無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인천(仁川). 김안로(金安老)에게 빌붙어 많은 사람을 무고하고 신하들을 이간시켜 김안로ㆍ허항(許沆)과 함께 ‘정유삼흉(丁酉三兇)’으로 불렸으며, 문정왕후(文定王后)의 폐위를 모의하다가 유배되어 사사됨.
?~153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인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무평성(武平城) - 무성(武城)
중국 화주(華州) 정현(鄭縣) 동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. 공자(孔子)의 제자인 자유(子游)가 예악(禮樂)으로 이 고을을 다스렸음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무풍군(茂豊君) - 이총(李摠)
조선 전기의 종친. 우산군(牛山君) 이종(李踵)의 아들이며, 남효온(南孝溫)의 사위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됨.
?~150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무풍부정(茂豊副正) - 이총(李摠)
조선 전기의 종친. 우산군(牛山君) 이종(李踵)의 아들이며, 남효온(南孝溫)의 사위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됨.
?~150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무풍정(茂豊正) - 이총(李摠)
조선 전기의 종친. 우산군(牛山君) 이종(李踵)의 아들이며, 남효온(南孝溫)의 사위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됨.
?~150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무하옹(無何翁) - 박인로(朴仁老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ㆍ문인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무공을 세우고 수문장(守門將) 등을 지냄. 가사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정철(鄭澈)ㆍ윤선도(尹善道)와 함께 조선의 3대 시가인(詩歌人)으로 불림.
1561~164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무신
-
무하옹(無何翁)@이원손 - 이원손(李元孫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 편수에 참여하였으며, 대간(臺諫)으로서 윤원형(尹元衡)을 탄핵하여 외직으로 밀려났다가 뒤에 참의(參議) 등을 지냄.
1498~155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무학(無學) - 자초(自超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고승. 소지선사(小止禪師)의 제자로 구족계를 받고, 혜명국사(慧明國師)에게서 불법을 배움. 나옹(懶翁) 혜근(惠勤)의 수제자로 조선 개국 후 왕사(王師)가 됨.
1327~1405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무항(霧巷) - 원호(元昊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. 세조가 집권하자 원주(原州)에 은거하였으며 단종(端宗)이 죽자 삼년상을 치른 후 칩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무향(婺鄕) - 무원(婺源)
중국 안휘성(安徽省)에 속하는 고을 이름.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에는 신안군(新安郡)에 속했음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무형자(無形子) - 정추(鄭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좌사의대부(左司議大夫)를 지낸 정포(鄭誧)의 아들로,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ㆍ첨서밀직사사(簽書密直司事)를 지냈고,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.
1333~1382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무혜비(武惠妃) - 정순황후(貞順皇后)
중국 당(唐) 현종(玄宗)의 왕비. 현종(玄宗)의 제18왕자 수왕(壽王) 이모(李瑁)의 어머니.
?~73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무홍(茂弘)@왕도 - 왕도(王導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재상(宰相). 원제(元帝)의 총애로 정승에 오르고, 명제(明帝)와 성제(成帝)를 보좌하여 동진의 기초를 다짐.
276~33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무홍(茂弘) - 양산해(梁山海)
조선 후기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송천(松川) 양응정(梁應鼎)의 아들로,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의 문인(門人). 학행(學行)으로 호조 참판(戶曺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무화(茂和) - 김극개(金克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참의(參議)를 지낸 김헌윤(金憲胤)의 아버지. 형조 참판(刑曹參判)으로 있을 때 작서사건(灼鼠事件)에 연루되어 탄핵을 받고 관직이 삭탈됨.
1474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무화(茂和)@황잠선 - 황잠선(黃潛善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호부 시랑(戶部侍郞)ㆍ우상(右相) 등을 지냈으나, 금군(金軍)이 남침했을 때 왕백언(汪伯彦) 등과 함께 방비책을 강구하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여 송 나라를 패배하게 함.
?~112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무환(武桓) - 문정(文挺)
고려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서북면 대장군(西北面大將軍行) 문지원(文智遠)의 아들로, 대도독(大都督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무신
-
무환(無患) - 박대립(朴大立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으로, 돈녕부 정(敦寧府正) 박세영(朴世榮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이며, 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냄. 수십 년 묵은 송사(訟事)를 판서(判書)에게 항변하여 종결지어 명성을 얻음.
1512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무황(武皇)@현종 - 현종(玄宗)
중국 당(唐) 나라 제6대 황제. 재위 712~756. 예종(睿宗)의 셋째 아들로,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, 말년에는 양귀비(楊貴妃)와 향락에 빠져 안사(安史)의 난(亂)을 초래함.
685~76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무황(武皇)@무종(원) - 무종(武宗)@원
중국 원(元) 나라의 제7대 황제. 재위 1307~1311. 해도(海都)의 난을 평정한 뒤 아난답(阿難荅) 옹립을 꾀하는 몽골의 궁정관료파를 누르고 즉위함.
1281~1311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