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묵소(默所) - 장유(張維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덕수(德水). 우의정 김상용(金尙容)의 사위이며, 사계(沙溪) 김장생(金長生)의 문인. 효종비(孝宗妃) 인선왕후(仁宣王后)의 아버지로, 이괄(李适)의 난과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왕을 호종함. 지행합일(知行合一)을 주장하여 양명학적(陽明學的) 사고방식을 보임.
1587~163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ㅣ경기도>안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묵수(墨守) - 묵수성규(墨守成規)
묵적(墨翟)의 수비가 규례를 이룸.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묵적이 공수반(公輸班)의 운제(雲梯)를 이용한 모의 공격 시험에서 아홉 번 모두 수성(守城)에 성공한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, 후대에는 융통성 없이 낡은 규례를 고수함을 뜻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묵수당(默守堂) - 최유해(崔有海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1624년(인조 2) 안변 부사(安邊府使) 시절 명(明) 나라의 모문룡(毛文龍)에게 군량을 공급함.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선정을 베풀어 곳곳에 송덕비(頌德碑)가 세워지고, 의약ㆍ복서ㆍ천문에 밝음.
1587~1641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묵수성법(墨守成法) - 묵수성규(墨守成規)
묵적(墨翟)의 수비가 규례를 이룸.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묵적이 공수반(公輸班)의 운제(雲梯)를 이용한 모의 공격 시험에서 아홉 번 모두 수성(守城)에 성공한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, 후대에는 융통성 없이 낡은 규례를 고수함을 뜻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묵씨(墨氏) - 묵적(墨翟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사상가. 묵가(墨家)의 창시자. 전국(戰國) 초기에 상현(尙賢)ㆍ상동(尙同)ㆍ겸애(兼愛) 등을 주장하여 실리적인 지역사회의 단결을 지향함.
B.C.480?~B.C.390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묵암(墨巖) - 이계맹(李繼孟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점필재(佔畢齋)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김일손(金馹孫)ㆍ남효온(南孝溫)과 교유함.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영광(靈光)으로 유배되었으나, 중종반정(中宗反正) 이후 대사헌(大司憲)ㆍ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냄.
1458~152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관인>문신
-
묵암(默巖) - 권응정(權應挺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송인수(宋麟壽)ㆍ이언적(李彦迪)ㆍ노수신(盧守愼) 등과 함께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의 배후로 지목되어 유배됨.
1498~156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묵암(默庵)@송부필 - 송부필(宋富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여산(礪山). 신사무옥(辛巳誣獄)을 일으킨 판관(判官) 송사련(宋祀連)의 아들. 동생 송익필(宋翼弼)ㆍ송한필(宋翰弼)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언론에 능했으며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 등과 친교(親交)함.
?~159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묵암(默庵)@성혼 - 성혼(成渾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백인걸(白仁傑)의 문인으로, 이황(李滉)을 사숙하고 이이(李珥)와 도의지교를 맺음. 서인(西人)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,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(四七理氣說)에 대해 논변함.
1535~159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묵암(默庵) - 권추(權推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인. 허백정(虛白亭) 홍귀달(洪貴達)과 교유하였고, 당호인 묵암(默庵)에 대한 기문(記文)이《허백정집(虛白亭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진위 , 인명>문사>문인
-
묵암(默庵)@권응정 - 권응정(權應挺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송인수(宋麟壽)ㆍ이언적(李彦迪)ㆍ노수신(盧守愼) 등과 함께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의 배후로 지목되어 유배됨.
1498~156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묵암병부(默庵病夫) - 성혼(成渾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백인걸(白仁傑)의 문인으로, 이황(李滉)을 사숙하고 이이(李珥)와 도의지교를 맺음. 서인(西人)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,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(四七理氣說)에 대해 논변함.
1535~159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묵암병사(默菴病士) - 성혼(成渾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백인걸(白仁傑)의 문인으로, 이황(李滉)을 사숙하고 이이(李珥)와 도의지교를 맺음. 서인(西人)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,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(四七理氣說)에 대해 논변함.
1535~159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묵암자(墨巖子) - 이집(李集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ㆍ이숭인(李崇仁)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, 공민왕(恭愍王) 때 사직하고 여주(驪州)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.
1314~1387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광주ㅣ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묵암재(墨巖齋) - 이집(李集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ㆍ이숭인(李崇仁)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, 공민왕(恭愍王) 때 사직하고 여주(驪州)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.
1314~1387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광주ㅣ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묵언(默言) - 굉상인(宏上人)
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. 상원사(上院寺) 주변에 무주암(無住菴)을 짓고 원천석(元天錫)과 시를 수창(酬唱)하며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평창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묵은(默隱)@수도군 - 수도군(守道君)
조선 제2대 정종(定宗)의 일곱 번째 서자. 숙의윤씨(淑儀尹氏)의 소생으로, 관직을 삭존(削尊)당한 뒤 사후에 신원되어 영종정경(領宗正卿)의 벼슬과 군(君)에 추봉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묵은(默隱) - 정희량(鄭熙良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동(河東)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으로, 직제학(直提學)을 지냄. 조선 건국 후 정도전(鄭道傳)ㆍ남은(南誾) 등을 탄핵하다가 유배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묵이(默台) - 이봉(怡峯)
중국 남북조시대 서위(西魏)의 무신. 뛰어난 용맹으로 훗날 북주(北周)의 태조(太祖)가 된 우문태(宇文泰)의 신임을 얻어 어지러운 정국을 돌봄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묵자(墨子)@묵적 - 묵적(墨翟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사상가. 묵가(墨家)의 창시자. 전국(戰國) 초기에 상현(尙賢)ㆍ상동(尙同)ㆍ겸애(兼愛) 등을 주장하여 실리적인 지역사회의 단결을 지향함.
B.C.480?~B.C.390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