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무후(武侯)@왕맹 - 왕맹(王猛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전진(前秦)의 승상(丞相). 화산(華山)에 은거해 있다가 전진(前秦)의 세조(世祖) 부견(符堅)의 승상으로 일하면서 국력을 크게 중흥시킴.
325~375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무후(武侯)@제갈량 - 제갈량(諸葛亮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 나라의 문신. 뛰어난 전략가(戰略家)로 유비(劉備)의 삼고초려(三顧草廬)의 예(禮)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(吳)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(曹操)의 위(魏)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.
221~264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무후(無詬) - 우신행(于愼行)
중국 명(明) 나라 목종(穆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상중(喪中)에 출사한 장거정(張居正)의 행위를 논하다가 미움을 받아 낙향하고, 후에 복직하여 태자소보(太子少保) 등을 지냄. 풍기(馮琦)와 함께 문학(文學)으로 명성을 떨침.
1545~160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무후(茂侯) - 장화(張華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인ㆍ문신. 무제(武帝) 때 오(吳) 나라 토벌에 공을 세워 무후(武侯)에 봉해짐. 천상(天象)을 잘 보는 뇌환(雷煥)을 천거하여 용천검(龍泉劍)ㆍ태아검(太阿劍)을 찾아냈으며, 장재(張載)ㆍ장협(張協)과 함께 삼장(三張)으로 문명을 날림.
232~300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무후서(武侯書) - 무후전서(武侯全書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왕사기(王士騏)가 제갈량(諸葛亮)의 사적(事跡) 및 후인들의 평론(評論)ㆍ시부(詩賦) 등을 모아 편찬한 책. 20권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무휼(無恤) - 대무신왕(大武神王)
고구려의 제3대 왕. 재위 18~44. 유리왕(瑠璃王)의 셋째 아들. 동부여(東扶餘)를 공격하여 대소왕(帶素王)를 죽이고 고구려에 병합하였고, 국토를 살수(薩水) 이북까지 확대하였으며, 왕자 호동(好童)을 시켜 낙랑군(樂浪郡)을 정벌하는 등 많은 나라를 공략하여 무공을 세움.
4~44 한국>고구려 , 인명>왕실>국왕
-
무휼(無恤)@조양자 - 조양자(趙襄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정경(正卿). 조간자(趙簡子)의 아들로, 지(智)를 멸하고 한(韓)ㆍ위(魏)와 함께 진 나라의 영토를 삼분한 이른바 삼가분진(三家分晉)을 이룸.
?~B.C.425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묵(默) - 강묵(江默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~이종(理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선조인 강지(江贄)가 편찬한 《자치통감절요(資治通鑑節要)》를 주희에게 질정받아 1237년(이종 1)에 출간함. 건녕현 지사(建寧縣知事)를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묵경(墨卿) - 단문창(段文昌)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~목종(穆宗) 때의 재상(宰相). 한유(韓愈)가 쓴 〈평회서비(平淮西碑)〉를 다시 지어 세웠는데 졸문이라는 평가를 받음.
773~83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묵곡(墨谷) - 이계맹(李繼孟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점필재(佔畢齋)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김일손(金馹孫)ㆍ남효온(南孝溫)과 교유함.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영광(靈光)으로 유배되었으나, 중종반정(中宗反正) 이후 대사헌(大司憲)ㆍ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냄.
1458~152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관인>문신
-
묵로(默老) - 홍언필(洪彦弼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형(洪泂)의 아들이며, 홍섬(洪暹)의 아버지로,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,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가담하여 보익공신(保翼功臣)에 책록되었고, 인종(仁宗)의 묘정에 배향됨.
1476~154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묵사(黙師) - 사묵(思黙)
조선 전기의 승려. 노수신(盧守愼)의 《소재집(穌齋集)》에 관련된 시(詩)가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묵소(默所) - 장유(張維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덕수(德水). 우의정 김상용(金尙容)의 사위이며, 사계(沙溪) 김장생(金長生)의 문인. 효종비(孝宗妃) 인선왕후(仁宣王后)의 아버지로, 이괄(李适)의 난과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왕을 호종함. 지행합일(知行合一)을 주장하여 양명학적(陽明學的) 사고방식을 보임.
1587~163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ㅣ경기도>안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묵수(墨守) - 묵수성규(墨守成規)
묵적(墨翟)의 수비가 규례를 이룸.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묵적이 공수반(公輸班)의 운제(雲梯)를 이용한 모의 공격 시험에서 아홉 번 모두 수성(守城)에 성공한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, 후대에는 융통성 없이 낡은 규례를 고수함을 뜻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묵수당(默守堂) - 최유해(崔有海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1624년(인조 2) 안변 부사(安邊府使) 시절 명(明) 나라의 모문룡(毛文龍)에게 군량을 공급함.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선정을 베풀어 곳곳에 송덕비(頌德碑)가 세워지고, 의약ㆍ복서ㆍ천문에 밝음.
1587~1641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묵수성법(墨守成法) - 묵수성규(墨守成規)
묵적(墨翟)의 수비가 규례를 이룸.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묵적이 공수반(公輸班)의 운제(雲梯)를 이용한 모의 공격 시험에서 아홉 번 모두 수성(守城)에 성공한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, 후대에는 융통성 없이 낡은 규례를 고수함을 뜻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묵씨(墨氏) - 묵적(墨翟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사상가. 묵가(墨家)의 창시자. 전국(戰國) 초기에 상현(尙賢)ㆍ상동(尙同)ㆍ겸애(兼愛) 등을 주장하여 실리적인 지역사회의 단결을 지향함.
B.C.480?~B.C.390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묵암(墨巖) - 이계맹(李繼孟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점필재(佔畢齋)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김일손(金馹孫)ㆍ남효온(南孝溫)과 교유함.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영광(靈光)으로 유배되었으나, 중종반정(中宗反正) 이후 대사헌(大司憲)ㆍ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냄.
1458~152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관인>문신
-
묵암(默巖) - 권응정(權應挺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송인수(宋麟壽)ㆍ이언적(李彦迪)ㆍ노수신(盧守愼) 등과 함께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의 배후로 지목되어 유배됨.
1498~156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묵암(默庵)@송부필 - 송부필(宋富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여산(礪山). 신사무옥(辛巳誣獄)을 일으킨 판관(判官) 송사련(宋祀連)의 아들. 동생 송익필(宋翼弼)ㆍ송한필(宋翰弼)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언론에 능했으며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 등과 친교(親交)함.
?~159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