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강륜(姜綸)
조선 중종(中宗) 때 남해(南海)의 유학. 대유(大柔) 김구(金絿)가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남해에 유배되었을 때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남해 , 인명>문사>유학
-
강륜(康崙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신천(信川). 절충장군(折衝將軍) 강희철(康希哲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명종 때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517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강릉(江陵)
강원도의 태백산맥(太白山脈)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.
강원도>강릉 , 지명>행정지명
-
강릉김씨(江陵金氏)
신라 태종무열왕(太宗武烈王)의 5세손으로 시중(侍中)을 지내고 명주군왕(溟州郡王)에 봉해진 김주원(金周元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통일신라 , 강원도>강릉 , 인명>집단>성씨
-
강릉최씨(江陵崔氏)
고려 전기 경흥부원군(慶興府院君)에 봉해진 최필달(崔必達) 계통과, 고려 태조(太祖)의 부마(駙馬)인 최흔봉(崔欣奉) 계통과, 고려 충숙왕(忠肅王)의 부마인 최문한(崔文漢) 계통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집단>성씨
-
강린(姜潾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부사맹(副司猛) 강이행(姜利行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 글씨에 능하여 중종의 총애를 받았던 강징(姜澂)의 동생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강맹경(姜孟卿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참여하였으며,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봉해짐. 1459년 영의정(領議政)에 오름.
1410~146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강면(姜愐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남평 현감(南平縣監)을 지낸 강종윤(姜宗胤)의 아들로, 함경도 도사(咸鏡道都事)를 지냄.
1567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대흥 , 인명>관인>문신
-
강묵(江默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~이종(理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선조인 강지(江贄)가 편찬한 《자치통감절요(資治通鑑節要)》를 주희에게 질정받아 1237년(이종 1)에 출간함. 건녕현 지사(建寧縣知事)를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강문우(姜文佑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(門人)으로, 교서관 교리(校書館校理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문회(姜文會)
조선 예종(睿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성종 때에는 사표(師表)로 추앙되었으나, 연산군(燕山君)의 폭정으로 관직을 버리고 단성(丹城)으로 낙향하여 후진양성에 힘씀. 저서로 《소요당기(逍遙堂記)》가 있음.
1433~149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단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강민첨(姜民瞻)
고려 목종(穆宗)~현종(玄宗) 때의 문신. 현종 때 안찰사(按察使)로서 동여진(東女眞)을 격퇴하였으며, 1018년(현종 9) 거란(契丹)의 소배압(蕭排押)이 침략했을 때 강감찬(姜邯贊)의 부장(副將)으로 출전하여 격파하고, 개경(開京)까지 추격하여 크게 무찌름.
?~1021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강백진(康伯珍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으로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귀양 가서 1504년(연산군 10) 처형됨.
?~1504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강복성(康復誠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남원에서 전공을 세우고, 광해군(光海君)의 사부로 가자(加資)되었으나 난정(亂政)을 행하자 사직함. 이괄(李适)의 난 때 인조를 호위하여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냈으며, 저서로 《죽간집(竹磵集)》이 있음.
1550~163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사미(姜士美)
고려 정종(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양(晉陽). 추밀원사(樞密院使)ㆍ국자 좨주(國子祭酒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사상(姜士尙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지낸 강온(姜溫)의 아들. 1568년(선조 1) 조광조(趙光祖)의 신원과 추숭을 건의했으며, 이조 판서ㆍ한성부 판윤ㆍ우의정 등을 지냄.
1519~15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사안(姜士安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지낸 강온(姜溫)의 아들로, 강호(姜滸)에게 출계(出系)함. 예문관 봉교(藝文館奉敎)ㆍ병조 정랑(兵曹正郞) 등을 지냄.
1523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사진(姜思進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918년(태조 1) 문과에 급제한 후 문하평장사(門下平章事)에 이르렀음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사필(姜士弼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지낸 강온(姜溫)의 아들. 조욱(趙昱)의 문인으로, 충청 감사(忠淸監司)ㆍ강원 감사(江原監司) 등을 지냄.
1526~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산취우도(江山驟雨圖)
중국 명(明) 나라 화가였던 당인(唐寅)의 대표적인 그림. 당인은 남종화(南宗畵)와 북종화(北宗畵)를 융합한 산수화를 그렸음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작품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