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묵재(默齋) - 박사희(朴士熹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함양(咸陽)으로, 훈도(訓導) 박형(朴馨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에만 전념함.
1508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묵재(默齋)@오백령 - 오백령(吳百齡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복(同福). 사옹원 직장(司饔院直長)을 지낸 오세현(吳世賢)의 아들로, 광해군(光海君) 때 폐모론을 반대하여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(仁祖反正) 후에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냄.
1560~163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동복 , 인명>관인>문신
-
묵재(默齋)@허적 - 허적(許積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남인(南人)으로 제1ㆍ2차 예송(禮訟)에서 서인(西人)과 대결했으며, 제2차 예송에서 승리하여 집권한 뒤 탁남(濁南)의 영수가 됨. 아들 허견(許堅)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사사되었으나 기사환국(己巳換局)으로 신원됨.
1610~1680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묵재(默齋)@양우 - 양우(梁祐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양준(梁俊)의 아들이며, 대방군(帶方君) 양천룡(梁天龍)의 아버지. 판도 판서(版圖判書)로 집현전 대제학(集賢殿大提學)을 겸하였으나, 고려가 망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함.
1306~1396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묵재(默齋)@홍언필 - 홍언필(洪彦弼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형(洪泂)의 아들이며, 홍섬(洪暹)의 아버지로,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,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가담하여 보익공신(保翼功臣)에 책록되었고, 인종(仁宗)의 묘정에 배향됨.
1476~154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묵재(黙齋)@유염 - 유염(柳琰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문하평리(門下評理) 유혜손(柳惠蓀)의 아들. 조선 개국 후 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대제학(大提學) 등을 지내고, 세종 때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묵재(黙齋) - 박중손(朴仲孫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수양대군(首陽大君)을 도와 김종서(金宗瑞)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(靖難功臣)에 책록되고, 좌참찬(左參贊)을 역임함.
1412~146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묵재상공(默齋相公) - 홍언필(洪彦弼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형(洪泂)의 아들이며, 홍섬(洪暹)의 아버지로,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,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가담하여 보익공신(保翼功臣)에 책록되었고, 인종(仁宗)의 묘정에 배향됨.
1476~154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묵재선생일고(默齋先生逸稿) - 묵재일고(黙齋逸稿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박사희(朴士熹)의 시문집(詩文集). 2권. 1935년 후손인 박세기(朴世基)가 편집, 간행함.
1935 한국>근대 , 문헌>서명
-
묵재일기(默齋日記) - 노랄수사(老辣瀡辭)
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(安邦俊)이, 연평부원군(延平府院君) 이귀(李貴)의 생애와 행적을 주제별로 편집한 책. 8편.
1651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묵적지수(墨翟之守) - 묵수성규(墨守成規)
묵적(墨翟)의 수비가 규례를 이룸.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묵적이 공수반(公輸班)의 운제(雲梯)를 이용한 모의 공격 시험에서 아홉 번 모두 수성(守城)에 성공한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, 후대에는 융통성 없이 낡은 규례를 고수함을 뜻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묵존암병사(默存庵病士) - 성혼(成渾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백인걸(白仁傑)의 문인으로, 이황(李滉)을 사숙하고 이이(李珥)와 도의지교를 맺음. 서인(西人)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,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(四七理氣說)에 대해 논변함.
1535~159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묵태(墨胎) - 숙제(叔齊)
중국 은(殷) 나라의 충신ㆍ은자. 주(周) 나라 무왕(武王)이 은 나라를 치려할 때 형 백이(伯夷)와 함께 말리다가 듣지 않자, 주에서 나는 곡식을 먹는 것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(首陽山)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왕실>왕자
-
묵태두(墨胎頭) - 백이(伯夷)
중국 은(殷) 나라의 충신ㆍ은자. 고죽군(孤竹君)의 아들로, 주(周) 나라 무왕(武王)이 은 나라의 주왕(紂王)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(叔齊)와 더불어 수양산(首陽山)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.
중국>주ㅣ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왕실>종친
-
묵태씨(墨胎氏) - 백이(伯夷)
중국 은(殷) 나라의 충신ㆍ은자. 고죽군(孤竹君)의 아들로, 주(周) 나라 무왕(武王)이 은 나라의 주왕(紂王)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(叔齊)와 더불어 수양산(首陽山)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.
중국>주ㅣ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왕실>종친
-
묵태윤(墨胎允) - 백이(伯夷)
중국 은(殷) 나라의 충신ㆍ은자. 고죽군(孤竹君)의 아들로, 주(周) 나라 무왕(武王)이 은 나라의 주왕(紂王)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(叔齊)와 더불어 수양산(首陽山)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.
중국>주ㅣ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왕실>종친
-
묵태초(墨胎初) - 고죽군(孤竹君)
중국 은(殷) 나라 고죽국(孤竹國)의 군주. 백이(伯夷)와 숙제(叔齊)의 아버지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묵헌(默軒)@봉여해 - 봉여해(奉汝諧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음(河陰). 뛰어난 학문과 덕으로 사옹원 별좌(司饔院別座) 등을 지냈으나, 1456년(세조 2)에 성삼문(成三問)ㆍ박팽년(朴彭年) 등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모의한 죄로 처형됨.
1419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강화 , 인명>관인>문신
-
묵헌(默軒) - 민지(閔漬)
고려 원종(元宗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1266년(원종 7)에 문과(文科)에 장원급제하여 지후(祗候)가 되었고, 충선왕 때 첨의정승(僉議政丞)에 이르러 사직하였음. 충숙왕 때 다시 수정승(守政丞)이 되고 여흥군(驪興君)에 봉하여졌음.
1248~1326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묵호(墨豪) - 전충효(全忠孝)
조선 후기의 서화가.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서화가인 조속(趙涑)의 제자로, 스승의 사의적(寫意的)인 수묵화조화풍(水墨花鳥畵風)을 따른〈수작도(水鵲圖)〉등이 전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