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경(文卿)@서문경 - 서문경(徐文卿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인. 주희(朱熹)의 문하생으로, 조번(趙蕃)ㆍ한표(韓淲)와 명성을 나란히 하였고, 저서로 《소추시집(蕭秋詩集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문경(文卿)@전한 - 전한(全翰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산(慶山)으로, 군자감 직장(軍資監直長)을 지낸 전은로(全銀輅)의 손자. 사섬시 첨정(司贍寺僉正)ㆍ사옹원 정(司饔院正)ㆍ성균관 사성(成均館司成) 등을 지냄.
1488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卿) - 김기보(金箕報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음보(蔭補)로 벼슬에 나아갔으며, 품성이 충간(忠簡)하고 문장이 뛰어남.
1531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김집 - 김집(金集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장생(金長生)의 아들로, 예학(禮學)을 대성시킴. 대사헌(大司憲)ㆍ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내고, 효종과 북벌(北伐)을 계획함.
1574~165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연산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윤근수 - 윤근수(尹根壽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윤두수(尹斗壽)의 아우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선조(宣祖) 때 종계변무(宗系辨誣)의 공으로 광국공신(光國功臣)에 책록되고,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37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이기 - 이기(李芑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이의무(李宜茂)의 아들로, 명종 때 윤원형(尹元衡) 등 소윤(小尹) 일파와 손잡고 을사사화(乙巳士禍)를 일으킴. 보익공신(輔翼功臣)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.
1476~155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 - 강군보(姜君寶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계림 판관(鷄林判官)을 지낸 강창귀(姜昌貴)의 아들.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 등을 역임함.
?~1380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김예몽 - 김예몽(金禮蒙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사람을 보는 안목이 매우 뛰어나 시관(試官)이 되어 많은 인재를 뽑음.
1406~146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백인걸 - 백인걸(白仁傑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수원(水原). 동지춘추관사(同知春秋館事) 등을 지내고, 동서분당(東西分黨)의 폐단을 논하며 중재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함. 훈구 세력에 맞서 사림파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.
1497~157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박의중 - 박의중(朴宜中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이색(李穡)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음. 철령위(鐵嶺衛) 철폐를 이룩하고 추성보조공신(推誠補祚功臣)에 책록됨.
1337~140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문의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이기홍 - 이기홍(李箕洪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풍산군(豐山君) 이종린(李宗麟)의 후손이며, 송준길(宋浚吉)ㆍ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. 사포서 별검(司圃署別檢)ㆍ집의(執義) 등을 지내고, 만년에 낙향하여 권상하(權尙夏)와 함께 경전(經傳)을 강론하였으며, 《정암집(靜庵集)》의 편찬에 참여함.
1641~170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연풍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문사>학자
-
문경(文敬)@오반 - 오반(吳潘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평장사(平章事) 오연총(吳延寵)의 아들로, 문하좌찬성사(門下左贊成事)를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조승숙 - 조승숙(趙承肅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함안(咸安)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으로 감무(監務) 등을 지내고, 조선 개국 후 고향에 은거하여 후진양성에 전념함. 두문동칠십이현(杜門洞七十二賢) 중의 한 사람.
1357~1417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이유태 - 이유태(李惟泰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동부승지(同副承旨) 등을 지내고 예학(禮學)에 뛰어났으며, 송시열(宋時烈)ㆍ송준길(宋浚吉)ㆍ윤선거(尹宣擧)ㆍ유계(兪棨)와 더불어 호서산림(湖西山林) 오현(五賢)으로 일컬어짐. 저서로는 《초려집(草廬集)》 등이 있음.
1607~1684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임성주 - 임성주(任聖周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풍천(豊川). 영조 때 시직(侍直) 등을 지내다 사직하고, 공주(公州) 녹문(鹿門)에 은거함. 주희(朱熹)의 이기론(理氣論)을 비판하고, 기일분수설(氣一分殊說)을 주장함.
1711~178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문사>학자
-
문경(文敬)@김원행 - 김원행(金元行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재(李縡)의 문인으로, 신임사화(辛壬士禍) 때 종조(從祖) 김창집(金昌集)이 사사되고 일가가 모두 유배된 후 벼슬을 사양하고 성리학에 전념함.
1702~177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송환기 - 송환기(宋煥箕)
조선 정조(正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은진(恩津). 송시열(宋時烈)의 5대손이며 송능상(宋能相)의 문인으로, 우찬성(右贊成) 등을 지냄. 학덕을 겸비하여 조야의 존경을 받았으며, 시문집으로 《성담집(性潭集)》이 있음.
1728~1807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문의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허공 - 허공(許珙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윤극민(尹克敏)의 사위로, 최령(崔寧)ㆍ원부(元傅)와 함께 ‘정방삼걸(政房三傑)’로 불림. 원부ㆍ한강(韓康)과 함께 《고금록(古今錄)》을 편찬했으며, 1291년(충렬왕 17) 원(元) 나라와 함께 합단(哈丹) 공격에 출전했다가 병사함.
1233~1291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유운 - 유운(柳雲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유공좌(柳公佐)의 아들. 기묘사화 때 대사헌(大司憲)으로서 조광조(趙光祖)를 구원하려다가 파직당한 뒤 낙향하여 술로 울분을 달래다 죽음. 편저로 《진수해범(進修楷範)》이 있음.
1485~152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안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한수 - 한수(韓脩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서예가. 이제현(李齊賢)에게 경사(經史)와 서법(書法)을 배우고, 이색(李穡)ㆍ이숭인(李崇仁) 등과 교유하였으며, 찬화공신(贊化功臣)에 책록됨. 지행과 식견이 뛰어나고, 특히 글씨에 능하여 많은 필적을 남김.
1333~1384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