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강(文康)@안방준 - 안방준(安邦俊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죽산(竹山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등 국난을 당할 때마다 의병을 일으켜 항쟁함. 관직을 여러 번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보성(寶城) 우산(牛山)에 들어가 후진 양성에 전념함.
1573~165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강(文康)@조욱 - 조욱(趙昱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평양(平壤). 조광조(趙光祖)ㆍ김식(金湜)의 문인(門人)으로, 시문(詩文)ㆍ서화(書畫)에 능하고, 서경덕(徐敬德)ㆍ이황(李滉)ㆍ김안국(金安國) 등과 교유하였으며, 장수 현감(長水縣監) 등을 지냄.
1498~155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ㅣ경기도>삭녕 , 인명>문사>학자
-
문강(文强) - 황향(黃香)
중국 후한(後漢) 장제(章帝)~화제(和帝) 때의 문신. 많은 전적(典籍)을 읽었고 문장을 잘 지었으므로 사람들이 ‘천하무쌍 강하황동(天下無雙江夏黃童)’이라 일컬었으며, 뒤에는 황동이 사관(史官)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였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개(文介) - 정철(鄭澈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시인. 본관은 연일(延日). 판관(判官)을 지낸 정유침(鄭惟沈)의 아들이며, 기대승(奇大升)의 문인(門人). 예조 판서(禮曹判書)ㆍ대사간(大司諫)을 지냈고,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.
1536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창평ㅣ경기도>강화ㅣ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개(文凱) - 안문개(安文凱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안향(安珦)의 재종질(再從姪). 충숙왕이 원(元) 나라에 억류되어 있을 때 충절을 바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되고, 순흥부원군(順興府院君)에 봉해짐.
1273~1338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거(文擧)@강세륜 - 강세륜(姜世綸)
조선 정조(正祖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1783년(정조 7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종성 부사(鍾城府使)ㆍ사간원 대사간(司諫院大司諫)ㆍ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
1761~184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거(文擧) - 공융(孔融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신ㆍ학자. 건안칠자(建安七子)의 한 사람으로, 헌제(獻帝) 때 북해(北海)의 재상(宰相)이 되어 학교를 세우고 유학(儒學)을 가르침. 한조(漢朝)의 세력 회복에 힘썼으나 조조(曹操) 등의 미움을 받아 일족과 함께 피살됨.
153~208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건(文楗) - 이문건(李文楗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으로, 승문원 판교(承文院判校)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성주(星州)에 유배되었다가 죽음.
1494~154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견록(聞見錄) - 문견전록(聞見前錄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소백온(邵伯溫)의 저서. 20권. 소흥(紹興) 연간 이전까지의 송 나라 왕조의 여러 가지 일을 기록함.
1132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문결(文潔) - 황진(黃震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영종(寧宗)과 이종(理宗) 때의 국사와 실록을 편수하고, 저서에 《고금기요(古今紀要)》ㆍ《일초(日抄)》등이 있음.
1213~12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겸(文謙) - 봉천우(奉天祐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문신ㆍ공신. 본관은 하음(河陰). 충숙왕이 원(元) 나라에 머무를 때 호종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, 밀직사사(密直司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강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卿)@김문경 - 김문경(金文卿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안민(金安民)의 아들이며, 목사(牧使) 김세준(金世俊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문경(文卿)@서문경 - 서문경(徐文卿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인. 주희(朱熹)의 문하생으로, 조번(趙蕃)ㆍ한표(韓淲)와 명성을 나란히 하였고, 저서로 《소추시집(蕭秋詩集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문경(文卿)@전한 - 전한(全翰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산(慶山)으로, 군자감 직장(軍資監直長)을 지낸 전은로(全銀輅)의 손자. 사섬시 첨정(司贍寺僉正)ㆍ사옹원 정(司饔院正)ㆍ성균관 사성(成均館司成) 등을 지냄.
1488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卿) - 김기보(金箕報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음보(蔭補)로 벼슬에 나아갔으며, 품성이 충간(忠簡)하고 문장이 뛰어남.
1531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김집 - 김집(金集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장생(金長生)의 아들로, 예학(禮學)을 대성시킴. 대사헌(大司憲)ㆍ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내고, 효종과 북벌(北伐)을 계획함.
1574~165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연산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윤근수 - 윤근수(尹根壽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윤두수(尹斗壽)의 아우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선조(宣祖) 때 종계변무(宗系辨誣)의 공으로 광국공신(光國功臣)에 책록되고,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37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이기 - 이기(李芑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이의무(李宜茂)의 아들로, 명종 때 윤원형(尹元衡) 등 소윤(小尹) 일파와 손잡고 을사사화(乙巳士禍)를 일으킴. 보익공신(輔翼功臣)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.
1476~155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 - 강군보(姜君寶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계림 판관(鷄林判官)을 지낸 강창귀(姜昌貴)의 아들.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 등을 역임함.
?~1380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김예몽 - 김예몽(金禮蒙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사람을 보는 안목이 매우 뛰어나 시관(試官)이 되어 많은 인재를 뽑음.
1406~146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