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경(文敬)@허조 - 허조(許稠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양(河陽). 권근(權近)의 문인으로, 시관(試官)이 되어 많은 인재를 발탁함. 조선 초기 예악제도(禮樂制度)를 정비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으며, 영춘추관사(領春秋館事) 등을 지냄.
1369~143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윤선거 - 윤선거(尹宣擧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학자. 김집(金集)의 문인으로, 유계(兪棨)ㆍ송시열(宋時烈)ㆍ윤휴(尹鑴)ㆍ윤선도(尹善道)ㆍ이유태(李惟泰) 등과 교유함. 성리학(性理學)의 대가이고 예론(禮論)에도 정통함.
1610~166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금산 , 인명>문사>학자
-
문경(文敬)@이강 - 이강(李岡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암(李嵒)의 아들로, 죽은 후 관례를 깨고 특별히 시호를 받았으며, 이색(李穡)의 《목은집(牧隱集)》에 그의 묘지명(墓誌銘)이 실려 있음.
1333~1368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이중호 - 이중호(李仲虎)@이정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고안정(高安正) 이정(李精)의 아들이며, 서경덕(徐敬德)ㆍ유우(柳藕)의 문인. 과거(科擧)에 뜻을 두지 않고 도학(道學)에 전심하였으며, 문장(文章)에 뛰어나고 성리학(性理學)에 조예가 깊었음.
1512~155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문경(文敬)@이자 - 이자(李耔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한산(韓山). 사림파(士林派)의 한 사람으로 도학정치의 이상을 추구했으며, 온건하고 원만한 성품으로 기묘사화(己卯士禍)의 참화를 면함. 파직된 후 음성(陰城) 등지에 은거하여 학문에 힘씀.
1480~153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ㅣ충청도>음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이여 - 이여(李畬)@1645
조선 현종(玄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이식(李植)의 손자로, 청요직(淸要職)을 두루 역임하다가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에 면직되었으며, 갑술환국(甲戌換局)에 적극 참여하여 형조 참판(刑曹參判)에 발탁되고, 영의정 등을 역임함.
1645~171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유운룡 - 유운룡(柳雲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유성룡(柳成龍)의 형이며 이황(李滉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풍기 군수(豊基郡守)로 부임하여 백성들의 생업을 보호하는 데 힘썼으며, 효성이 지극함.
1539~160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이상정 - 이상정(李象靖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한산(韓山). 예조 참의(禮曹參議) 등을 지내고, 이황(李滉)의 학통을 계승하여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, 낙향 후 안동(安東)에서 학술을 강론하여 많은 제자를 양성함.
1711~178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이항 - 이항(李恒)@이자영의아들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박영(朴英)의 문인으로, 반궁성의(反躬誠意)ㆍ주경궁리(主敬窮理)를 학문 경향으로 삼음. 1566년(명종 21)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의영고 영(義盈庫令) 등을 지냄.
1499~157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태인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김간 - 김간(金榦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박세채(朴世采)ㆍ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(門人). 학행으로 천거되어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내고, 만년에는 저술활동에 전념함.
1646~173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김감 - 김감(金勘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김원신(金元臣)의 아들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가담하여 연창부원군(延昌府院君)에 봉해짐.
1466~150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김수동 - 김수동(金壽童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영가부원군(永嘉府院君)에 봉해졌으며, 삼포왜란(三浦倭亂)을 진압함.
1457~151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남곤 - 남곤(南袞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심정(沈貞) 등과 함께 기묘사화(己卯士禍)를 일으킨 주역.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함.
1471~152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김안국 - 김안국(金安國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 사림파(士林派)의 학통을 계승하고,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.
1478~154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안보 - 안보(安輔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첨의찬성사(僉議贊成事)를 지낸 안축(安軸)의 동생. 원(元) 나라의 제과(制科)에 합격하여 벼슬하다가 귀국한 뒤,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동경 유수(東京留守) 등을 지냄.
1302~1357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성근묵 - 성근묵(成近默)
조선 순조(純祖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재학(才學)으로 추천을 받아 경연관(經筵官) 등을 지냈으며, 청렴강직으로 이름을 떨침.
1784~185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송익필 - 송익필(宋翼弼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여산(礪山). 신사무옥(辛巳誣獄)을 일으킨 판관(判官) 송사련(宋祀連)의 아들.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 등과 교제하며 성리학과 예학(禮學)에 통달하였고, 문장에 뛰어나 선조대(宣祖代)의 팔문장(八文章)으로 불렸으며, 김장생(金長生)ㆍ김집(金集) 등 많은 문하생을 배출함.
1534~1599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학자
-
문경(文敬)@홍이상 - 홍이상(洪履祥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는 한편 왜장(倭將) 사이의 이간 계획을 추진함. 광해군 때 이이첨(李爾瞻) 일파에게 몰려 개성유후사 유후(開城留後司留後)로 좌천되어 그곳에서 죽음.
1549~161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김굉필 - 김굉필(金宏弼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서흥(瑞興)으로,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.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극형에 처해짐. 정여창(鄭汝昌)ㆍ조광조(趙光祖)ㆍ이언적(李彦迪)ㆍ이황(李滉) 등과 함께 오현(五賢)으로 문묘에 종사됨.
1454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경(文敬)@서경덕 - 서경덕(徐敬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당성(唐城). 독자적인 기철학(氣哲學)의 체계를 완성하여, 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.
1489~154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