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계(文季) - 주휘(朱暉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문신. 임회 태수(臨淮太守)로 있으면서 정사를 잘하여 그곳 관리와 백성들이 존경하고 사랑하여 노래를 지어 불렀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계(文桂) - 심문계(沈文桂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삼척(三陟). 조선 전기의 문신 심관(沈灌)ㆍ심준(沈濬) 형제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문사>유학
-
문고(文考)@경문왕 - 경문왕(景文王)
신라 제48대 왕. 재위 861~875. 재위 중에 천재지변(天災地變)이 많아 백성들이 곤궁함을 겪음.
?~875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문고(文考)@문종 - 문종(文宗)@고려
고려 제11대 왕. 재위 1046~1083. 각종 법률 제정으로 내치(內治)를 다지고 국방ㆍ외교에도 힘썼으며, 유학을 장려하고 송(宋) 나라 문화를 수입하여 문화의 황금기를 이룸.
1019~1083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문고(文考) - 문왕(文王)@주
중국 주(周)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(武王)의 아버지로,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.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(聖君) 가운데 한 사람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문고(文考)@문종(조선) - 문종(文宗)@조선
조선 제5대 왕. 재위 1450~1452.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(世宗)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,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.
1414~145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문고수(文顧壽) - 문공유(文公裕)
고려 숙종(肅宗)~의종(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으로, 우산기상시(右散騎常侍) 문익(文翼)의 아들. 합문지후(閤門祗侯)ㆍ집현전 태학사(集賢殿太學士) 등을 지내고, 인종(仁宗)의 묘정(廟庭)에 배향됨.
1088~1159 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곡(文谷)@김수항 - 김수항(金壽恒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상헌(金尙憲)의 손자로 가학(家學)을 계승하고 송시열(宋時烈)과 교유함. 노론의 영수로서 기사환국으로 인한 남인의 재집권 때 사사됨. 시문에 뛰어나고 그의 변려문(騈儷文)은 당대 제일로 꼽힘.
1629~168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곡(文谷) - 금휘(琴徽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봉화(奉化). 은진 현감(恩津縣監)을 지낸 금회(琴淮)의 아들로, 1466년(세조 12) 문과에 급제하여 동래 현령(東萊縣令) 등을 지냄.
143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곡(文谷)@이문규 - 이문규(李文奎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성(眞城)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효행(孝行)으로 천거되어 참봉(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곡성(文曲星) - 문성(文星)
문운(文運)을 주관하는 별로, 문신(文臣) 또는 문재(文才)가 있는 사람을 가리킴.
자연물>천체
-
문공(文公)@한유 - 한유(韓愈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문인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의 한 사람으로,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, 유종원(柳宗元) 등과 함께 고문 운동(古文運動)을 창도하였으며, 송대 이후의 도학(道學)의 선구자가 됨.
768~82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공(文公)@왕자호 - 왕자호(王子虎)
중국 주(周) 나라 장왕(莊王)의 아들이며, 양왕(襄王)의 숙부. 제(齊) 나라 환공(桓公)이 태자 정(鄭)을 양왕으로 세우는데 밀사로 파견되었고, 후에 그 가족이 왕숙씨(王叔氏)로 봉해짐.
?~B.C.624 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문공(文公)@이고 - 이고(李翺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학자. 한유(韓愈)의 제자로, 중서사인(中書舍人) 등을 지냄. 스승과 달리 불교사상을 채택하여 심성(心性)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보이고, 저서에 《복성서(復性書)》와 《이문공집(李文公集)》이 있음.
772~84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공(文公)@윤어 - 윤어(尹圉)
중국 주(周) 나라의 경대부. 선왕(宣王) 때 윤길보(尹吉甫)가 대부가 된 뒤로부터 세습해 경대부가 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문공(文公) - 문언박(文彦博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50년간 장상(將相)으로 있으면서 명성을 떨치고 서법(書法)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임.
1006~109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공(文公)@주희 - 주희(朱熹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송대(宋代)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(空前)의 사변철학(思辨哲學)과 실천윤리(實踐倫理)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(性理學)을 집대성함. 《사서집주(四書集注)》등 많은 저서가 있음.
1130~12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문공(文公)@왕안석 - 왕안석(王安石)
중국 송(宋) 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시인. 신종(神宗)에게 발탁되어 신법(新法)이라는 혁신 정책을 단행함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 중 한 사람으로 꼽힘.
1021~108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공(文恭)@호광 - 호광(胡廣)
중국 후한(後漢) 안제(安帝)~영제(靈帝) 때의 문신. 태부(太傅) 등을 지내고, 여섯 명의 황제를 보좌한 나라의 원로(元老)로서 모든 정무(政務)를 잘 처리하여 ‘중용(中庸)의 재상’으로 일컬어짐.
91~172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공(文恭) - 심언광(沈彦光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삼척(三陟). 주로 언관(言官)을 지내며 심정(沈貞) 등 권간들의 횡포를 탄핵하고, 일찍이 김안로(金安老)를 추천한 바 있으나 훗날 그에 대해 비판함.
1487~154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