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강삼(姜參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영암 군수(靈岩郡守)ㆍ승정원 우승지(承政院右承旨) 등을 지냈음.
1452~150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서(姜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수의부위(修義副尉)를 지낸 강세응(姜世應)의 아들. 효행으로 정려각(旌閭閣)이 세워짐.
1510~154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강서(姜緖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晋州). 지감(知鑑)이 있어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와 임진왜란이 일어날 것을 예고함.
1538~158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서시파(江西詩派)
중국 북송 말기에서 남송 초기에 유행한 시(詩)의 유파. 황정견(黃庭堅)을 시종(詩宗)으로 하며, 여본중(呂本中)이 처음으로 이름한 데서 유래함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기타사상
-
강석기(姜碩期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금천(衿川)으로, 소현세자빈(昭顯世子嬪)인 강빈(姜嬪)의 아버지. 강빈 사건으로 관작을 추탈당했다가 숙종(肅宗) 때 복관(復官)됨. 김장생(金長生)의 문인.
1580~164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금천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석덕(姜碩德)
조선 태종(太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영의정(領議政) 심온(沈溫)의 사위이며, 사숙재(私淑齋) 강희맹(姜希孟)의 아버지. 청렴과 효우(孝友)로 명망이 높았음. 인수부 소윤(仁壽府少尹)ㆍ지돈녕부사(知敦寧府事) 등을 지냄.
1395~145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강선루(降仙樓)
고려 충혜왕(忠惠王) 때 평안도 성천(成川)에 건립한 누각. 성천 객사의 부속건물로서 관서팔경(關西八景) 중의 하나. 한국전쟁 때 소실됨.
1343 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성천 , 유적>건물>누정
-
강섬(姜暹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강공망(姜公望)의 아들. 1546년(명종 1)에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(全羅道觀察使)ㆍ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내고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ㆍ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1516~159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성서원(江城書院)
조선 인조(仁祖) 때 전라도 장흥(長興)에 건립된 서원. 옛 이름은 월천사(月川祠)였는데, 1785년(정조 9)에 사액되었으며, 문익점(文益漸)ㆍ문위세(文緯世) 등을 배향함.
164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장흥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강세륜(姜世綸)
조선 정조(正祖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1783년(정조 7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종성 부사(鍾城府使)ㆍ사간원 대사간(司諫院大司諫)ㆍ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
1761~184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세응(姜世應)
조선 종종(中宗) 때 무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서(姜瑞)와 강우(姜瑀)의 아버지로, 수의부위(修義副尉)를 지냄.
1475~154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무신
-
강세창(姜世昌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희맹(姜希孟)이 지은 자설(字說)이 《사숙재집(私淑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강수(强首)
통일신라 태종무열왕(太宗武烈王)~문무왕(文武王) 때의 학자ㆍ문인. 유교 관료적 소양을 지닌 당대 최고의 문장가로서 외교문서인 〈청방인문표(請放仁問表)〉ㆍ〈답설인귀서(答薛仁貴書)〉가 전함. 외교문서로써 삼국통일에 공을 세웠다 하여 사찬(沙飡)의 관등을 받음.
?~692 한국>통일신라 , 충청도>충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강수경(姜壽卿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. 임득번(林得蕃)의 장인으로, 영숭전 참봉(永崇殿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수학(康邃學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승의랑(承議郞) 강권(康錈)의 아들로, 안동 부사(安東府使)ㆍ형조 참의(刑曹參議) 등을 지냄.
1614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숙경(姜叔卿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강맹경(姜孟卿)의 동생.
1428~14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순(姜焞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금천(衿川). 소현세자빈(昭顯世子嬪)의 아버지 강석기(姜碩期)의 양부로, 조지서 별제(造紙署別提)를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순(康純)
조선 문종(文宗)~예종(睿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의주 목사(義州牧使)ㆍ우의정(右議政) 등을 지내고, 이시애(李施愛)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남이(南怡)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. 순조(純祖) 때 복관(復官)됨.
1390~1468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강순(康純)
조선 문종(文宗)~예종(睿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의주 목사(義州牧使)ㆍ우의정(右議政) 등을 지내고, 이시애(李施愛)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남이(南怡)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. 순조(純祖) 때 복관(復官)됨.
1390~1468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강순(康純)
조선 문종(文宗)~예종(睿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의주 목사(義州牧使)ㆍ우의정(右議政) 등을 지내고, 이시애(李施愛)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남이(南怡)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. 순조(純祖) 때 복관(復官)됨.
1390~1468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