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공가례(文公家禮) - 가례(家禮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주희(朱熹)가 유가(儒家)의 예법 의장(禮法儀章)에 관하여 상술한 책. 8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문공대전(文公大全) - 주자대전(朱子大全)
중국 송(宋)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(朱熹)의 문집. 목판본. 본편 100권, 별집 11권, 속집 10권.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(質疑)에 대해 회답한 편지, 시(詩)ㆍ기(記)ㆍ명(銘)ㆍ비문(碑文)ㆍ묘지(墓誌) 등을 엮음.
1165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문공미(文公美) - 문공인(文公仁)
고려 예종(睿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으로, 우산기상시(右散騎常侍) 문익(文翼)의 아들. 정지상(鄭知常)과 함께 묘청(妙淸)을 성인이라 추앙하고 서경(西京) 천도 주장에 동조하여 탄핵을 받고 좌천됨.
1065~1137 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광(文匡)@홍귀달 - 홍귀달(洪貴達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계(缶溪).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,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(尹妃)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,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(慶源)으로 유배 도중 교살(絞殺)됨.
1438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흥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광(文匡) - 김흔(金訢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 사림(士林)의 촉망을 받았으며, 율시(律詩)에 능함.
1448~?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광(文匡)@노사신 - 노사신(盧思愼)
조선 단종(端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유자광(柳子光)이 사림파를 제거하는데 반대하다 사옥(史獄)이 진행되는 도중 병으로 죽음.
1427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교하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광(文匡)@박전지 - 박전지(朴全之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충선왕(忠宣王)이 세자일 때 시강(侍講)을 맡았으며, 수첨의찬성사(守僉議贊成事) 등을 역임함.
1250~1325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괴(文魁) - 이강(李鋼)@이수계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아들인 회산군(檜山君) 이염(李恬)의 손자이며 계산군(桂山君) 이수계(李壽誡)의 둘째 아들. 또한 경력(經歷)을 지낸 한여필(韓汝弼)의 사위이며, 한백겸(韓百謙)의 고모부. 휴암(休菴) 백인걸(白仁傑)의 문하에서 수학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문군변(文君變) - 문경호(文景虎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으로, 정인홍(鄭仁弘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곽재우(郭再祐)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하였으나, 김천 찰방(金泉察訪)으로 있을 때 스승을 배반했다 하여 삭탈관직을 당함.
1556~162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규(文奎) - 나문규(羅文奎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금성(錦城). 판밀직부사(判密直副使) 나영걸(羅英傑)의 아들로, 서해도 안렴사(西海道按廉使)를 역임함.
1312~1379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규(文奎)@이문규 - 이문규(李文奎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성(眞城)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효행(孝行)으로 천거되어 참봉(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극(文克) - 정오(鄭䫨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원(元) 나라에서 왕을 수종한 공으로 1등 공신이 되었으며, 첨의평리(僉議評理)에 올라 서원군(西原君)에 봉해졌으며, 보리공신(輔理功臣)에 책록됨.
?~1359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극(文克)@조연수 - 조연수(趙延壽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. 조인규(趙仁規)의 아들. 첨의찬성사(僉議贊成事) 등을 지냈으며 충숙왕의 미움을 사 섬으로 유배됨.
1278~1325 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기(文璣) - 사백선(史伯璿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사서(四書)에 뛰어났고 주희(朱熹)의 뜻을 이어받아 《사서관규(四書管窺)》 및 《외편행세(外篇行世)》를 저술함.
1299~1354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문기(文起)@김문기 - 김문기(金文起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1456년(세조 2) 단종 복위(端宗復位) 모의에 가담하였다가 죽임을 당함.
1399~145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옥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문기(文起) - 태조(太祖)@남북조(북연)
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(五胡十六國)의 하나인 북연(北燕)의 제1대 왕. 재위 409~430. 소성제(昭成帝)의 형으로, 후연(後燕)의 왕인 모용희(慕容熙)를 죽이고 모용운(慕容雲)을 왕위에 앉혔다가 모용운이 죽자 등극함.
?~430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문길(文吉) - 김첨경(金添慶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윤개(尹漑)를 비판하다 죽을죄에 몰린 김규(金虯) 등을 구원하고, 천추사(千秋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으며, 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냄. 역학(易學)과 경학(經學)에 밝음.
1525~158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단(文端)@왕직 - 왕직(王直)
중국 명(明) 나라 성종(成宗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20여 년간 한림(翰林)에 있으면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왕영(王英)과 이름을 나란히 함. 이부 상서(吏部尙書) 등을 지내고, 저서에 《억암집(抑菴集)》이 있음.
1379~1462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단(文端)@왕가병 - 왕가병(王家屛)
중국 명(明) 나라 목종(穆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성격이 곧고 충성스러워 직간(直諫)을 잘하였으며, 신종 때 재상을 지냄.
1536~1604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단(文端)@구봉령 - 구봉령(具鳳齡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에 뛰어나고, 《혼천의기(渾天儀記)》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.
1526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