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민(文敏)@김계휘 - 김계휘(金繼輝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동지의금부사(同知義禁府事)ㆍ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역임하였고, 동서 분당 때 당쟁 완화를 위하여 노력하였음.
1526~158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문민(文敏)@양영 - 양영(楊榮)
중국 명(明) 나라 혜제(惠帝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성조(成祖)의 북정(北征)에 여러 차례 참여하고, 네 황제를 섬기면서 정사를 잘 보좌하여 양우(楊寓)ㆍ양부(楊溥)와 함께 ‘삼양(三楊)’이라 일컬어짐.
1371~1440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방(文房) - 유장경(劉長卿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시인. 오언시(五言詩)에 능하여 오언장성(五言長城)이라 불리고, 전원과 산수 묘사는 도연명(陶淵明)ㆍ왕유(王維)ㆍ맹호연(孟浩然) 등과 통함. 육주 사마(陸州司馬)ㆍ수주 자사(隨州剌史) 등을 지냄.
725~79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문방사보보(文房四寶譜) - 문방사보(文房四譜)
중국 송(宋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소이간(蘇易簡)의 저서. 종이ㆍ먹ㆍ붓ㆍ벼루 등 4가지 문방구의 종류와 역사에 대해 서술함. 5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문벌(文伐) - 육도(六韜)
중국 주(周) 나라의 신하인 여상(呂尙)이 지었다는 병서(兵書). 무경칠서(武經七書)의 하나로, 문도(文韜)ㆍ무도(武韜)ㆍ용도(龍韜)ㆍ호도(虎韜)ㆍ견도(犬韜)ㆍ표도(豹韜)로 구성됨.
중국>주 , 중국 , 문헌>서명
-
문범선생(文范先生) - 진식(陳寔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신. 태구 현령(太丘縣令)을 지냄. 아들 진기(陳紀)ㆍ진심(陳諶)과 함께 세 군자란 명성이 있으며, 양상군자(梁上君子)란 고사로도 유명함.
104~187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병(文炳) - 허반(許磐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문신 강형(姜詗)의 사위로, 참봉(參奉)을 지냈으나 무오사화(戊午士禍)로 인해 참형됨.
?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문보(文俌) - 주문보(周文俌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상주(尙州). 주세붕(周世鵬)의 아버지로, 세거하던 합천(陜川)에서 칠원(漆原)으로 옮겨 가 살았으며, 향인(鄕人)의 존경을 받았다 함.
1467~153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칠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문보(文寶) - 안전(安瑑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인. 본관은 순흥(順興). 안처순(安處順)의 아들이며 매담(梅潭) 안창국(安昌國)의 아버지로, 노진(盧禛)ㆍ기대승(奇大升) 등과 교유함.
1518~157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곡성 , 인명>문사>문인
-
문보(文寶)@백문보 - 백문보(白文寶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직산(稷山). 문장이 뛰어나 예종(睿宗)과 인종(仁宗) 양조(兩朝)의 국사를 초(草)하였으며, 불교(佛敎)를 배척하였음.
1303~1374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직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문보(文甫)@허목 - 허목(許穆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양천(陽川). 정구(鄭逑)의 문인으로, 예송(禮訟) 논쟁에서 남인(南人)을 주도하며 송시열(宋時烈)의 서인(西人)과 대립함. 사상적으로 이황(李滉)ㆍ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(李瀷)에게 연결함.
1595~168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연천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보(文甫) - 조지주(趙之周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양(漢陽)으로, 판중추부사 조혜(趙惠)의 아들. 문음(門蔭)으로 인수부 승(仁壽府丞)에 서용되어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48~149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보(文輔) - 장문보(張文輔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풍기 군수(豊基郡守)ㆍ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 등을 지냄. 진주 목사(晉州牧使)가 되었을 때 혜정(惠政)을 베풀어 칭송이 높았음.
1516~156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문보(聞甫) - 강학손(姜鶴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희맹(姜希孟)의 아들이며, 강귀손(姜龜孫)의 아우로, 조지서 사지(造紙署司紙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복(聞福) - 안장(安長)
신라 경문왕(景文王) 때의 거문고 명인. 지리산에 은거한 거문고의 거장 귀금선생(貴金先生)에게 청장(淸長)과 함께 가서 거문고를 배운 다음 아들 안극상(安克相)ㆍ안극종(安克宗)에게 전수함.
한국>통일신라 , 인명>예술인>음악인
-
문봉(文峯) - 정유일(鄭惟一)@1533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한 뒤 대사간(大事諫)ㆍ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 시부(詩賦)에 뛰어났으며, 성리학에 있어서는 퇴계설(退溪說)을 발전시킴.
1533~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문봉선생문집(文峯先生文集) - 문봉집(文峯集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인 정유일(鄭惟一)의 시문집(詩文集). 6권 3책. 목판본. 저자의 시문은 임진왜란 이후 대부분 산일되었으나, 1799년(정조 23)에 후손 정종박(鄭宗璞) 등이 유문(遺文)을 수습하여 간행함.
1799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문비(文埤) - 이문비(李文埤)
조선 전기의 유학. 사가(四佳) 서거정(徐居正)과 교유하여 전라도 남원(南原) 축천정(丑川亭)에서 서거정이 베푼 시회에 참여한 일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문빈(文彬)@문걸 - 문걸(文傑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감천(甘泉). 문숭질(文崇質)의 아들로, 양양 부사(襄陽府使)를 지냈음.
?~150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용궁 , 인명>관인>문신
-
문빈(文彬)@박문빈 - 박문빈(朴文彬)
고려 후기의 문인. 목은(牧隱) 이색(李穡)과 교유하였으며, 고려가 망하자 절개를 지키며 밀양(密陽)에 은거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문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