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성군(文城君)@유순 - 유순(柳洵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정국공신(靖國功臣) 문성부원군(文城府院君)에 봉해짐. 시부(詩賦)에 뛰어나 《연주시격(聯珠詩格)》을 한글로 번역하고, 의학ㆍ지리학에도 조예가 깊음.
1441~151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성군(文城君) - 유수(柳洙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가담하여 정난공신(靖難功臣) 문성군(文城君)에 봉해지고, 성종(成宗)의 즉위를 보좌한 공으로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됨.
1415~148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문성군(文城君)@유량 - 유량(柳亮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조선 개국에 협력한 공으로 개국원종공신(開國原從功臣)에, 방간(芳幹)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됨. 조선 초기 제도 확립에 크게 기여함.
1355~141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성무열성인장효(文成武烈聖仁莊孝) - 정조(正祖)
조선 제22대 왕. 재위 1776~1800. 숙종(肅宗)ㆍ영조(英祖)의 탕평론을 이어받아 재위 초부터 민산(民産)ㆍ인재(人才)ㆍ융정(戎政)ㆍ재용(財用) 등의 부문별로 왕정체제를 강화하여 위민정치를 실현하고자 매진함.
1751~180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성부원군(文城府院君)@유량 - 유량(柳亮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조선 개국에 협력한 공으로 개국원종공신(開國原從功臣)에, 방간(芳幹)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됨. 조선 초기 제도 확립에 크게 기여함.
1355~141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성부원군(文城府院君) - 유순(柳洵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정국공신(靖國功臣) 문성부원군(文城府院君)에 봉해짐. 시부(詩賦)에 뛰어나 《연주시격(聯珠詩格)》을 한글로 번역하고, 의학ㆍ지리학에도 조예가 깊음.
1441~151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성부정(文城副正)@이건 - 이건(李健)
조선 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(景明君) 이침(李忱)의 손자이자 안남군(安南君) 이수련(李壽鍊)의 아들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억울하게 죽은 봉성군(鳳城君) 이완(李岏)의 후사로 들어감.
1560~162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문성부정(文城副正) - 이상(李湘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(廣平大君) 이여(李璵)의 증손이며, 남천군(南川君) 이쟁(李崝)의 아들로, 효성이 지극하였음.
1486~152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문성유씨(文城柳氏) - 문화유씨(文化柳氏)
고려 태조(太祖) 때 익찬벽상공신(翊贊壁上功臣)에 서훈된 유차달(柳車達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집단>성씨
-
문성장군(文成將軍) - 소옹(少翁)
중국 한(漢) 무제(武帝) 때의 방사(方士). 방술(方術)로 무제의 총애를 받았으나, 효력이 점점 없어지자 몰래 백서(帛書)를 소에게 먹이고는 소를 잡아 백서를 꺼내게 해 신통력을 과시하려다가 들통나 결국 죽임을 당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문성정(文城正) - 이상(李湘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(廣平大君) 이여(李璵)의 증손이며, 남천군(南川君) 이쟁(李崝)의 아들로, 효성이 지극하였음.
1486~152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문성황제(文成皇帝) - 문성제(文成帝)
중국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의 제4대 황제. 재위 452~465. 탁발황(拓跋晃)의 아들이며, 헌문제(獻文帝)의 아버지로, 숙부인 안남왕(安南王)을 이어 즉위한 후 민력(民力)을 기르고 안정시키는 데 힘써 북위 융성의 기초를 닦음.
440~465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성후(文成侯) - 장량(張良)
중국 한(漢) 나라 고조(高祖) 때의 공신. 유방(劉邦)에게 적재의 간언을 올려 항우(項羽)를 제압하고 한(漢) 왕조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, 말년에 유방의 시의심(猜疑心)을 알아채고 적송자(赤松子)처럼 은거함.
?~B.C.168 중국>전한ㅣ중국>진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소(文昭) - 증조(曾肇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. 증포(曾布)의 동생. 한림학사(翰林學士) 등을 지냈고, 《신종실록(神宗實錄)》 편수에 참여함.
1047~110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소(文素) - 범질(范質)
중국 후당(後唐)~북송(北宋) 때의 대신. 후당 때 지제고(知制誥)를 지내고, 후주(後周) 때 참지추밀원사(參知樞密院事)를 지냈으며, 북송 때 재상을 지내고 노국공(魯國公)에 봉해짐.
911~96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소(聞韶) - 의성(義城)
경상북도 중앙에 동서로 길게 위치한 고을 이름. 지금의 고을은 옛 의성(義城)과 옛 비안(比安)이 합해 이루어진 것으로, 옛 의성은 현재 의성군의 동부에 해당함.
경상도>의성 , 지명>행정지명
-
문소김씨(聞韶金氏) - 의성김씨(義城金氏)
신라 경순왕(敬順王)의 아들이자 고려 태조(太祖)의 외손으로 의성군(義城君)에 봉해진 김석(金錫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집단>성씨
-
문손(文孫) - 박문손(朴文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이조 좌랑(吏曹佐郞) 박성무(朴成武)의 아버지로, 통찬(通贊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손(文孫)@최문손 - 최문손(崔文孫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낸 최한경(崔漢卿)의 아버지로, 이조 정랑(吏曹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송서(文宋瑞) - 문천상(文天祥)
중국 남송(南宋) 때의 문신ㆍ시인.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. 송 나라 멸망 후 옥중(獄中)에서 지은 〈정기가(正氣歌)〉로 유명함.
1236~1282 중국>원ㅣ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