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수(文修) - 섭미도(葉味道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, 저작 좌랑(著作佐郞) 등을 지내고, 주희의 어류(語類)를 모아 편찬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수보살(文殊菩薩) - 문수(文殊)
대승불교(大乘佛敎)의 보살(菩薩) 중의 하나. 제불(諸佛)의 지혜를 맡은 보살로, 석가모니불(釋迦牟尼佛)의 왼쪽에 위치하며, 오른쪽의 보현(普賢)과 함께 석가를 양쪽에서 보필하는 협시보살(脇侍菩薩)로 일컬어짐.
고대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문수사리(文殊師利) - 문수(文殊)
대승불교(大乘佛敎)의 보살(菩薩) 중의 하나. 제불(諸佛)의 지혜를 맡은 보살로, 석가모니불(釋迦牟尼佛)의 왼쪽에 위치하며, 오른쪽의 보현(普賢)과 함께 석가를 양쪽에서 보필하는 협시보살(脇侍菩薩)로 일컬어짐.
고대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문숙(文叔)@심예겸 - 심예겸(沈禮謙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. 청릉부원군(靑陵府院君) 심강(沈鋼)의 아들이며, 이이(李珥)의 문인으로, 성천 부사(成川府使)를 지냄.
1537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숙(文叔)@강전 - 강전(姜絟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개암(介庵) 강익(姜翼)의 손자. 강익의 유고(遺稿)를 수습하여 정광연(鄭光淵)에게 발문을 부탁하는 등 문집 정리에 노력함.
?~166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문숙(文叔)@성계례 - 성계례(成繼禮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1522년(중종 17) 진사시에 입격함. 찰방(察訪) 등을 지냈으며,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숙(文叔)@이격비 - 이격비(李格非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예부 원외랑(禮部員外郞) 등을 역임하였고, 경학(經學)에 정통하고 사장(詞章)에 뛰어났으며, 저서에 《예기설(禮記說)》 등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숙(文叔)@박연 - 박연(朴演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인. 남효온(南孝溫)ㆍ강응정(姜應貞) 등과 함께 소학계(小學契)를 만들어 《소학(小學)》을 강론하였으며, 향약(鄕約)을 만듦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문숙(文叔)@반우문 - 반우문(潘友文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영종(寧宗) 때 곤산현(昆山縣)을 다스리면서 인자하고 백성들을 사랑하였으므로 ‘반불자(潘佛子)’라 일컬어졌으며, 주희(朱熹)ㆍ여조겸(呂祖謙) 등과 교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숙(文叔) - 김영수(金寧秀)
조선 전기의 유학. 길재(吉再)의 외예(外裔)로, 함창(咸昌)의 양한정(養閑亭) 옆에서 자연을 즐기며 살았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문사>유학
-
문숙(文叔)@심문숙 - 심문숙(沈文叔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의 문신. 폐제(廢帝)에 의해 사사된 무신 심경지(沈慶之)의 아들. 시중(侍中) 등을 지냈으나 폐제(廢帝)의 포악함을 보고 자살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숙(文叔)@황상 - 황상(黃裳)@송
중국 송(宋) 나라 광종(光宗) 때의 문신. 좌승상(左丞相) 유정(留正)에 의해 발탁되어 익선(翊善)을 지내며 황자(皇子)였던 영종(寧宗)을 보필함. 저서에 《왕부춘추강의(王府春秋講義)》ㆍ《겸산집(兼山集)》 등이 있음.
1146~119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숙(文叔)@박린 - 박린(朴璘)@조선전기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박광우(朴光佑)의 아버지로, 1496년(연산군 2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 강예습독(講隷習讀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숙(文叔)@광무제 - 광무제(光武帝)
중국 후한(後漢)의 초대 황제. 재위 25~57. 신(新) 나라 왕망(王莽)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.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(田租)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,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(禮敎主義)의 기초를 다짐.
B.C.6~A.D.57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숙(文淑)@최유청 - 최유청(崔惟淸)
고려 예종(睿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주(東州)로, 최석(崔奭)의 아들. 사신으로 송(宋) 나라와 금(金) 나라에 다녀오고, 집현전 대학사(集賢殿大學士) 등을 지냄. 경사(經史)와 불경(佛經)에 밝았으며 글씨에도 뛰어남.
1095~1174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철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숙(文淑) - 안목(安牧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검교찬성사(檢校贊成事)를 지낸 안우기(安于器)의 아들.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진현관 대제학(進賢館大提學) 등을 지내고, 충숙왕 때 이군해(李君侅) 등과 함께 인사권을 관장함.
1290~1360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ㅣ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숙(文淑)@서문숙 - 서문숙(徐文淑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지례 현감(知禮縣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조광조(趙光祖)의 유문(遺文)을 수집하여 《정암집(靜庵集)》을 편찬하는 데 기여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숙(文肅)@안정복 - 안정복(安鼎福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익(李瀷)의 문인으로, 실학(實學)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(歷史地理學)을 세밀히 고증한 《동사강목(東史綱目)》을 저술함.
1712~1791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제천ㅣ경기도>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숙(文肅)@오억령 - 오억령(吳億齡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복(同福).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(義州)에 호종하고 우참찬(右參贊) 등을 지냈으나, 광해군 때 폐모론(廢母論)에 반대하다가 탄핵을 받아 낙향함.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.
1552~161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동복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숙(文肅)@김주정 - 김주정(金周鼎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ㆍ무신. 금오위대장군(金吾衛大將軍) 김경량(金鏡亮)의 아들로,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(昭勇大將軍左右副都統) 등을 역임하였고, 호두금패(虎頭金牌)를 하사받음.
?~1290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