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원(文元)@요로 - 요로(饒魯)
중국 남송(南宋)의 학자. 황간(黃榦)의 문인으로, 성학(聖學)에 뜻을 두고 치지역행(致知力行)을 근본으로 삼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문원(文元)@이언적 - 이언적(李彦迪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주(驪州). 중종 때 김안로(金安老)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,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.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(李滉)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.
1491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원(文元) - 김장생(金長生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으로, 인조반정(仁祖反正) 이후 서인(西人)의 영수 역할을 하였고, 예학(禮學)을 깊이 연구함.
1548~163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원(文元)@박지빈 - 박지빈(朴之彬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군부 총랑(軍薄摠郞)을 지낸 박장(朴莊)의 아버지로, 위위시 윤(衛尉寺尹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문원(文園) - 사마상여(司馬相如)
중국 한(漢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중랑장(中郞將)ㆍ효문원령(孝文園令) 등을 지내고, 〈자허부(子虛賦)〉ㆍ〈상림부(上林賦)〉 등 유명한 작품을 남김.
B.C.179~B.C.117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원(文垣) - 예문관(藝文館)
고려~조선시대 왕의 칙령(勅令)과 교명(敎命)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.
한국>고려전기 , 법제>관청
-
문원(文源) - 최환(崔渙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해(興海). 고성 현령(固城縣令)으로 있을 때 선정을 베풀어 표창을 받았으나, 나주 목사(羅州牧使) 시절 전라도 방어사로 부임하는 남치근(南致勤)을 병으로 맞이하지 못하였다가 이로 인해 장살(杖殺)당함.
?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흥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원(文苑)@홍문관 - 홍문관(弘文館)
조선 세조(世祖) 때 설치한 궁중의 경서(經書)ㆍ사적(史籍)의 관리, 문한(文翰)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. 사헌부(司憲府)ㆍ사간원(司諫院)과 함께 삼사(三司)라고 불림.
146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법제>관청
-
문원(文苑)@예문관 - 예문관(藝文館)
고려~조선시대 왕의 칙령(勅令)과 교명(敎命)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.
한국>고려전기 , 법제>관청
-
문원(聞遠)@금난수 - 금난수(琴蘭秀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봉화(奉化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장예원 사평(掌隸院司評)ㆍ봉화 현감(奉化縣監) 등을 지내고, 귀향한 뒤에는 퇴계 학문을 강구함.
1530~160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원(聞遠) - 박주종(朴周鍾)
조선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함양(咸陽). 학문이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, 많은 저술을 남김.
1813~188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학자
-
문원공(文元公) - 박지빈(朴之彬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군부 총랑(軍薄摠郞)을 지낸 박장(朴莊)의 아버지로, 위위시 윤(衛尉寺尹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문원군(文元君) - 유복룡(柳伏龍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를 역임한 유희림(柳希霖)의 아버지로, 1504년(연산군 1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장수 현감(長水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원군(文原君)@유희담 - 유희담(柳希聃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송만(松巒) 윤현(尹晛)의 사위로, 1590년(선조 2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문원군(文原君) - 유응룡(柳應龍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영의정을 지낸 유순(柳洵)의 장남. 이조 참판(吏曹參判)ㆍ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 등을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원유씨(文原柳氏) - 문화유씨(文化柳氏)
고려 태조(太祖) 때 익찬벽상공신(翊贊壁上功臣)에 서훈된 유차달(柳車達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집단>성씨
-
문위(文位) - 탁문위(卓文位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평장사(平章事)를 지낸 탁영(卓英)의 맏아들로, 충렬왕 때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집현전 대제학(集賢殿大提學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윤(文胤) - 이문윤(李文胤)
조선 후기의 문신. 승지(承旨)를 지냈으며 고종(高宗) 때 금양군(錦陽君)에 추증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응(文應) - 헌종(憲宗)@조선
조선 제24대 왕. 재위 1834~1849. 추존왕인 익종(翼宗)의 아들로, 여덟 살에 즉위하여 순조(純祖)의 비인 순원왕후(純元王后) 김씨(金氏)가 수렴청정함. 재위 기간 중 세도정치(勢道政治)의 만연으로 삼정(三政)의 문란과 국정의 혼란이 가중됨.
1827~184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의(文懿)@우세남 - 우세남(虞世南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문인ㆍ서예가. 고야왕(顧野王)에게 수학하고, 왕희지(王羲之)의 서법을 익혀 구양순(歐陽詢) 등과 함께 당 나라 초기의 사대(四大) 서예가로 불렸으며, 특히 해서(楷書)에 뛰어남. 태종의 신임을 받아 자주 담론을 나눔.
558~638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