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절(文節)@조번 - 조번(趙蕃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유청지(劉淸之)의 문인(門人)으로 직비각(直秘閣)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출사(出仕)하지 않고, 고향에서 후진을 양성해 많은 사람들의 칭송을 받음.
1143~122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절(文節)@유희춘 - 유희춘(柳希春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선산(善山). 유계린(柳桂隣)의 아들이며 김안국(金安國)ㆍ최산두(崔山斗)의 문인(門人).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, 경사(經史)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《미암일기(眉巖日記)》등 많은 저술을 남김.
1513~157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절(文節)@신상 - 신상(申鏛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《연산군일기》 편찬에 참여함. 사림파 학자들의 등용에 힘썼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가 일어나자 그들의 구명에 노력하였음.
1480~1530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절(文節) - 권중화(權仲和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예천부원군(醴泉府院君) 권한공(權漢功)의 아들로, 의약ㆍ지리ㆍ복서(卜筮)에 통달하고, 전서(篆書)에도 능함.
1322~140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절(文節)@김담 - 김담(金淡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천문학자. 본관은 예안(禮安). 이순지(李純之) 등과 함께 많은 천문역서를 교정하고 편찬함.
1416~146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절(文節)@백이정 - 백이정(白頤正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ㆍ학자. 충선왕(忠宣王)을 따라 연경(燕京)에 머물면서 중국 성리학을 연구하고 정주(程朱)의 서적을 가져오는 등 고려 성리학 발전에 크게 공헌함.
1247~1323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남포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절(文節)@백문절 - 백문절(白文節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포(藍浦). 이부 시랑(吏部侍郞) 등을 지내고, 문사(文詞)와 글씨에 뛰어남.
?~1282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남포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절(文節)@사방득 - 사방득(謝枋得)
중국 송(宋) 나라 말의 학자. 국운이 기운 송 나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, 원(元) 나라에 잡혀가 출사(出仕)를 거부하며 단식하다가 죽음. 저서로 《문장궤범(文章軌範)》이 있음.
1226~128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문절(文節)@박세당 - 박세당(朴世堂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반남(潘南)으로, 이조 참판 박정(朴炡)의 아들. 실학자로서 농촌생활에 토대를 둔 박물학(博物學)의 학풍을 이룩하였으며, 《사변록(思辨錄)》을 저술하여 주자학(朱子學)을 비판함.
1629~170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ㅣ전라도>남원ㅣ경기도>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절(文節)@차원부 - 차원부(車原頫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화가. 본관은 연안(延安). 두문동(杜門洞) 72현 중 한 사람. 간의대부(諫議大夫)를 지내고, 정몽주(鄭夢周)ㆍ이색(李穡) 등과 성리학으로 명성을 떨쳤으며, 매화 그림을 특히 잘 그림.
1320~?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절(文節)@채원정 - 채원정(蔡元定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어려서 아버지 채발(蔡發)에게 배우고, 후에 주희(朱熹)에게 배움. 의리(義理)ㆍ상수(象數)를 겸하고, 천문(天文)ㆍ지리(地理)ㆍ악률(樂律)ㆍ역수(曆數) 등에도 폭넓은 학식을 지님.
1135~119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문절(文節)@황서 - 황서(黃瑞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해(平海)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낸 백문보(白文寶)의 장인. 첨의평리(僉議評理)ㆍ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평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절(文節)@길재 - 길재(吉再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ㆍ권근(權近) 등에게 수학하였고,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(三隱)으로 일컬어짐.
1353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절(文節)@한종유 - 한종유(韓宗愈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밀직부사(密直副使) 한영(韓英)의 아들. 이조년(李兆年)과 더불어 충숙왕(忠肅王)ㆍ충혜왕(忠惠王) 등에게 충절을 다하고, 조적(曺頔)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됨.
1287~1354 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절공유고(文節公遺稿) - 기우집(騎牛集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인 이행(李行)의 시문집(詩文集). 3권 1책. 병자호란 등으로 인해 산일(散佚)된 시문을 후손들이 수집한 끝에 1872년(고종 9)에 밀양(密陽)에서 간행함.
187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문헌>서명
-
문정(文定)@소철 - 소철(蘇轍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소순(蘇洵)의 아들이자 소식(蘇軾)의 동생으로,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의 한 사람. 왕안석(王安石)의 신법(新法)에 반대하여 좌천되었으나 복귀 후 문하시랑(門下侍郞) 등을 지냄.
1039~111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定)@우신행 - 우신행(于愼行)
중국 명(明) 나라 목종(穆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상중(喪中)에 출사한 장거정(張居正)의 행위를 논하다가 미움을 받아 낙향하고, 후에 복직하여 태자소보(太子少保) 등을 지냄. 풍기(馮琦)와 함께 문학(文學)으로 명성을 떨침.
1545~160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定)@허금 - 허금(許錦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으로, 지신사(知申事)를 지낸 허경(許絅)의 아들. 이인복(李仁復)의 문하에서 급제하여 예의 정랑(禮儀正郞)ㆍ전리 판서(典理判書) 등을 지내고, 우왕 옹립에 반대함.
1340~1388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定)@양부 - 양부(楊溥)
중국 명(明) 나라 혜제(惠帝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무영전 대학사(武英殿大學士) 등을 지내고, 양우(楊寓)ㆍ양영(楊榮)과 함께 정사를 잘 보살펴 ‘삼양(三楊)’으로 일컬어짐.
1372~1446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定)@육수성 - 육수성(陸樹聲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예부 상서(禮部尙書) 등을 지내고, 저서에 《장수일초(長水日鈔)》ㆍ《육문정공집(陸文定公集)》ㆍ《다요기(茶寮記)》등이 있음.
1509~1605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