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강유선(康惟善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명종 때 발생한 이홍남(李洪男) 형제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살당함.
1520~154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문사>학자
-
강윤권(姜允權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달성(姜達成)의 아들로, 1520년(중종 15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사재감 정(司宰監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윤덕(姜潤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과 교류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강윤성(康允成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곡산(谷山). 상산백(象山伯) 강서(康庶)의 아들로, 이부 시랑(吏部侍郞)ㆍ판삼사사(判三司事)를 지냄. 조선 태조의 계비(繼妃) 신덕왕후(神德王后)의 아버지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곡산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강윤희(康允禧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1519년(중종 14)에 사림파가 박원종(朴元宗) 등 정국공신(靖國功臣)을 배척하려 한다는 김우증(金友曾)의 말을 고변(告變)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은(姜㶏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. 기묘명현(己卯名賢)으로, 노후에는 김안국(金安國)과 학문을 강론하며 여생을 보냄.
1487~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강은(姜隱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이색(李穡)의 문인(門人)으로 권근(權近)과 교류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응(姜應)
조선 전기의 유학(幼學)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우승지(承政院右承旨)를 지낸 강삼(姜參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강응서(姜應瑞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강희(姜僖)의 아들로, 과의교위(果毅校尉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강응석(康應晳)
조선 전기의 인물. 노수신(盧守愼)의 외종숙(外從叔)의 외손. 다섯 살 때 글자를 쓸 줄 알아서 노수신을 감탄하게 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강응정(姜應貞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첨지중추부사 강의(姜毅)의 아들로, 효성이 지극하였음. 성균관 유생 시절 박연(朴演)ㆍ손효조(孫孝祖) 등과 함께 주자(朱子)의 고사에 따라 향약(鄕約)을 만들고, 《소학(小學)》을 강론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은진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문사>유학
-
강응청(姜應淸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강세경(姜世卿)의 아들. 효행(孝行)으로 인의(引儀)에 제수되고 용궁(龍宮)의 용곡리사(龍谷里社)에 배향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용궁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강응태(姜應台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밀양도호부사(密陽都護府使) 등을 지내고, 효행이 지극하였으며, 임천서원(臨川書院)에 배향됨.
1495~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응황(姜應璜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내암(來庵) 정인홍(鄭仁弘)ㆍ한강(寒岡) 정구(鄭逑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창의(倡義)한 일로 유성룡의 추천을 받아, 병조 좌랑(兵曹佐郞)ㆍ예산 현감(禮山縣監)ㆍ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
1571~164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강의(康顗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주천(舟川) 강유선(康惟善)의 아버지로, 창원도호부사(昌原都護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이행(姜利行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안복(姜安福)의 아들이며, 강징(姜澂)ㆍ강린(姜潾)의 아버지로, 충무위 부사맹(忠武衛副司猛)을 지냄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강익(姜益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1538년(중종 33)에 전강(殿講)에 합격해 회시(會試)에 직부(直赴)되었으며, 문정왕후(文定王后)의 국장도감(國葬都監)에서 도첨(都僉)을 지냄. 인재(忍齋) 홍섬(洪暹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익(姜翼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조식(曺植)의 문인. 1566년(명종 21) 영남 유생 33인의 소두(疏頭)로 정여창(鄭汝昌)을 제향한 함양의 남계서원(灆溪書院)에 사액을 청하여 성사시킴,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 참봉(昭格署參奉)을 지냄.
1523~156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학자
-
강인(姜絪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우의정 강사상(姜士尙)의 아들로,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한성부 우윤(漢城府右尹) 등을 지냄.
1555~163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강인범(姜仁範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진천군(晉川君) 강혼(姜渾)의 아버지이며 어득강(魚得江)의 장인으로, 별제(別提)를 지내고 좌찬성(左贊成)에 증직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