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정(文正)@서거정 - 서거정(徐居正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(天文)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, 문장과 글씨에 능함.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ㆍ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등의 편찬에 참여하고, 《동인시화(東人詩話)》ㆍ《동문선(東文選)》등을 저술함.
1420~14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正)@송시열 - 송시열(宋時烈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은진(恩津). 이이(李珥)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(畿湖學派)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(朱子學)의 대가로, 기해예송(己亥禮訟) 때 남인(南人)과 대립하고, 후에 노론(老論)의 영수(領袖)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(賜死)됨.
1607~1689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회덕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正)@왕안석 - 왕안석(王安石)
중국 송(宋) 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시인. 신종(神宗)에게 발탁되어 신법(新法)이라는 혁신 정책을 단행함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 중 한 사람으로 꼽힘.
1021~108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正)@박상충 - 박상충(朴尙衷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학자. 친명책(親明策)을 주장하여 북원(北元)과 통하는 것을 반대하고, 친원파인 이인임(李仁任)ㆍ지윤(池奫)의 주살을 주장하여 귀양가다 죽음. 경사에 해박하고 글을 잘 지음.
1332~1375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正)@최수성 - 최수성(崔壽峸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화가. 유학 최세효(崔世孝)의 아들이며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, 조광조(趙光祖)ㆍ김정(金淨) 등과 교유함. 벼슬을 단념하고 시(詩)ㆍ서(書)ㆍ화(畵)ㆍ음악으로 일생을 보냈으나 신사무옥(辛巳誣獄)에 연루되어 처형됨.
1487~1521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문정(文正)@탁광무 - 탁광무(卓光茂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집현전 대제학(集賢殿大提學)을 지낸 탁문위(卓文位)의 맏아들로, 충혜왕 때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하였으며, 예의 판서(禮儀判書) 등을 지냄.
1330~1410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正)@허침 - 허침(許琛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세자시강원(世子侍講院)에 재직할 때 덕행과 학문으로 세자이던 연산군의 총애를 받았고, 성종(成宗) 때 윤비(尹妃)의 폐위를 반대하여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화를 면했으며, 좌의정 등을 역임함.
1444~150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正)@홍언박 - 홍언박(洪彦博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과거를 주관하여 이색(李穡)ㆍ박실(朴實) 등을 뽑고, 기철(奇轍) 일파를 숙청하고 홍건적(紅巾賊)의 난 때 왕을 호종하는 등 세 차례 공신에 책록되었으나, 흥왕사(興王寺)의 난 때 피살됨.
1309~136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貞)@김익희 - 김익희(金益熙)
조선 인조(仁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김장생(金長生)의 손자이며 김반(金槃)의 아들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척화(斥和)를 주장하며 인조를 호종함.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1610~165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貞)@강윤성 - 강윤성(康允成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곡산(谷山). 상산백(象山伯) 강서(康庶)의 아들로, 이부 시랑(吏部侍郞)ㆍ판삼사사(判三司事)를 지냄. 조선 태조의 계비(繼妃) 신덕왕후(神德王后)의 아버지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곡산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문정(文貞)@김심 - 김심(金諶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호조 참의(戶曹參議) 김우신(金友臣)의 아들로, 도총부 부총관(都摠府副摠管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냄.
1445~1502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貞)@유전 - 유전(柳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상서원 직장(尙瑞院直長) 유예선(柳禮善)의 아들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를 다스린 후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되고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531~158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貞)@최자강 - 최자강(崔自江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화순(和順). 공조 판서(工曹判書)를 지낸 최선문(崔善門)의 아버지로, 중부 영(中部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화순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貞)@유인숙 - 유인숙(柳仁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공조 판서(工曹判書) 등을 지냄. 명종(明宗) 즉위 후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종사(宗嗣)를 모위하였다는 죄목으로 귀양가던 도중 사사(賜死)되었다가 선조(宣祖) 때 신원(伸寃)됨.
1485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貞)@심희수 - 심희수(沈喜壽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. 인순왕후(仁順王后)의 종제이자 노수신(盧守愼)의 문인. 좌의정(左議政)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폐모론(廢母論)이 일자 은거함. 저서로 《일송집(一松集)》이 있음.
1548~162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貞)@이경여 - 이경여(李敬輿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괄(李适)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(仁祖)를 호종하고, 1642년(인조 20) 배청친명파(背淸親明派)로 청 나라 연호를 쓰지 않았다는 밀고를 받고 심양(瀋陽)에 끌려가 억류되었다가 풀려났으며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585~165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貞)@홍성민 - 홍성민(洪聖民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홍춘경(洪春卿)의 아들이며, 서경덕(徐敬德)ㆍ이황(李滉)의 문인. 1590년(선조 23) 종계변무(宗系辨誣)의 공으로 광국공신(光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이듬해 건저문제(建儲問題)로 인해 파직당함.
1536~159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貞)@최숙생 - 최숙생(崔淑生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최철중(崔鐵重)의 아들로, 우찬성(右贊成)을 지냈으나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파직됨.
1457~152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貞)@탁신 - 탁신(卓愼)
고려 공양왕(恭讓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로, 예의 판서(禮儀判書) 탁광무(卓光茂)의 아들. 경학(經學)에 밝고 무예(武藝)ㆍ음률(音律)에도 능하였으며, 조선 개국 후 의정부 좌참찬(議政府左參贊) 등을 지냄.
1367~142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貞)@하시원 - 하시원(河恃源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하륜(河崙)의 조부로, 식목도감 녹사(式目都監錄事)를 역임하였으며, 사후에 보조공신(補祚功臣)에 추록되고, 진강부원군(晉康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