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정(文靖)@이항 - 이항(李沆)@송
중국 송(宋) 진종(眞宗) 때의 문신. 평장사(平章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선견지명이 뛰어나 천재(天災) 등 세세한 일까지 모두 아뢰어 진종의 마음을 경계하였으므로, 당시에 ‘성상(聖相)’으로 일컬어짐.
947~100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靖)@한계희 - 한계희(韓繼禧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혜(韓惠)의 아들로, 남이(南怡)의 옥사와 성종의 즉위 때 공을 세워 두 차례 공신(功臣)에 책록되고,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과 《의방유취(醫方類聚)》의 편찬에 참여함.
1423~148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靖)@김질 - 김질(金礩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성삼문(成三問)ㆍ박팽년(朴彭年) 등의 단종(端宗) 복위 계획을 고변하여 사육신(死六臣) 사건의 계기를 제공함.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의 편찬에 참여함.
1422~14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靖)@동괴 - 동괴(董槐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ㆍ문신. 보광(輔廣)에게 학문을 배웠으며, 관직은 승상(丞相)까지 이르렀음.
?~126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정(文靖)@위기 - 위기(魏驥)
중국 명(明) 나라 성조(成祖)~대종(代宗) 때의 문신. 《영락대전(永樂大典)》 편찬에 참여하고, 남경 이부상서(南京吏部尙書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저서에 《남재적고(南齋摘稿)》가 있음.
1374~147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정공서원(文正公書院) - 도봉서원(道峯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기도 양주(楊州)에 건립한 서원. 건립한 해인 1573년(선조 6)에 사액되고, 조광조(趙光祖)ㆍ송시열(宋時烈) 등을 배향함.
157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문정공집(文定公集) - 육문정공집(陸文定公集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인 육수성(陸樹聲)의 시문집. 26권 10책. 목판본. 서삼중(徐三重)이 서문(序文)을 쓰고, 저자의 아들인 육언장(陸彦章) 등이 발문(跋文)을 썼으며, 1616년에 간행됨.
1616 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문정대비(文定大妃) - 문정왕후(文定王后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계비(繼妃)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윤지임(尹之任)의 딸.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(明宗)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(垂簾聽政)을 함.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(禪敎) 양종(兩宗)을 부활시키고, 도첩제(度牒制)를 다시 실시함.
1501~156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문정왕대비(文定王大妃) - 문정왕후(文定王后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계비(繼妃)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윤지임(尹之任)의 딸.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(明宗)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(垂簾聽政)을 함.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(禪敎) 양종(兩宗)을 부활시키고, 도첩제(度牒制)를 다시 실시함.
1501~156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문정왕후비(文定王后妃) - 문정왕후(文定王后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계비(繼妃)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윤지임(尹之任)의 딸.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(明宗)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(垂簾聽政)을 함.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(禪敎) 양종(兩宗)을 부활시키고, 도첩제(度牒制)를 다시 실시함.
1501~156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문제(文齊) - 박충좌(朴忠佐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충정왕(忠定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우탁(禹倬)에게 주자학을 배웠으며, 판전민도감사(判田民都監事)ㆍ판삼사사(判三司事)를 역임함.
1287~1349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조(文祖) - 문종(文宗)@조선
조선 제5대 왕. 재위 1450~1452.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(世宗)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,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.
1414~145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종공순대왕실록(文宗恭順大王實錄) - 문종실록(文宗實錄)
조선 제5대 문종(文宗) 연간의 역사 기록. 총 13권이었으나 제11권이 산일(散逸)되어 현재 12권만 전하며, 정인지(鄭麟趾)ㆍ정창손(鄭昌孫) 등이 편찬을 담당하여 1455년(단종 3)에 완성함.
145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문좌(文佐) - 고태익(高台翼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예문관 제학(藝文館提學) 고득종(高得宗)의 아들이자, 고태필(高台弼)의 아우.
고봉지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강진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좌(文佐)@주문좌 - 주문좌(周文佐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상주(尙州). 주장손(周長孫)의 아들이며, 지지당(止止堂) 김맹성(金孟性)의 문인으로,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세상에 중망을 얻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문좌(文佐)@이문좌 - 이문좌(李文佐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일손(金馹孫)ㆍ권오복(權五福) 등과 함께 김종직(金宗直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안협 현감(安峽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주(文州) - 문천(文川)
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
함경도>문천 , 지명>행정지명
-
문주박씨(文州朴氏) - 경순왕후(敬順王后)
조선 태조(太祖)의 조부인 도조(度祖) 이춘(李椿)의 비(妃).
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문천 , 인명>왕실>왕비
-
문주왕(文州王) - 문주왕(文周王)
백제 제22대 왕. 재위 475~477. 개로왕(蓋鹵王)의 아들이며, 삼근왕(三斤王)의 아버지. 즉위 후 웅진(熊津)으로 천도하고 국방에 힘썼으나 실패하였으며, 병관좌평(兵官佐平) 해구(解仇)에게 실권을 빼앗기고 그의 하수인에게 살해됨.
?~477 한국>백제 , 충청도>공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문주왕(文洲王) - 문주왕(文周王)
백제 제22대 왕. 재위 475~477. 개로왕(蓋鹵王)의 아들이며, 삼근왕(三斤王)의 아버지. 즉위 후 웅진(熊津)으로 천도하고 국방에 힘썼으나 실패하였으며, 병관좌평(兵官佐平) 해구(解仇)에게 실권을 빼앗기고 그의 하수인에게 살해됨.
?~477 한국>백제 , 충청도>공주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