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강인수(姜仁壽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동향(同鄕) 사람인 문익성(文益成)ㆍ주이(周怡)와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유학
-
강자계(康自戒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1488년(성종 19) 진주(晉州) 촉석루(矗石樓)에서 조위(曺偉)ㆍ김일손(金馹孫) 등과 금란계(金蘭契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자순(姜子順)
조선 제5대 문종(文宗)의 부마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상호군(上護軍) 강휘(姜徽)의 아들. 문종의 딸 경숙옹주(敬淑翁主)와 혼인했으며, 성종(成宗) 때 황주 선위사(黃州宣慰使) 등을 지냄.
1443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강자정(姜子正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상호군(上護軍) 강휘(姜徽)의 아들이고, 반성위(班城尉) 강자순(姜子順)의 아우. 1469년(예종 1) 증광시(增廣試) 생원과(生員科)에 입격하였으며, 직장(直長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강자평(姜子平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대사간(大司諫)ㆍ공조 참의(工曹參議)를 지내고, 사후(死後)에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루되어 추죄(追罪)되었으나 중종(中宗) 때 신원됨.
1430~14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강재문집(康齋文集)
중국 명(明) 나라 학자인 오여필(吳與弼)의 문집. 12권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강전(姜絟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개암(介庵) 강익(姜翼)의 손자. 강익의 유고(遺稿)를 수습하여 정광연(鄭光淵)에게 발문을 부탁하는 등 문집 정리에 노력함.
?~166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강정우(姜貞祐)
고려시대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시중(侍中)을 역임하였음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제(姜霽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인의(引儀) 강응청(姜應淸)의 아들로, 영덕 현감(盈德縣監)ㆍ이조 정랑(吏曹正郞)을 지냄.
1526~158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용궁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제(康帝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제4대 황제. 재위 342~344. 명제(明帝)의 아들이자, 성제(成帝)의 아우로, 성제가 죽은 후 권신 유빙(庾冰)ㆍ유익(庾翼)의 도움으로 즉위함.
322~344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강조(康兆)
고려 목종(穆宗)~현종(顯宗) 때의 무신. 목종의 모후인 천추태후(千秋太后)와 외척 김치양(金致陽)이 그들 사이에 태어난 아들을 목종의 후계자로 세우려 하자, 정변을 일으켜 현종을 옹립하고 목종을 시해함.
?~1010 한국>고려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강종(康宗)
고려의 제22대 왕. 재위 1211~1213. 명종(明宗)의 맏아들. 1197년 부왕과 함께 최충헌(崔忠獻)에게 쫓겨 강화도로 갔다가, 희종(熙宗)을 폐한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오름.
1152~121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강종경(姜宗慶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. 사인(舍人) 강극성(姜克誠)의 아들로, 성균관 학유(成均館學兪)를 지냈으며, 성혼(成渾)과 교분이 두터웠고, 특히 역학(易學)에 밝고 글씨를 잘 썼음.
1543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강종수(姜終壽)
조선 전기의 문신. 주부(主簿)를 지내고 신광한(申光漢)ㆍ심언광(沈彦光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종윤(姜宗胤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이이(李珥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동생 강덕윤(姜德胤)과 함께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녹훈(錄勳)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강중진(康仲珍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으로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장류(杖流)됨.
1459~1520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중해(姜仲海)
중국 후한(後漢) 영제(靈帝) 때의 은사(隱士). 형 강굉(姜肱)과 함께 효행(孝行)과 우애(友愛)로 이름이 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기타인명>은자
-
강지(江贄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 때의 학자. 《자치통감(資治通鑑)》 294권을 선별하여 50권으로 엮어 《자치통감절요(資治通鑑節要)》를 만들었으나 당시에는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다가, 후손 강묵(江默)이 주희(朱熹)의 문하에 출입하면서 질정(質正) 하여 유명해짐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강지연(康之淵)
고려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신천강씨(信川康氏)의 시조로, 몽고의 난이 일어나 강화도로 천도할 때 왕을 호종하여 호성공신(扈聖公臣)이 되고 신성부원군(信城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진(康津)
전라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고려청자의 주요 생산지였으며, 다산(茶山) 정약용(丁若鏞)이 19년간 유배생활을 했던 곳으로 잘 알려짐.
전라도>강진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