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충(文忠)@이경석 - 이경석(李景奭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김장생(金長生)의 문인. 이괄(李适)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를 호종하고, 청(淸) 나라의 침략으로 인한 위기에서 국가를 구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, 삼전도비(三田渡碑)의 비문을 씀.
1595~1671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문충(文忠)@송병선 - 송병선(宋秉璿)
조선 후기~근대의 문인ㆍ순국지사. 본관은 은진(恩津). 송시열(宋時烈)의 9세손이며, 송병순(宋秉珣)의 형. 을사조약(乙巳條約)에 반대하는 운동을 하였고, 국권 피탈에 통분하여 자결함. 저서로 《근사속록(近思續錄)》ㆍ《무계만집(武溪謾輯)》ㆍ《연재집(淵齋集)》 등이 있음.
1836~1905 한국>근대 , 충청도>회덕 , 인명>문사>문인
-
문충(文忠)@고득종 - 고득종(高得宗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상장군 고봉지(高鳳智)의 아들. 문장과 서예에 뛰어났으며, 효성이 지극하여 사후에 정문(旌門)이 세워짐.《신증동국여지승람(新增東國輿地勝覽)》에 몇 편의 시가 전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강음ㅣ전라도>제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양도정(石陽都正) - 이격(李䛿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(密城君) 이침(李琛)의 넷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석양정(石陽正) - 이정(李霆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종친ㆍ화가. 세종(世宗)의 현손이자, 익주군(益州君) 이지(李枝)의 아들로, 석양군(石陽君)에 봉해짐. 시ㆍ서ㆍ화에 능하고, 특히 묵죽화(墨竹畫)에 뛰어나 명성을 떨침.
1541~162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왕실>종친
-
석옥(石屋) - 청공(淸珙)
중국 원(元) 나라의 승려. 임제종(臨濟宗) 제18대 법손(法孫)으로, 고려의 승려 태고 보우(太古普愚)에게 법(法)을 전수함.
1272~1352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석옥(錫沃) - 김석옥(金錫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부령(扶寧)으로, 사도시 첨정(司䆃寺僉正) 김직손(金直孫)의 아들. 곧은 행실로 인망이 높아 김안국(金安國)이 그를 군자(君子)라 하여 조정에 천거함.
1477~153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문사>학자
-
석용(石瑢) - 성석용(成石瑢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성여완(成汝完)의 아들이자 성석린(成石璘)의 아우로, 고려 때 밀직제학(密直提學) 등을 지냈으며, 조선 개국에 공이 있어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됨.
?~140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석유(錫儒) - 탁성윤(卓成胤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도사(都事)를 지낸 탁기(卓耆)의 둘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석윤(錫胤) - 김석윤(金錫胤)
조선 전기의 문신. 풍덕(豊德)의 수령을 역임했으며, 심의(沈義)와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윤(錫胤)@조석윤 - 조석윤(趙錫胤)
조선 인조(仁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배천(白川). 김상헌(金尙憲)ㆍ장유(張維)의 문인(門人)으로, 효종 때 양관 대제학(兩館大提學)이 되어 《인조실록(仁祖實錄)》편찬에 참여함.
1605~165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금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석이(錫爾) - 이경억(李慶億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판서(判書) 이시발(李時發)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(吏曹判書) 이경휘(李慶徽)의 동생으로, 좌의정(左議政) 등을 지냄.
1620~167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인(石因) - 성석인(成石因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성여완(成汝完)의 아들이며, 성석린(成石璘)ㆍ성석용(成石瑢)의 아우로, 고려 때 경연강독관(經筵講讀官)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냄.
?~141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자중(石子重) - 석돈(石𡼖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와 종유(從遊)하며 이학(理學)을 공부하였으며, 지남강군사(知南康軍事) 등을 지냄.
1128~118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석작(錫爵) - 왕석작(王錫爵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예부 상서(禮部尙書) 등을 거쳐 재상을 지냈으며, 성품이 강직하여 조정의 의론과 어긋나는 경우가 많았음.
1534~1610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장(石將) - 석성(石星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병부 상서(兵部尙書)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(申點)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, 심유경(沈惟敬)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.
?~159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장(石腸) - 송경(宋璟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의 명재상. 요숭(姚崇)과 함께 개원(開元)의 치세(治世)를 이끌었으며, 그가 지은 〈매화부(梅花賦)〉는 문인들 사이에 널리 회자됨.
663~737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장군(石將軍) - 쌍석불(雙石佛)
고려시대에 경기도 파주(坡州)의 용암사(龍巖寺)에 조성한 석불입상(石佛立像). 고려 선종(宣宗)의 비(妃)인 원신궁주(元信宮主)가 이 석불을 조성한 후 아들을 낳았다 하여 기도처로 널리 알려짐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파주 , 유적>기타유적
-
석장군(石將軍)@석숭 - 석숭(石崇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부호(富豪). 형주 자사(荊州刺史) 등을 지냈으나, 팔왕(八王)의 난(亂) 때 조왕(趙王) 사마륜(司馬倫)에게 살해됨.
249~300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석재(石齋)@진헌장 - 진헌장(陳獻章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. 오여필(吳與弼)에게 사사하고, 송대(宋代) 육상산(陸象山)의 학풍을 계승함. 유교경전의 자질구레한 해석에 몰두하는 명대(明代)의 주자학에 반발하고 실천성을 강조함.
1428~1500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