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석천(石泉)@차중문 - 차중문(車仲文)
고려 후기의 유학. 《목은시고(牧隱詩稿)》에 실린 〈신미(新米)〉라는 시(詩)에 이색(李穡)에게 햅쌀을 보냈다는 기록이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석천로(石川老) - 임억령(林億齡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으로, 박상(朴祥)의 문인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동생 임백령(任百齡)이 대윤(大尹)을 제거하는 일에 가담하자 해남(海南)으로 내려가 은거함.
1496~156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천묘(石川廟) - 송담서원(松潭書院)
강원도 강릉(江陵)에 있는 서원. 1630년(인조 8) 학산리에 석천서원(石川書院)을 건립하여 이이(李珥)의 위패를 모셨으며, 1652년(효종 3)에 현재의 언별리로 옮김. 1660년(현종 1) 사액됨.
1630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강릉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석천서원(石川書院) - 송담서원(松潭書院)
강원도 강릉(江陵)에 있는 서원. 1630년(인조 8) 학산리에 석천서원(石川書院)을 건립하여 이이(李珥)의 위패를 모셨으며, 1652년(효종 3)에 현재의 언별리로 옮김. 1660년(현종 1) 사액됨.
1630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강릉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석천옹(石川翁) - 임억령(林億齡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으로, 박상(朴祥)의 문인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동생 임백령(任百齡)이 대윤(大尹)을 제거하는 일에 가담하자 해남(海南)으로 내려가 은거함.
1496~156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촌(石村)@경섬 - 경섬(慶暹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통신부사(通信副使)가 되어 임진왜란(壬辰倭亂) 후 첫 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1,340명을 데리고 돌아옴.
1562~162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촌(石村) - 임서(林㥠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회진(會津)으로, 임복(林復)의 아들. 이괄(李适)의 난 때 공을 세워 가선대부(嘉善大夫)에 오르고,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 등을 지냄.
1570~162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총도인(石潨道人) - 정경세(鄭經世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유성룡(柳成龍)의 문인으로, 대제학(大提學)을 지냄.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(李滉)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,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.
1563~163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석추(石帚) - 강기(姜夔)
중국 송(宋) 나라 시인ㆍ음악가. 북송의 유영(柳永)ㆍ주방언(周邦彦), 남송의 신기질(辛棄疾) 등과 함께 사대사인(四大詞人)이라 일컬어짐.
1155~122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음악인ㅣ인명>문사>문인
-
석충(碩忠)@송석충 - 송석충(宋碩忠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야로(冶爐). 현령(縣令) 송륜(宋綸)의 아들로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김굉필(金宏弼)ㆍ최부(崔溥) 등 교유하던 인물들이 화(禍)를 당하자 향리(鄕里)에 내려가 서사(書史)에 몰두함.
1454~152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
-
석충(碩忠) - 윤석충(尹碩忠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도첨의 우정승(都僉議右政丞)를 지내고, 해평부원군(海平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석충(錫忠) - 권석충(權錫忠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권춘란(權春蘭)ㆍ권춘계(權春桂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석탄(石灘)@석수탄 - 석수탄(石首灘)
충청남도 공주(公州)에 있는 금강(錦江) 상류의 여울 이름. 고려의 정언(正言) 이존오(李存吾)가 관직에서 물러난 후 거주한 곳임.
충청도>공주 , 지명>자연지명
-
석탄(石灘)@이양중 - 이양중(李養中)@고려
고려 말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형조 참의(刑曹參議)를 역임하였으며, 조선이 건국되자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고향에 은거하여 절개를 지킴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석탄(石灘)@이존오 - 이존오(李存吾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우정언(右正言)이 되어 신돈(辛旽)의 횡포를 탄핵하다가 좌천되고, 공주(公州)의 석탄(石灘)에서 은거하던 중 울분으로 병이 나서 죽음. 정몽주(鄭夢周)ㆍ박상충(朴尙衷) 등과 교분이 두터웠음.
1341~1371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석탄(石灘) - 부여(扶餘)
충청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백제의 마지막 수도로서 소부리(所夫里) 혹은 사자(泗泚)ㆍ사비(泗沘)라고도 불림.
충청도>부여 , 지명>행정지명
-
석탈해(昔脫解) - 탈해이사금(脫解尼師今)
신라 제4대 왕. 재위 57~80. 즉위 후 백제를 자주 공격하고 일본과 화친을 맺었으며, 가야와 싸워 승리함. 용성국(龍城國)의 왕과 적녀국(積女國)의 왕녀 사이에서 알로 태어나 궤짝에 담겨 바다에 버려졌다가 한 노파에게 길러졌다는 설화가 전해짐.
?~80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석평(碩枰) - 반석평(潘碩枰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천얼(賤孽) 출신으로 형조 판서(刑曹判書)ㆍ좌찬성(左贊成)까지 지냈으며, 조광조(趙光祖)ㆍ김식(金湜) 등과 교유함.
?~154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석필(錫弼) - 유석필(柳錫弼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를 지낸 유순선(柳順善)의 아들. 음보(蔭補)로 의금부 도사(義禁府都事)를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석헌(石軒)@유숭조 - 유숭조(柳崇祖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전주(全州). 대사성(大司成)ㆍ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 도학정치(道學政治)를 실현하려던 성리학자로, 조광조(趙光祖) 등 신진 유림을 배출하는 데 공이 큼. 저서로 《진일재집(眞一齋集)》이 있음.
1452~151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