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석헌(石軒) - 박우(朴祐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충주(忠州).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의 미움을 받았으나 소신을 굽히지 않았으며, 지방관을 지낼 때 선정(善政)을 베풀어 포상을 받음.
1476~154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ㅣ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석헌(石軒)@유옥 - 유옥(柳沃)@유문표의아들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박상(朴祥)ㆍ김정(金淨) 등과 연명으로 단경왕후(端敬王后) 신씨(愼氏)의 복위를 청하고 신씨를 폐위시켰던 훈신(勳臣)들의 죄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림.
1487~151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창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석형(石亨) - 이석형(李石亨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회림(李懷林)의 아들이며, 김반(金泮)의 문인. 성종 때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지냈으며, 《역대병요(歷代兵要)》ㆍ《치평요람(治平要覽)》등을 편찬함.
1415~147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석형(碩亨) - 정석형(丁碩亨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성균관(成均館) 유생으로 강응정(姜應貞)ㆍ김용석(金用石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석호(石湖) - 범성대(范成大)
중국 송(宋) 고종(高宗)~광종(光宗) 때의 문신ㆍ시인. 시에 능하여 육유(陸游)ㆍ양만리(楊萬里)ㆍ우무(尤袤) 등과 더불어 중흥사대시인(中興四大詩人)으로 일컬어짐.
1126~119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석호(石虎) - 무제(武帝)@남북조(후조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후조(後趙)의 제3대 황제. 재위 334~349. 고조(高祖) 석륵(石勒)을 도와 화북(華北)을 통일한 뒤 조카 석홍(石弘)을 죽이고 즉위함.
295~34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석홍(錫弘) - 김석홍(金錫弘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안(扶安)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화를 입은 기묘당인(己卯黨人) 중의 한 명.
1493~156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善)@성선 - 성선(成善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으로 한성부 좌윤(漢城府左尹)을 지낸 성윤문(成允文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선(善) - 민선(閔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麗興). 형조 참의(刑曹參議)ㆍ좌승지(左承旨) 등을 지냈으며, 기축옥사(己丑獄事) 때 최영경(崔永慶)의 처벌을 주장하다 탄핵을 받아 좌천됨. 이이(李珥)와 교우가 깊었음.
1539~160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墠) - 이선(李墠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한산(韓山). 영월 군수(寧越郡守) 이각(李殼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선(宣) - 법왕(法王)
백제 제29대 국왕. 재위 599~600. 혜왕(惠王)의 아들이며, 무왕(武王)의 아버지. 즉위 후 살생(殺生)을 금지하고 왕흥사(王興寺)를 짓는 등 불력(佛力)에 의지하여 국정을 운영함.
?~600 한국>백제 , 충청도>부여 , 인명>왕실>국왕
-
선(愃) - 장헌세자(莊獻世子)
조선 제21대 영조(英祖)의 둘째 아들이자 22대 정조(正祖)의 아버지. 이복형 효장세자(孝章世子)가 요절하자 세자에 책봉되어 1749년(영조 25) 영조의 명을 받고 15세에 대리기무(代理機務)를 봄. 김한구(金漢耉) 일파의 모함을 받아 뒤주에 갇혀 죽음.
1735~176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선(旋) - 이선(李旋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원종공신(原從功臣) 이교연(李皎然)의 아버지로, 돈녕부 승(敦寧府丞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歚) - 정선(鄭歚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화가. 본관은 광산(光山). 그림에 뛰어나 현실감 넘치는 독창적인 진경산수화(眞景山水畵)를 완성하고, 금강전도(金剛全圖)ㆍ인왕제색도(仁王霽色圖) 등 많은 명작을 남김.
1676~175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선(瑄)@박선 - 박선(朴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의병장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아버지 박경인(朴慶因)과 함께 청도(淸道)에서 창의(倡義)하여 공을 세웠으며, 후에 경조우윤(京兆右尹)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음.
1571~161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瑄) - 김선(金瑄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창(咸昌). 전주 부윤(全州府尹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瑄)@민선 - 민선(閔瑄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1522년(중종 17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함. 신광한(申光漢)의 《기재집(企齋集)》에 연구(聯句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璇) - 황선(黃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원(南原). 사재감 첨정(司宰監僉正)을 지낸 황예창(黃禮昌)의 아들로, 1528년(중종 23)에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선(璿)@민선 - 민선(閔璿)
고려 말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상정(閔祥正)의 아들이며, 태조(太祖)의 4남 회안대군(懷安大君) 이방간(李芳幹)의 장인. 충혜왕 때 등과하여, 판도판서(判圖判書) 등을 지냈으며, 문하찬성사(門下贊成事)에 추증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璿)@송선 - 송선(宋璿)
고려 후기의 문신. 민제(閔霽)의 장인이며 삼한국대부인(三韓國大夫人) 송씨(宋氏)의 아버지로, 여양군(礪良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