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선(璿)@김선 - 김선(金璿)
고려 후기의 문인. 임춘(林椿)과 교유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선(璿) - 조선(趙璿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부마. 영중추원사(領中樞院事)를 지낸 조말생(趙末生)의 아들로, 태종의 딸인 정정옹주(貞靜翁主)와 혼인함.
1410~143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왕실>인척
-
선(璿)@정선 - 정선(丁璿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광(靈光). 정세명(丁世明)의 아들로 교감(校勘)을 지냄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유배되고, 이후 향리로 퇴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璿)@이선 - 이선(李璿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이원수(李元秀)의 아들이자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첫째 형. 남부 참봉(南部參奉) 등을 지냄.
1524~157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회덕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璿)@안선 - 안선(安璿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관기(官紀)의 확립과 풍속(風俗)의 교화에 힘쓰고,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으로서 언관(言官)의 임무를 수행함.
1440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羨) - 은선(殷羨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성품이 탐욕스럽고 잔인하였으며, 예장 태수(豫章太守)로 옮겨 갈 때 서울 사람들이 부친 백여 통의 편지를 모두 물에 던져버렸다 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船) - 이선(李船)
조선 전기의 종친. 영의정 한효원(韓效元)의 아들인 한관(韓綰)의 장인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선(詵) - 홍선(洪詵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당성(唐城). 홍백수(洪百壽)의 아들이며 홍탁(洪鐸)의 아버지. 1304년(충렬왕 30) 충선왕(忠宣王)을 죽이려는 음모를 막아 공신이 되고, 여러 차례 원(元)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옴.
?~1318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선(詵)@최선 - 최선(崔詵)
고려 명종(明宗)~희종(熙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주(東州). 뛰어난 학행으로 과거를 주관하여 많은 인재를 발탁하고 《태평어람(太平御覽)》등의 간행을 주관함. 문하시랑 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를 지냄.
?~1209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철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選) - 서선(徐選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이천(利川). 서원(徐遠)의 아들이며, 원천석(元天錫)의 문인. 1415년(태종 15) 서얼의 차별대우를 진언했으며, 두 차례 사신으로 명(明) 나라에 감. 우부대언(右副代言)ㆍ판한성부사(判漢城府使) 등을 지냄.
1367~143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選)@조선후기 - 이선(李選)@조선후기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우의정(右議政) 이후원(李厚源)의 아들이며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. 1673년(현종 14) 노산군(魯山君)의 묘소에 시제(時祭)하고 황보인(皇甫仁)ㆍ김종서(金宗瑞) 등의 신원(伸寃)을 상소함. 1689년(숙종 15) 기사환국(己巳還局) 때 기장(機張)에 유배되었다가 죽음.
1632~16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選)@조선전기 - 이선(李選)@조선전기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순증(李順曾)의 아들로, 명종 때 환관 박세겸(朴世謙)의 비행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재서용되어 오위장(五衛將) 등을 지냄.
1522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선(鏇) - 김선(金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원주 목사(原州牧使)를 지낸 김태경(金泰卿)의 아들. 대사성(大司成)ㆍ호조 참판(戶曹參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선각(先覺) - 윤국형(尹國馨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윤희렴(尹希廉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,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. 공조 판서(工曹判書) 등을 지냄.
1543~161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선각(禪覺) - 혜근(惠勤)
고려 충혜왕 복위(忠惠王復位)~우왕(禑王) 때의 승려. 선종(禪宗)의 고승(高僧)으로, 원(元) 나라에 가서 인도 승려 지공(指空)의 가르침을 받고, 처림(處林)에게서 중국 선교(禪敎)의 영향을 받음. 보우(普愚)와 함께 조선시대 불교의 초석을 세움.
1320~137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해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선각국사(先覺國師) - 도선(道詵)
통일신라 문성왕(文聖王)~효공왕(孝恭王) 때의 승려. 15세에 출가하여 23세 때 천도사(穿道寺)에서 구족계를 받고, 전라도 백계산(白鷄山) 옥룡사(玉龍寺)에서 후학들을 가르치다 죽음. 풍수지리설(風水地理說)의 대가로 더욱 유명함.
827~898 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영암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선강(善綱) - 이선강(李善綱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진보(眞寶). 1561년(명종 16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고, 권호문(權好文)과 교유하였으며,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그를 위해 지은 만사(挽詞)가 있음.
1534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선강갈문왕(宣康葛文王) - 선강대왕(宣康大王)
통일신라 제44대 민애왕(閔哀王)의 아버지. 민애왕 즉위 후 선강대왕(宣康大王)에 봉해짐. 상대등(上大等)을 지냄.
?~835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종친ㅣ인명>왕실>국왕
-
선거(宣擧) - 윤선거(尹宣擧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학자. 김집(金集)의 문인으로, 유계(兪棨)ㆍ송시열(宋時烈)ㆍ윤휴(尹鑴)ㆍ윤선도(尹善道)ㆍ이유태(李惟泰) 등과 교유함. 성리학(性理學)의 대가이고 예론(禮論)에도 정통함.
1610~166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금산 , 인명>문사>학자
-
선건(善建) - 고인후(高因厚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의병장. 본관은 장흥(長興)으로, 의병장 고경명(高敬命)의 아들. 승문원 정자(承文院正字)를 지냈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에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금산(錦山) 전투에서 아버지와 함께 전사함.
1561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