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선광(宣光) - 주거(周擧)
중국 후한(後漢) 환제(桓帝) 때의 문신ㆍ학자. 여남(汝南) 사람으로, 주방(周防)의 아들. 박학다식하고 오경(五經)에 능통하여 유학자들의 종사(宗師)가 됨. 《후한서(後漢書)》에 열전(列傳)이 있음.
?~149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선광릉(宣光陵) - 무제(武帝)@남북조(전조)
중국 남북조시대 전조(前趙)의 왕. 재위 310~318. 고조(高祖) 유연(劉淵)의 넷째 아들로, 형인 태자 유화(劉和)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함. 즉위 후 진(晉) 나라를 공격하여 회제(懷帝)와 민제(愍帝)를 사로잡는 등 폭정을 일삼다가 국란(國亂) 속에 죽음.
?~31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선교각종산문도반총섭조제(禪敎各宗山門道伴摠攝調題) - 무외(無畏)
고려 후기 천태종(天台宗)의 승려. 1302년(충렬왕 28) 묘련사(妙蓮社)의 제3세 법주(法主)가 되고, 1313년(충선왕 5) 국통(國統)으로 책봉됨. 원혜 경의(圓慧景宜)ㆍ순암 의선(順菴義璇)과 함께 묘련사파 승려로 불림. 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선교도총섭정지원명묘변무애국일도대선사(禪敎都摠攝淨智圓明妙辯無礙國一都大禪師) - 찬영(粲英)
고려 충정왕(忠定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승려. 사복시 직장(司僕寺直長) 한적(韓績)의 아들이고, 보우(普愚)의 제자. 공민왕(恭愍王) 때 양가도승록(兩街都僧錄)이 되고, 우왕(禑王) 때 왕사(王師)가 되었으며, 사후에 국사(國師)의 시호를 받음.
1328~1390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선구사(旋龜寺) - 백담사(百潭寺)
신라 진덕여왕(眞德女王) 때 자장(慈藏)이 강원도(江原道) 인제(麟蹄) 설악산에 창건한 사찰. 처음 이름은 한계사(寒溪寺)였으나, 소실(燒失)과 중건(重建)의 반복으로 이름과 위치가 여러 번 바뀜. 1455년(세조 1)에 승려 재익(載益) 등이 옛 한계사 터의 윗쪽 20리 지점에 중건하고 백담사라고 개칭함.
647 한국>신라 , 강원도>인제 , 유적>건물>사찰
-
선궁(宣弓) - 김선궁(金宣弓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고려 태조(太祖)가 선궁(宣弓)이란 이름을 하사함.
922~?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무신
-
선귤당(蟬橘堂) - 이덕무(李德懋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실학자. 서얼 출신으로, 박제가(朴齊家)ㆍ유득공(柳得恭)ㆍ이서구(李書九) 등과 함께 《건연집(巾衍集)》이라는 사가시집(四家詩集)을 내어 문명을 떨침. 명(明)과 청(淸)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.
1741~17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선기(單旗) - 선목공(單穆公)
중국 주(周) 경왕(景王) 때의 현대부(賢大夫). 선자(單子) 또는 선기(單旗)라고도 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선기옥형(璿璣玉衡) - 혼천의(渾天儀)
고대에 천체(天體)의 운행과 위치를 관측하던 장치(裝置). 구형(球形)의 겉면에 해ㆍ달ㆍ별 등의 천상(天像)을 그려 사각(四脚)의 틀 위에 올려놓고 돌리면서 관측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물품>기타용품>공구
-
선길(善吉) - 이여경(李餘慶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충청도 도사(忠淸道都事)를 지낸 이수원(李守元)의 아들로, 청도 군수(淸道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선녕(宣寧) - 목종(穆宗)@고려
고려 제7대 국왕. 재위 997~1009. 전시과(田柴科)를 개정(改定)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을 쌓았으나 강조(康兆)에게 피살됨.
980~1009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선능성(宣綾城) - 선시중(宣時中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보성(寶城). 예문관 직제학(藝文館直提學)을 지낸 박희중(朴熙中)의 맏아들 박휘생(朴暉生)을 사위로 삼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선니(宣尼) - 공자(孔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대부ㆍ학자. 유학(儒學)의 개조(開祖). 노 나라에서 대사구(大司寇)를 지내고,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(列國)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.
B.C.552~B.C.479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
-
선니묘(宣尼廟) - 공자묘(孔子廟)
공자(孔子)와 그의 제자(弟子) 및 여러 성현(聖賢)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. 원래는 중국 산동성(山東省) 곡부(曲阜)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,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이후로 각 주현(州縣)에 설치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유적>건물>사당
-
선니묘(宣尼廟)@문묘 - 문묘(文廟)
공자(孔子)를 비롯하여 사성(四聖)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(大儒)와,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. 통일신라 714년(성덕왕 13)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(畵像)을 국학(國學)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,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.
714 한국>통일신라 , 유적>건물>사당
-
선덕여주(善德女主) - 선덕여왕(善德女王)
신라 제27대 왕. 재위 632~647. 진평왕(眞平王)의 딸. 선정(善政)을 베풀어 민생을 보살피고 당(唐) 나라의 문화와 불법(佛法)을 수입하였으며, 분황사(芬皇寺)ㆍ첨성대(瞻星臺)ㆍ황룡사구층목탑(皇龍寺九層木塔) 등을 건립함.
?~647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선덕왕(善德王) - 선덕여왕(善德女王)
신라 제27대 왕. 재위 632~647. 진평왕(眞平王)의 딸. 선정(善政)을 베풀어 민생을 보살피고 당(唐) 나라의 문화와 불법(佛法)을 수입하였으며, 분황사(芬皇寺)ㆍ첨성대(瞻星臺)ㆍ황룡사구층목탑(皇龍寺九層木塔) 등을 건립함.
?~647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선덕제(宣德帝) - 선종(宣宗)@명
중국 명(明) 나라 제5대 황제. 재위 1425~1435. 재위 기간 중 과거법(科擧法)을 고치고 군제(軍制)와 학제(學制)를 개혁하는 등 내치(內治)에 힘씀.
1398~1435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선덕주(宣德主) - 선덕왕(宣德王)
신라 제37대 국왕. 재위 780~785. 내물마립간(奈勿麻立干)의 10세손으로 해찬(海飡) 김효방(金孝芳)의 아들. 혜공왕(惠恭王) 때 김지정(金志貞)의 난을 진압하고 즉위하였으며, 어룡성(御龍省)을 개편하고 패강진(浿江鎭)을 개척함.
?~785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선도(善道) - 윤선도(尹善道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ㆍ시인. 남인(南人)의 거두로, 치열한 당쟁 속에서 일생을 유배지에서 보냄. 경사(經史)에 해박하고 특히 시조(時調)에 뛰어나, 정철(鄭澈)ㆍ박인로(朴仁老)와 더불어 ‘조선삼대시가인(朝鮮三大詩歌人)’으로 불림.
1587~167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해남ㅣ전라도>영암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