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강진유씨(康津兪氏)
고려 말에 감문위 상장군(監門衛上將軍)을 지낸 유적(兪迪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강진 , 인명>집단>성씨
-
강진향(降眞香)
유구(琉球)ㆍ태국(泰國)ㆍ중국(中國) 등지에서 나는 향나무로 만든 향(香) 이름. 돌림병이 돌 때나 집안에 괴상한 기운이 있을 때 피우면 나쁜 기운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함.
물품>기타용품>의료용품
-
강진휘(姜晉暉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성균관 학유(成均館學諭) 강종경(姜宗慶)의 아들. 성혼(成渾)의 문인으로, 사포서 별제(司圃署別提)ㆍ선전관(宣傳官)을 지냈지만 30세의 나이로 요절함.
1567~159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징(姜澂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본관은 진주(晉州). 글씨에 능하여 중종(中宗)의 총애를 받음.
1466~153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강창귀(姜昌貴)
고려 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문신. 음직으로 판도정랑(版圖正郞)에 오르고, 아들 군보(君寶)의 공적으로 문하시중(門下侍中) 진원부원군(晉原府院君)에 증직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첨(姜籤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선조 때 사간(司諫)으로 있으면서 최영경(崔永慶)ㆍ정철(鄭澈) 등을 탄핵함. 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ㆍ대사헌(大司憲)을 지냄.
1559~161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촌별곡(江村別曲)
조선 선조(宣祖) 때 차천로(車天輅)가 지은 우리말 가사(歌辭). 벼슬을 버리고 자연 속에 한가로이 묻혀 지내는 심정을 읊은 내용임.
한국>조선시대 , 문헌>작품명
-
강총(江摠)
중국 남북조시대 진(陳) 나라의 문신ㆍ문인. 양(梁)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진 나라 후주(後主) 때 상서령(尙書令)이 되었으며, 뒤에 수(隋) 나라에서 상개부(上開府)를 지냄. 문장에 능하고 특히 시에 뛰어났음.
519~594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강태수(姜台壽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할아버지는 희맹(希孟)이고, 아버지는 장례원 사평(掌隸院司評) 학손(鶴孫)이며, 큰아버지 귀손(龜孫)에게 입양되었음.
1479~152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필주(姜弼周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생원 강희철(姜熙哲)의 아버지로, 훈도(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강학년(姜鶴年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학행(學行)으로 천거되었으나 장령(掌令)으로서 공신들의 폐단을 상소하다가 파직됨. 효종(孝宗) 때 홍명하(洪命夏)의 상소로 신원되어 대사헌에 추증되고, 회덕의 용호사(龍湖祠)에 제향됨.
1585~164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학손(姜鶴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희맹(姜希孟)의 아들이며, 강귀손(姜龜孫)의 아우로, 조지서 사지(造紙署司紙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강한(姜漢)
조선 성종(成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. 본관은 진주(晉州). 학행과 뛰어나고 필법(筆法)이 정묘했으며, 모재(慕齋)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함. 문하(門下)에서 정옥견(鄭玉堅)ㆍ권오복(權五福)ㆍ정사룡(鄭士龍) 등이 배출되었음.
1454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산음ㅣ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강항(姜沆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성혼(成渾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으로 활약하다 일본에 잡혀간 뒤 성리학을 전파하여, 일본 주자학의 개조가 된 등원성와(藤原醒窩)에게 학문적 영향을 미침.
1567~161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강해(康海)
중국 명(明) 나라 효종(孝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한림수찬(翰林修撰) 등을 지냈으며, 이몽양(李夢陽) 등과 문학의 복고(復古)를 주창한 전칠자(前七子) 중의 한 사람. 특히 산곡(散曲)에 뛰어나 왕구사(王九思)와 함께 대가로 일컬어짐.
1475~154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강헌저황후(康獻褚皇后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동진(東晉) 효무제(孝武帝)의 황후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강혁(江革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효자. 임치(臨淄) 사람으로 홀어머니를 봉양하였는데, 난리를 만나 피난하던 도중 도적을 만났지만 도적들이 그의 효성에 감복하여 피난길을 알려 주었다고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강현(姜顯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1517년(중종 12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고, 김안로(金安老)의 간사(奸邪)를 논핵하여 귀양보냄.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, 형조판서(刑曹判書)ㆍ경연특진관(經筵特進官) 등을 지냄.
1486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산음 , 인명>관인>문신
-
강형(姜詗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공조 참의(工曹參議)를 지낸 강자평(姜子平)의 아들. 1504년(연산군 10)에 대사간(大司諫)이 되었으나 갑자사화(甲子士禍)로 인해 처형됨.
?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호(姜滸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사안(姜士安)의 양부(養父)로, 참봉(參奉)을 지냈으며, 이조 판서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