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선종안성사효대왕(宣宗安成思孝大王) - 선종(宣宗)@고려
고려 제13대 왕. 재위 1083~1094. 문종(文宗)의 둘째 아들.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(僧科)를 설치하고, 많은 사탑(寺塔)을 건립함.
1049~1094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선좌(宣佐) - 윤선좌(尹宣佐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. 1322년(충숙왕 9)에 권한공(權漢功)ㆍ채홍철(蔡洪哲) 등이 왕을 폐하고 심왕 고(瀋王暠)를 대신 세우려 하자 그 계획을 좌절시킴.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을 지내고, 문장이 뛰어나 당대 표전(表箋)을 많이 지음.
1265~134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선주(先主) - 소열제(昭烈帝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의 제1대 황제. 재위 221~223. 후한(後漢)의 영제(靈帝)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, 후에 제갈량(諸葛亮)의 도움을 받아 오(吳) 나라의 손권(孫權)과 함께 조조(曹操)의 대군을 적벽(赤壁)에서 격파함.
161~223 중국>삼국시대ㅣ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선주(善州) - 선산(善山)
경상북도 구미(龜尾) 지역에 있던 고을 이름. 금오산(金烏山)과 천생산(天生山) 등이 병풍처럼 싸안고 있고, 낙동강(洛東江)이 가로지르고 있음.
경상도>선산 , 지명>행정지명
-
선주(宣州) - 선천(宣川)
평안북도 서남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. 고려 태조(太祖) 이후 북방의 요충지 중 하나로 강동육주(江東六州) 중 통주(通州)에 해당됨.
평안도>선천 , 지명>행정지명
-
선주백(善州伯) - 김선궁(金宣弓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고려 태조(太祖)가 선궁(宣弓)이란 이름을 하사함.
922~?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무신
-
선주성(宣州城) - 동림산성(東林山城)
평안북도 선천(宣川)에 위치한 산성. 고려 전기에 강동육주(江東六州)를 수복한 다음 여진족을 방어하기 위해 쌓음. 둘레 약 5.4km, 높이 5m. 의주(義州)로 통하는 관문에 위치함.
한국>고려전기 , 평안도>선천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선지(善之)@원선지 - 원선지(元善之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충선왕(忠宣王)은 토번(吐番)으로 유배되고, 충숙왕은 원(元) 나라에 머물러 있어 동요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홀로 의리를 버리지 않았음.
1281~1330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선지(善之) - 안처선(安處善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1497년(연산군 3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병조 좌랑(兵曹佐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선지(瑄之) - 어계선(魚季瑄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종(咸從). 좌참찬(左參贊)을 지내고 기로소(耆老所)에 들어갔으며, 충효를 겸전하고 예서(隸書)에 능함.
1502~157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선지교(選地橋) - 선죽교(善竹橋)
경기도 개성(開城) 선죽동(善竹洞)에 있는 돌다리 이름. 고려 태조(太祖) 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, 고려 말에 정몽주(鄭夢周)가 이방원(李芳遠)이 보낸 조영규(趙英珪) 등에 의해 피살된 장소로 유명함.
919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유적>시설>기타시설
-
선차(宣差) - 이사백(李師伯)
고려 후기의 인물. 원천석(元天錫)의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그가 차(茶)를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선철(先哲) - 윤선철(尹先哲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탁(尹倬)의 아들이며, 양주 목사(楊州牧使) 윤경(尹暻)의 아버지로, 부정(副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선초(善初) - 박호원(朴好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남평 현감(南平縣監)을 지낸 박이(朴苡)의 아들로, 명종 때 토포사(討捕使)의 종사관(從事官)에 임명되어 임꺽정(林巨正) 등 도적을 진압함. 대사헌(大司憲)ㆍ호조 참판(戶曹參判)을 지냄.
1527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선초(善初)@김선초 - 김선초(金善初)
조선 전기의 문신. 《구암집(龜巖集)》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안악 , 인명>관인>문신
-
선춘현(先春峴) - 선춘령(先春嶺)
함경도 두만강(豆滿江)의 북쪽 칠백 리 지점에 있는 고개. 1107년(예종 2)에 윤관(尹瓘)이 여진족(女眞族)을 내쫓고 9성(城)을 쌓은 뒤 이곳에 ‘고려지경(高麗之境)이라는 경계비(境界碑)를 세움.
함경도>회령 , 지명>자연지명
-
선취옹(先醉翁) - 서할(徐劼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남평(南平). 십성당(十省堂) 엄흔(嚴昕)의 동서(同壻)이며, 제봉(霽峯) 고경명(高敬命)의 족숙(族叔)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문사>유학
-
선치(先致) - 김선치(金先致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홍건적(紅巾賊)을 평정시켜 일등공신(一等功臣)이 되어 그 형상이 벽상(壁上)에 그려짐.
1318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선평(宣平) - 김선평(金宣平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무신ㆍ공신. 신안동김씨(新安東金氏)의 시조. 권행(權幸)ㆍ장길(張吉) 등과 함께 태조를 도와 후백제의 견훤(甄萱)을 고창군에서 대파하는 데 공을 세워 아부공신(亞父功臣)을 받음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기타인명>공신
-
선행(先幸) - 홍선행(洪先幸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무신. 당성(唐城)에 세거한 사족(士族)의 후손으로, 금오위 별장(金吾衛別漿)을 지냈으며, 남양홍씨(南陽洪氏) 토홍계(土洪系)의 시조가 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