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선행(善行)@고용후 - 고용후(高用厚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흥(長興)으로, 의병장 고경명(高敬命)의 아들. 동지사(冬至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으며 판결사(判決事)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청사집(晴沙集)》ㆍ《정기록(正氣錄)》 등이 있음.
1577~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관인>문신
-
선행(善行) - 권목(權霂)
조선 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두인(權斗寅)의 아버지. 김중청(金中淸)의 문인으로, 영릉 참봉(英陵參奉)을 지내고, 권유(權濡)와 함께 《충재집(冲齋集)》을 간행하는 데 힘씀.
1614~167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선향(善鄕) - 선산(善山)
경상북도 구미(龜尾) 지역에 있던 고을 이름. 금오산(金烏山)과 천생산(天生山) 등이 병풍처럼 싸안고 있고, 낙동강(洛東江)이 가로지르고 있음.
경상도>선산 , 지명>행정지명
-
선헌(宣獻)@두황상 - 두황상(杜黃裳)
중국 당(唐) 숙종(肅宗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태상경(太常卿)ㆍ문하시랑(門下侍郎)ㆍ중서문하평장사(中書門下平章事) 등을 지냈으며, 배도(裵度)와 함께 어질고 강직한 신하로서 군주를 충직하게 보좌한 인물로 비유됨.
739~808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선헌(宣獻) - 누약(樓鑰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직언(直言)을 잘 하여 중서사인(中書舍人)에 등용되고 그 뒤 한림학사(翰林學士)ㆍ이부 상서(吏部尙書) 등을 지냄. 경사(經史)의 고증에 능하고 시문(詩文)ㆍ서예에도 뛰어남.
1137~121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선형(璿衡) - 혼천의(渾天儀)
고대에 천체(天體)의 운행과 위치를 관측하던 장치(裝置). 구형(球形)의 겉면에 해ㆍ달ㆍ별 등의 천상(天像)을 그려 사각(四脚)의 틀 위에 올려놓고 돌리면서 관측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물품>기타용품>공구
-
선혜(宣惠) - 순종(順宗)@고려
고려 제12대 국왕. 재위 1083~1083. 1054년(문종 8) 왕태자(王太子)에 책봉되고, 문종(文宗)이 죽자 즉위하나 그해에 죽음.
1046~1083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선호(仙豪) - 이백(李白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의 시인. 두보(杜甫)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, 시선(詩仙)이라 일컬어짐.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, 저서에 《이태백시집(李太白詩集)》이 있음.
701~76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선호지(船乎知) - 백운동(白雲洞)
경상북도 영주(榮州)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 중종(中宗) 때 풍기 군수(豊基郡守) 주세붕(周世鵬)이 흰 구름이 골짜기에 서려 있다고 하여 백운동(白雲洞)이라 이름 지음.
경상도>풍기ㅣ경상도>영천(榮川) , 지명>자연지명
-
선화봉사고려도경(宣和奉使高麗圖經) - 고려도경(高麗圖經)
중국 송(宋) 나라의 서긍(徐兢)이 1123년 국신사(國信使)의 일원으로 고려에 왔을 때 보고 들은 고려의 여러 가지 실정을 그림을 곁들여서 기록한 책. 전 40권.
1124?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선황제(宣皇帝) - 선제(宣帝)@남북조(북주)
중국 남북조시대 북주(北周)의 제4대 황제. 재위 578~579. 무제(武帝)의 맏아들이며 정제(靜帝)의 아버지. 포악하고 황음무도(荒淫無道)하여 국력의 쇠퇴를 초래함.
559~580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선황제(宣皇帝)@정조 - 정조(正祖)
조선 제22대 왕. 재위 1776~1800. 숙종(肅宗)ㆍ영조(英祖)의 탕평론을 이어받아 재위 초부터 민산(民産)ㆍ인재(人才)ㆍ융정(戎政)ㆍ재용(財用) 등의 부문별로 왕정체제를 강화하여 위민정치를 실현하고자 매진함.
1751~180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선휘(宣徽) - 왕공신(王拱辰)
중국 송(宋) 인종(仁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낙양 유수(洛陽留守)ㆍ어사중승(御史中丞)을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설(卨) - 설(契)
중국 은(殷) 나라의 시조로 전해지는 전설상의 인물. 우(禹)의 치수(治水)를 도운 공으로 상(商)에 봉해지고, 자씨(子氏) 성을 하사받음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설(渫) - 민설(閔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예조 전서(禮曹典書) 민경생(閔慶生)의 아들로, 직예문관(直藝文館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설강(雪江)@유사 - 유사(柳泗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희송(柳希松)의 아들로, 낙안 군수(樂安郡守)ㆍ종성 부사(鍾城府使) 등을 지냄.
1502~157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설강(雪江) - 안현(安玹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우의정ㆍ좌의정 등을 역임하였음. 의술에 정통하여 내외 의국(醫局)도 관리하였으며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501~156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설계(雪溪)@문려 - 문려(文勵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옥동(玉洞) 문익성(文益成)의 아들로, 정인홍(鄭仁弘)의 문인.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했으며, 곽재우(郭再祐)와 함께 왜적을 치는 데 공을 세워 선무 일등공신(宣武一等功臣)에 책록됨.
1553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설계(雪溪) - 김인경(金仁慶)
조선 중종(中宗)의 부마. 본관은 광산(光山). 중종의 딸인 혜순옹주(惠順翁主)와 결혼함. 동서지간인 여성군(礪城君) 송인(宋寅)과 주고 받은 시들이 《이암유고(頤庵遺稿)》에 실려 있음.
1514~158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왕실>인척
-
설계학사(雪溪學士) - 이황(李滉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보(眞寶). 주리론적(主理論的) 이기이원론(理氣二元論)을 주장한 영남학파(嶺南學派)의 종장(宗匠).
1501~15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