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강호가도(江湖歌道)
조선시대 시가문학(詩歌文學)에 널리 나타난 자연 예찬의 문학 사조(思潮). 자연에 묻혀 살면서 유교적 관념을 노래한 작품이 많으며, 이현보(李賢輔)와 송순(宋純)에 이르러 구체적으로 풍조(風潮)가 성립됨.
한국>조선시대 , 사상>기법>방법
-
강호문(康好文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1362년(공민왕 11)에 과거에 급제하여 판전교시사(判典校寺事)를 지냈으며, 시문(詩文)에 능함. 부인 문씨(文氏)는 왜구에게서 순결을 지켜 열녀(烈女)로 칭송됨. 이색(李穡)․권근(權近) 등과 교유함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강호시파(江湖詩派)
중국 남송(南宋) 때 유행한 시파(詩派). 유극장(劉克莊) 등이 주도하여 강서시파(江西詩派)의 형식 기교와 답습 모방의 폐해에 반발하며 만당체(晩唐體)를 표방하고 시풍(詩風)의 일변을 도모함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기타사상
-
강호후집(江湖後集)
중국 남송(南宋)의 문인 진기(陳起)가 강호파(江湖派) 시인들의 시를 모아 출간한 시문집(詩文集). 24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강혼(姜渾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시문(詩文)에 뛰어났으며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봉해짐.
1464~151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강홍립(姜弘立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신(姜紳)의 아들로, 광해군(光海君) 때 명(明) 나라가 후금(後金)을 치기 위해 원병을 요청하자 오도도원수(五道都元帥)로 출정하여 패한 뒤 후금에 항복함.
1560~162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강화(江華)
인천 북서부 연안과 서해 15개 도서(島嶼)로 이루어진 지역 이름. 그중 강화도(江華島)는 몽고(蒙古) 침입과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임시수도의 역할을 함.
경기도>강화 , 지명>행정지명
-
강화산성(江華山城)
현재 인천광역시 강화군(江華郡)의 강화읍(江華邑)을 에워싸고 있는 고려시대의 산성. 1234년(고종 21) 몽고(蒙古)의 침입으로 인해 강화도로 천도할 당시 본격적으로 축조되었으며, 이후 조선시대까지 수많은 외세의 침략을 당함.
1234 한국>고려시대 , 경기도>강화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강회계(姜淮季)
고려 공양왕(恭讓王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찬성사(贊成事) 강시(姜蓍)의 아들. 공양왕의 셋째 딸 경화궁주(敬和宮主)와 혼인하였으며, 공양왕의 세자 왕석(王奭)의 시학(侍學)을 지냄. 공양왕이 폐위되자 개경(開京)의 회보문(會寶門) 밖에서 참수됨.
1364~1392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인척
-
강회백(姜淮伯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조준(趙浚)ㆍ정도전(鄭道傳) 등을 탄핵하다가 유배되었으나, 조선이 건국된 뒤 동북면도순문사(東北面都巡問使)를 지냄.
1357~140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회숙(姜淮叔)
고려 후기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찬성사(贊成事)를 지낸 강시(姜蓍)의 넷째 아들로, 제위장군(諸衛將軍)ㆍ함안 군사(咸安郡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강회순(姜淮順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晋州). 찬성사(贊成事)를 지낸 강시(姜蓍)의 셋째 아들로, 사재 소감(司宰少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강회중(姜淮仲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고려 말에 보문각 대제학(寶文閣大提學)을 지냄. 조선 개국 이후 4차에 걸쳐 관직을 내리고 출사를 권했으나 끝내 불응함.
?~144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강효문(康孝文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무신. 함길도 절도사(咸吉道節度使)가 되어 진관(鎭管)을 순시하던 중, 이시애(李施愛)가 반란을 일으켜 그 당여에게 살해당함.
?~146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용인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강휘(姜徽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반성위(班城尉) 강자순(姜子順)의 아버지로, 상호군(上護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강휘망(姜徽望)
조선 현종(顯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오건(吳健)의 위패를 봉안한 서계서원(西溪書院)의 사액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려 사액을 받음.
1626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유학
-
강휘정(姜徽鼎)
조선 현종(顯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한사(寒沙) 강대수(姜大遂)의 문인. 오건(吳健)의 위패를 봉안한 서계서원(西溪書院)의 사액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려 사액을 받음.
1634~167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유학
-
강흔(姜訢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관찰사(觀察使) 강자평(姜子平)의 아들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노필(盧㻶)ㆍ유호인(兪好仁) 등과 교유함. 1496년(연산군 2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강흔수(姜欣壽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의정부 좌찬성(議政府左贊成) 강희맹(姜希孟)의 손자. 1510년(중종 5) 선공감(繕工監)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고 전라도 영광(靈光)에 은거하여 여생을 보냄.
1491~155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강흡(姜洽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김장생(金長生)ㆍ신흠(申欽)에게 사사(師事)하고, 현감(縣監) 등을 지냄.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(太白山)에 은거하여 심장세(沈長世)ㆍ홍석(洪錫) 등과 함께 ‘태백오현(太白五賢)’으로 일컬어짐.
1602~168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