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섬(贍) - 김섬(金贍)
고려 후기의 문신. 문하주서(門下注書)를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섬(銛) - 이섬(李銛)
조선 전기의 종친. 중종(中宗)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(海安君) 이희(李㟓)의 첫 번째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섬강(蟾江) - 섬진강(蟾津江)
전라도 진안(鎭安)에서 발원하여 동부지역을 남류(南流)하고, 경상도 하동(河東)을 지나 남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.
전라도>진안ㅣ경상도>하동 , 지명>자연지명
-
섬강노인(蟾江老人) - 김익수(金益壽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중종 때 진하사(進賀使)로 중국에 다녀왔으며, 충청도 관찰사, 형조ㆍ병조 참판 등을 역임함.
149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섬계생(剡溪生) - 대규(戴逵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화가ㆍ학자. 인품이 고상하여 당대의 명사인 사안(謝安)ㆍ사현(謝玄)ㆍ왕순(王珣)ㆍ왕휘지(王徽之) 등에게 존경을 받음.
?~39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
-
섬지(掞之) - 위섬지(魏掞之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자(朱子)와 교유하였음. 포의(布衣)로 발탁되어 벼슬이 태학록(太學錄)에 이름. 사부(詞賦)를 폐(廢)하기를 청했으나,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떠나 독서에 전념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섬촌(蟾村) - 민우수(閔遇洙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흥(麗興)으로, 충문공(忠文公) 민진후(閔鎭厚)의 아들. 김창협(金昌協)ㆍ권상하(權尙夏)의 문인으로, 신임사화(辛壬士禍)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 학업에 전념함.
1694~175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섭(涉) - 가섭(賈涉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가사도(賈似道)의 아버지로 관직은 경동하북로 진무대사(京東河北路鎭撫大使)에 이름.
1178~122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섭(涉)@당 - 이섭(李涉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이균(李鈞)의 아들로, 동생 이발(李渤)과 함께 백록동(白鹿洞)에 은거하였다가 후에 태학 박사(太學博士) 등을 지냄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섭(涉)@조선 - 이섭(李涉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천(鎭川). 직산 현감(稷山縣監) 이관림(李管林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은 , 인명>문사>유학
-
섭(涉)@유섭 - 유섭(柳涉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청주 목사(淸州牧使)로 왜적을 맞아 싸움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섭(涉)@윤섭 - 윤섭(尹涉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현감 윤철(尹轍)의 아들이며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자형(姊兄)으로, 첨사(僉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섭(爕) - 윤섭(尹爕)
조선 성종(成宗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승류(尹承柳)의 아들로, 성종의 열한 번째 서녀(庶女)인 정숙옹주(靜淑翁主)와 혼인함.
?~151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왕실>인척
-
섭(𤫙) - 이섭(李𤫙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(潭陽君) 이거(李璖)의 계후(繼後)인 강양군(江陽君) 이숙(李潚)의 손자이며, 희안수(喜安守) 이집(李輯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섭^형(聶^荊) - 형^섭(荊^聶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자객인 형가(荊軻)와 한(韓) 나라의 자객인 섭정(聶政)을 함께 부르는 말. 의협심이 강한 사람을 말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섭공(葉公) - 심제량(沈諸梁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초(楚) 나라의 대부. 《논어(論語)》에 공자(孔子)에게 정치에 대해 가르침을 청한 기록이 있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섭등(攝騰) - 가섭마등(迦葉摩騰)
고대 인도의 승려. 후한(後漢) 때 중국에 불법을 최초로 전하고 불경을 번역하였으며, 낙양(洛陽)에서 죽었음.
중국>후한 , 기타지역ㅣ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섭마등(攝摩騰) - 가섭마등(迦葉摩騰)
고대 인도의 승려. 후한(後漢) 때 중국에 불법을 최초로 전하고 불경을 번역하였으며, 낙양(洛陽)에서 죽었음.
중국>후한 , 기타지역ㅣ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섭수심(葉水心) - 섭적(葉適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백웅(鄭伯熊)의 문인으로, 영가학파(永嘉學派)의 대표적 인물. 송대 성리학의 공담(空談)에 반대하고 도(道)는 개개의 사물과 분리될 수 없음을 주장함. 저서에 《섭적집(葉適集)》이 있음.
1150~122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섭원(爕元) - 남섭원(南爕元)
조선 성종(成宗)의 부마. 본관은 의령(宜寧). 성종 때 우부승지를 지낸 남흔(南忻)의 아들로, 숙의김씨(淑儀金氏) 소생인 휘정옹주(徽靜翁主)와 혼인함. 경순옹주(慶順翁主)의 남편인 남치원(南致元)의 사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왕실>인척